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승우(소설가)

덤프버전 :

이승우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제25회 동인문학상 수상
정영문
어떤 작위의 세계
(2012)
이승우
지상의 노래
(2013)
구효서
별명의 달인
(2014)
제44회 현대문학상 수상
정이현
삼풍백화점
(2006)
이승우
전기수 이야기
(2007)
김경욱
99%
(2008)
제10회 황순원문학상 수상
박민규
근처
(2009)
이승우

(2010)
윤성희
부메랑
(2011)

이승우
李承雨 | Lee Seung-U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ee_Seung-u.jpg
출생1959년 2월 21일 (65세)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신동리 동두마을[1]
본관인천 이씨[2]
국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직업소설가, 교수
데뷔1981년 《에리직톤의 초상》
학력서울신학대학교 (학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중퇴)
경력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학과장 및 교수
가족아버지 이기태, 어머니 송삼임, 2남 1녀 중 차남
종교개신교

1. 개요
2. 생애
3. 평가
4. 여담
5. 작품 목록
5.1. 장편소설
5.2. 중·단편집
5.3. 산문
6. 수상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습작기 때 이청준 선생님의 소설을 읽고 소설가가 되고 싶다는 그런 열망 같은 것을 아마도 처음 가지게 되었어요. “아, 이거 멋있다. 이런 식으로 인간에 대해 표현한다는 것은 해볼 만한 일 같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소설가를 꿈꾸게 된 계기 #


대한민국소설가이다. 현재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1959년 2월 21일, 전라남도 장흥군[3] 관산읍 신동리 동두마을에서 아버지 이기태(李基泰)와 어머니 여산 송씨 송삼임(宋三任) 사이의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서울신학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원을 중퇴했다.


2. 생애[편집]


유년기에 대해서는 작가의 언급이 없으나 2013년도 동인문학상 수상 이후 조선일보 기사에 의하면, 초등학교 1학년 때 병으로 아버지가 죽고, 성인이 될 때까지 지극히 폐쇄적인 생활을 했다고 한다. 이는 장편 『생의 이면』의 내용과 유사하며, 작가의 자전적인 경험이 섞여 있다고 볼 수 있다.

1981년 중편 「에리직톤의 초상」이 한국문학 신인상을 받게 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에리직톤의 초상은 이전의 한국 문학에서 기대할 수 없었던 형이상학적, 종교적 색채를 담은 명저로 평가받는다. 이때 쓴 「에리직톤의 초상」은 1990년에 약 원고지 500매 가량이 추가되어 살림에서 장편으로 출간된다.


3. 평가[편집]


장장 30여년간의 문학 활동으로 한국 문학의 수준을 한층 더 끌어올린 명작가임은 분명하고, 해외에선 노벨문학상 후보로까지 언급될 정도로 고평가 받는 작가지만, 정작 국내에선 대중들에게 유명한 편은 아니다.

『생의 이면』은 90년 대 쓰인 장편소설 중 기억할 만한 작품 1, 2순위로 손꼽힌다.

그의 소설은 고향 선배이기도 한 소설가 이청준의 뒤를 잇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관념적, 심리분석적 성격과 특유의 액자구조 소설 양식에서 이청준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덕분에 이승우의 이름엔 항상 이청준의 직계라는 꼬리표가 붙는다.

20대 초반(...)에 장편소설 <에리직톤의 초상>으로 등단하는 등, 여러모로 대단한 재능의 소유자이다. 본인은 전혀 그런 감각이 없고, 자신의 재능에 대해 겸손한 태도를 갖고 있지만 신학에 몸담았던 경력 탓인지 발상 자체가 압도적인 수준이다.


4. 여담[편집]


  • 90년대 괴담 베스트셀러 공포특급이 제 3권에서 기성 작가와 콜라보를 하였을 때 참여했던 작가 중 한명이다. 책 맨 첫장에 수록된 <악몽, G30117의 어떤 하루>이 이승우의 작품인데 읽어보면 놀랍게도 괴담이 아니라(…) SF 디스토피아물이다.


5. 작품 목록[편집]



5.1. 장편소설[편집]


제목 발간연도
《에리직톤의 초상》1990년[4]
《가시나무 그늘》1991년
《따뜻한 비》
《생의 이면》1992년
《황금가면》
《사랑의 전설》1996년
《태초에 유혹이 있었다》1998년
《식물들의 사생활》2000년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2005년
《욕조가 놓인 방》2006년[5]
《그곳이 어디든》2007년
《한낮의 시선》2009년
《지상의 노래》2012년
《독》[6]2015년
《사랑의 생애》2017년
《캉탕》2019년
《이국에서》2022년

5.2. 중·단편집[편집]


제목 발간연도
《구평목씨의 바퀴벌레》1987년
《일식에 대하여》1989년
《세상밖으로》1991년
《미궁에 대한 추측》1994년
《1년 3개월 7일》1997년
《목련공원》1998년
《사람들은 자기 집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른다》2001년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2002년
《심인광고》2005년
《오래된 일기》2008년
《신중한 사람》2014년
《모르는 사람들》2017년
《사랑이 한 일》2020년
《마음의 부력》2021년

5.3. 산문[편집]


제목 발간연도
《당신은 이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2006년
《소설을 살다》2008년
《소설가의 귓속말》2020년


6. 수상[편집]


연도시상식작품명
1981한국문학 신인상《에리직톤의 초상》
1993제1회 대산문학상 소설부문《생의 이면》
2002제15회 동서문학상《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
2007제44회 현대문학상《전기수 이야기》
2010제10회 황순원문학상《칼》
2013제44회 동인문학상《지상의 노래》
2018제21회 동리문학상《모르는 사람들》
2019제27회 오영수문학상《캉탕》
2021제44회 이상문학상《마음의 부력》


7. 관련 문서[편집]



[1] 인천 이씨 집성촌이다. #[2] 공도공파 37세손.[3] 장흥군은 이청준, 한승원 등 한국 소설의 거장들을 여럿 배출해낸 지역이다.[4] 최초 발간 연도는 1990년, 발표일은 1981년.[5] 2022년 재출간[6] 1995년 <내 안에 또 누가 있나>라는 제목으로 출간됐던 소설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5:19:14에 나무위키 이승우(소설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