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국미로의 크로와제

덤프버전 :

이국미로의 크로와제
異国迷路のクロワーゼ
파일:Croisée in a Foreign Labyrinth Cover(01).jpg
장르드라마
작가타케다 히나타
출판사파일:일본 국기.svg 후지미 쇼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산문화사
연재처드래곤 에이지 퓨어
→ 월간 드래곤 에이지#2
레이블카도카와 코믹스 드래곤 Jr.
연재 기간Vol.2 ~ Vol.15[1]
2009년 7월호 ~ 연재 중단[2]
단행본 권수파일:일본 국기.svg 2권[3] (2009. 06. 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권 (2010. 08. 15.)

1. 개요
2. 줄거리
3. 발매 현황
4. 특징
5. 등장인물
5.1. 앙세뉴 뒤 로이
5.2. 블랑슈 가문
5.3. 기타 인물
6. 설정
7. 미디어 믹스
7.1. 애니메이션
7.1.1. 음악
7.1.1.1. 주제가
7.1.1.1.3. 4.5화 ED
7.1.1.1.4. 8화 ED
7.1.1.2. 삽입곡
7.1.2. 회차 목록
7.1.3. 평가
7.2. 소설
7.3. 콜라보레이션
7.4. 라디오 CD
8. 기타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takeda_ill.jpg

일본만화. 작가는 타케다 히나타.


2. 줄거리[편집]


19세기 유럽, 앤티크 파리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섬세하고 고풍스러운 프랑스 파리에서 펼쳐지는 일본 소녀의 파리 체류기

19세기 후반, 유럽에 일본 문화가 유행하던 시기에 혼자 프랑스로 건너간 일본 소녀 유네는 파리의 상점가에 있는 공예점에서 일하게 된다. 주인 클로드와 일하며 다른 문화를 당황하면서도 씩씩하게 극복해가는 유네의 일상은 계속된다.



3. 발매 현황[편집]


월간 드래곤 에이지 Pure에서 연재하다 동 잡지 폐간 후 2009년 7월부터 월간 드래곤 에이지로 옮겨 격월간 연재했으며 단행본은 카도카와 코믹스 드래곤 Jr. 레이블로 발매됐다.

한국어판은 학산문화사를 통해 2010년 8월 25일까지 일본과 마찬가지로 1, 2권이 정식 발매되었다. 번역가는 최윤정. 원래 단행본 발매 주기가 극악할 정도로 느렸지만 2권 이후에는 연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지 일본, 한국 모두 2016년까지도 후속권이 나오지 않았다.

결국 2017년 1월에 작가 타케다 히나타가 병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이 확인이 되어[4] 영영 후속권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여동생이자 본작 어시스턴트로 참여했던 센노 에나카의 말에 따르면 작가 본인은 어떻게든 완결 짓고 싶어했으나 병세가 위독해서 끝내 손대지 못했다고 한다.

2018년 1월 9일, 타케다 히나타의 1주기를 맞이하여 단행본인 '합본 이국미로의 크로와제 memoire'가 발매된다. 단행본의 규격은 B5판으로 작가가 생전에 단행본에 기재하지 못 했었던 미수록 원고가 다수 기재되여 발매될 예정이며, 판매는 대표적으로는 일본 아마존닷컴과 한국에서는 알라딘에서 예약판매를 진행하고 있다. 가격은 일본 아마존닷컴 기준으로 2.376엔, 한국 알라딘 기준으로 29,170원. 일본 아마존 가격 한국 알라딘 가격


4. 특징[편집]


일본인 소녀 유네가 프랑스 파리의 철공예점 앙세뉴 뒤 로이를 경영하는 클로드 집에 들어간 뒤 벌어지는 소소한 일들이 주된 내용.

배경은 19세기 말 프랑스 파리. 다만 속표지 내용을 보면 파리에 대해서는 픽션이라고 한다.[5] 하지만 기본적으로 당시 유럽이 일본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주역 캐릭터인 유네와 클로드가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서로를 이해하면서 겪는 사건 전개가 소소한 재미를 준다.

전반적인 분위기는 치유계. 다만 유네의 성격이 전통적인 야마토 나데시코라서, 요즘의 현대 여성상과는 거리가 있는 관계로 이런 유의 묘사가 맞지 않는 사람은 답답하거나 거부감을 느낄 수도 있다. 다만 유네는 프랑스에서는 이방인인데다 거의 클로드의 가게에서 식객으로 있기 때문에 성격이 소극적으로 될 수 밖에 없고, 이 작품의 주제가 서로간의 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프랑스인인 클로드와 일본인인 유네의 문화차이를 보여주는 장치로 본다면 또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5.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1. 앙세뉴 뒤 로이[편집]




클로드 클로델의 할아버지. 유네에게는 마법사 할아버지로 인식되는 인물. 젊었던 시절(50년 전) 혼자서 앙세뉴 뒤 로이를 만든 대단한 사람이기도 하다. 느긋하고 성격좋은 사람이며 일본에 대한 문화적 이해가 있어 유네클로드 사이의 문화적 충돌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5.2. 블랑슈 가문[편집]




블랑슈 가문의 집사. 니코동에서는 이름 때문인지 에도가와로 불리는 경우도 있는 듯.


5.3. 기타 인물[편집]


유네의 언니로 노래와 집안일에 능한 전통적인 일본 여인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4.5화(TV 미방영화. 동 작품 BD/DVD 제3권에 수록)에 등장한 안느의 할머니로 추정되는 일본 여인에게서 노래를 전수받아 그 노래를 유네에게 자주 불러주기도 했다. 덕분에 후에 유네가 작품 주무대인 프랑스 파리에서 안느와 만났을 때 안느가 들려주는 이 노래의 멜로디에 유네가 노래를 실어 부르는 것이 가능했다.
다만 그녀에게는 결점이 한 가지 있는데 바로 눈이 일반적인 동양인에게는 나타날 수 없는 벽안이라는 점. 이 때문에 주위 사람들에게 경원시당했고 그래서 유네는 언니가 슬퍼하지 말고 자기만 보게 해달라고 신에게 소원을 빌었다고 말한다. 이후 그녀는 눈이 안 보이는 척 했는데 언제부턴가 정말 유네 외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게 됨과 동시에 건강이 나빠졌다. 이것이 자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유네는 계속 미안해하다가 오스카의 조언 덕분에 극복할 수 있었다.[6]

갤러리 뒤 로이에서 제빵가게를 운영하는 나이 든 사람. 10년 전에 고양이에게 방울을 달아주려고 하다가 도망가는 바람에 잃어버렸다고 하며 장에게 부탁하여 방울을 단 검은 고양이를 간판으로 달았다. 이후 유네에게 '검은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데 자꾸 돌아다닌다.'고 농담을 했는데 이를 유네가 진짜로 믿어버리는 바람에 작은 소동이 벌어지기도 한다.

유네의 가게에서 촛대를 훔쳐 달아난 사건으로 인해 클로드와 갈등을 빚었던 소년. 이름은 알 수 없는 상태. 결국 그 촛대는 팔아버렸기 때문에 되돌려 받을 수는 없었다. 하지만 이후 유네의 다정함에 심경의 변화를 보인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인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클로드의 친구로 안경을 썼다. 유네가 길을 잃어버렸을 때 그녀를 알아보고 클로드에게 데려다주려고 했지만, 클로드의 충고를 듣고 유네가 뿌리쳤다가 이후 클로드가 유네를 찾아내 돌아오자 클로드의 친구인 것을 알고 사과한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이며, 4.5화에 등장한 보헤미안[7]으로 각지를 전전하며 음악을 연주하여 살아가는 여인.
그녀의 할아버지가 유네의 고향인 나가사키에 체류한 적이 있어서 프랑스에 돌아온 후 나가사키에서 익힌 노래를 연주하게 되었는데 그것을 유네가 들으면서 접점이 생긴다. 참고로 할머니가 일본인이다. 혼혈 쿼터. 여담이지만 단무지 눈썹 때문에 어느 캐릭터가 연상되기도 하는데 신경쓰지 말자.먼 옛날의 조상일지도


6. 설정[편집]


  • 갤러리 뒤 로이
옛날 오스카 클로델이 50년 전에 만든 상업 시설. 일종의 점포 상가 같은 곳이다. 지금은 시대의 흐름에 떠밀려 쇠퇴하고 있는 중이지만 아직은 손님이 어느정도 오는 걸로 보인다. 지금은 알리스 블랑슈가 상속받은 상태.

  • 앙세뉴 뒤 로이
갤러리 뒤 로이에 있는 철공예점. 1권에선 과거의 모습을 알 순 없지만, 지금은 위기라고 한다. 지금은 클로드가 주인. 갤러리 뒤 로이에 있는 모든 가게 간판이 이 가게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7. 미디어 믹스[편집]



7.1. 애니메이션[편집]


이국미로의 크로와제 The Animation (2011)
異国迷路のクロワーゼ The Animation
파일:이국미로의크로와제_애니키비주얼.jpg
작품 정보 ▼

원작타케다 히나타
감독야스다 켄지
시리즈 구성사토 준이치
음향 감독
캐릭터 디자인이노우에 히데키
총 작화감독
의상·기모노 디자인이토 이쿠코
미술 감독카와구치 마사아키(川口正明)
미술 설정토마 로맹(Thomas Romain/ロマン・トマ)
양 르갈(Yann Le Gall/ルガル・ヤン)
스타니슬라스 브뤼네(Stanislas Brunet/ブリュネ・スタニスラス)
색채 설정시나지 나나에(品地奈々絵)
촬영 감독이와사키 아츠시(岩崎 敦)
카토 치에(加藤千恵)
치프 CGI 디자이너고토 히로유키(後藤浩幸)
기모노 텍스처쿠라타 아야코(倉田綾子)
킷카와 미키(吉川美貴)
편집고토 마사히로(後藤正浩)
음악코코야(コーコーヤ)
프로듀서타나카 신사쿠(田中信作)
노자키 케이이치(野崎圭一)
미나미 히로마사(南 寛将)
우메다 노리카츠(梅田ノリカツ)
도이 미카(土井美佳)
오다 츠요시(小田ツヨシ)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카네코 후미오
애니메이션 제작SATELIGHT
제작이국미로의 크로와제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11. 07. 04. ~ 2011. 09. 19.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치바 테레비 / (월) 00: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금) 00:30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12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사테라이트에 의해 TV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감독은 야스다 켄지. 우리들에게 날개는 없다의 후속작으로 2011년 7월 4일에 방영을 시작해 9월 19일에 전 12화(1쿨)로 완결. 애니메이션 공식 홈페이지는 이쪽.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방영했었다.


7.1.1. 음악[편집]



7.1.1.1. 주제가[편집]


7.1.1.1.1. OP[편집]

OP
世界は踊るよ、君と。
TV ver.
Full ver.
노래요모와 오하나(羊毛とおはな)
작사치바 하나(千葉はな)
작곡
편곡이치카와 카즈노리(市川和則)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7.1.1.1.2. ED[편집]

ED
ここからはじまる物語
TV ver.
Full ver.
노래토야마 나오[8]
작사야마구치 미나코(山口みなこ)
작곡마츠우라 미츠오(松浦みつを)
편곡호가리 히사아키(保刈久明)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7.1.1.1.3. 4.5화 ED[편집]

4.5화 ED
遠く君へ
Full ver.
노래안느(나카지마 메구미)
작사에리코(エリコ)
작곡사사코 시게하루(笹子重治)
편곡코코야(コーコーヤ)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7.1.1.1.4. 8화 ED[편집]

8화 ED
Tomorrow's Smile
Full ver.
노래A.m.u.
작사야부키 카나(矢吹香那)
작곡
편곡하세가와 토모키(長谷川智樹)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7.1.1.2. 삽입곡[편집]

4.5화 삽입곡
Tomorrow's Smile
Full ver.
노래유네(토야마 나오)
작사일본 고요(日本古謡)
작곡
편곡사사코 시게하루(笹子重治)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5화 삽입곡
見渡せば
Full ver.
노래유네(토야마 나오)
작사시바타 키요테루(柴田清照)
작곡장 자크 루소
편곡사사코 시게하루(笹子重治)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5화 삽입곡
たからもの
Full ver.
노래유네(토야마 나오)
시오네(노토 마미코)
작사사토 준이치
작곡프랑스 민요(フランス民謡)
편곡사사코 시게하루(笹子重治)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7.1.2.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TVA
제1화入口
입구
Entrée
이케다 마미코
(池田眞美子)
야스다 켄지야스다 켄지이노우에 히데키日: 2011.07.04.
韓: 2011.07.08.
제2화チーズ
치즈
Fromage
무로야 야스시
(室谷 靖)
후지모토 사토루日: 2011.07.11.
韓: 2011.07.15.
제3화日本迷宮
일본 미궁
Labyrinthe du japon
시마즈 히로유키츠쿠시 다이스케
(筑紫大介)
모리타 후미
(森田 史)
日: 2011.07.18.
韓: 2011.07.22.
제4화水明かり
미즈아카리
Eau et lumiéres
야스다 켄지토사카 신
(登坂 晋)
시오카와 타카시
(塩川貴史)
日: 2011.07.25.
韓: 2011.07.29.
제5화迷子
미아
Perdus
고토 케이지日: 2011.08.01.
韓: 2011.08.05.
제6화鳥籠(クリノリン
크리놀린
Crinoline
야스다 켄지
衛光空
츠쿠시 다이스케이토 이쿠코日: 2011.08.08.
韓: 2011.08.12.
제7화天窓
천창
Lucarne
무로야 야스시후쿠시마 토요아키
(福島豊明)
타나카 미노루
(田中 穣)
日: 2011.08.15.
韓: 2011.08.19.
제8화子供部屋
아이 방
Chambre d'enfant
후세키 카즈노부
(布施木一喜)
야스다 켄지
후세키 카즈노부후지모토 사토루日: 2011.08.22.
韓: 2011.08.26.
제9화秘密
비밀
Jardin secret
사야마 키요코코다카 요시키
(小高義槻)
시오카와 타카시日: 2011.08.29.
韓: 2011.09.02.
제10화魔術幻燈(ファンタスマゴリー
판타즈마고리
Fantasmagorie
이토 타츠후미이토 마리코
(いとうまりこ)
日: 2011.09.05.
韓: 2011.09.09.
제11화祈り
기도
prière
무로야 야스시이토 이쿠코日: 2011.09.12.
韓: 2011.09.16.
제12화屋根の上の猫
지붕 위의 고양이
Chats sur un toit
야스다 켄지후지모토 사토루
모리타 후미
日: 2011.09.19.
韓: 2011.09.23.
OVA
제4.5화音楽会
음악회
Récital
사토 준이치츠쿠시 다이스케시오카와 타카시
와다 타카아키
日: 2011.07.29.
韓: 미방영


7.1.3. 평가[편집]


내용은 원작 특유의 치유계 분위기를 잘 살렸다. 애니메이션 각화 초반부의 광고 선전에 나오는 반주도 흥얼거리기에 좋은 멜로디인 것을 비롯 BGM이나 기타 여러면에서도 분위기를 견인했다. 작화 및 캐릭터 디자인 역시 특징적인 부분을 잘 잡아서 단순화하여, 다소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던 유네를 비롯한 원작 캐릭터의 모습을 잘 구현했다고 평가된다. 참고로 프랑스어 내레이션은 캐나다 출신의 내레이터 겸 탤런트인 마크 카펜티어(Marc Carpentier)가 맡았다.

BD/DVD는 총 일곱 권으로 발매. 1권에는 1화만을 수록하고 이후 두 화씩 수록. 3권에 TV미방영화(4.5화 '음악회Récital')를 넣어 총 13화를 수록했다. 매 권마다 특전CD와 픽쳐 드라마를 위시한 특전도 충실했고 4권과 7권에는 각각 1~4권/5~7권 수납박스도 증정하는등 상당한 정성이었지만 평균 판매량은 1480여 장으로 부진한 편.


7.2. 소설[편집]


2011년 7월에는 오리지널 스토리를 담은 소설 異国迷路のクロワーゼ Le cahier d' Yune가 발매. 표지 및 삽화는 원작자 다케다 히나타와 함께 이토 마리코가 일러스트를 맡았다.


7.3. 콜라보레이션[편집]


  • 2007년 12월에 드래곤매거진 PURE와 I've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KOTOKO가 노래/작사, 이우치 마이코가 작곡/편곡한 『La clef 〜미궁의 열쇠〜』라는 이미지송이 발표되었다.


7.4. 라디오 CD[편집]





8. 기타[편집]


  • 제목의 크로와제(Croisée/크루아제)는 프랑스어로 영어 Cross에 해당한다. 이것까지 온전히 해석하면 '이국미로의 교차점' 정도 뜻이다. 참고로 프랑스어 제목은 La croisée dans un labyrinthe étranger.

  • 무대는 당연히 프랑스 파리. # 다만 시간적 배경이 19세기 말인 탓에 사이요 궁전 등 현재의 파리와는 다른 모습의 배경이 존재한다.

  • 애니메이션 내레이션프랑스어로 한다. 그런데 프랑스인 등장인물들은 일본어만 한다. 물론 실제 설정상으로는 다들 프랑스어로 말하는 것이며 이를 일본어로 더빙해서 보여주는 것으로 되어있다.

  • 애니메이션 매 화 끝에 나오는 영상에는 캐릭터들의 넨도로이드 푸치 피규어 사진이 나온다. 다만 애니플러스 방영분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3화의 알리스와 5화의 클로드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네의 사진. 유네는 2012년 1월에 넨도로이드로도 발매되었다.

[1] 드래곤 에이지 퓨어[2] 월간 드래곤 에이지[3] 후속권 집필 전 작가가 사망하여 미완으로 남았다.[4] 사망 소식이 확인된 건 4개월이 지나고 GOSICK의 작가인 사쿠라바 카즈키의 트윗을 통해서였다.[5] 당시 유럽은 신흥 부르주아 세력이 사회 주도층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같은 권력 교체기의 과도기에 흔히 따르는 문화정체를 틈타 퇴폐적인 분위기가 만연했다. 인류역사에서도 손에 꼽힐 수준이었다고. 개중에서도 파리는 퇴폐의 왕중왕. 오노레 드 발자크의 인생 희곡이나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 같은 당시 문학작품들에서도 불륜, 사치, 허영, 황금만능주의등이 만연한 당시의 분위기가 잘 나타나 있는데 나중에는 아예 데카당스(décadence)라는 퇴폐주의 운동이 유행하기도 했다.[6] 여담이지만 이 이야기는 이국미로~의 작가가 삽화를 맡아 인연이 있는 GOSICK의 결말 이후 이야기에서도 빚어질 수 있는 이야기라, 고식의 결말이 반드시 해피엔딩이라고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일말의 씁쓸함을 전하기도 한다.[7] 여러 지역을 발닿는대로 다니며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창작, 예술 활동을 하는 자유분방한 이미지의 예술가. 원래 프랑스어로는 '집시'를 뜻하기도 했다.[8] 유네 역.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3:50:13에 나무위키 이국미로의 크로와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