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물 특징]][[분류:정치]][[분류:자유주의]][[분류:사회자유주의]] [목차] {{{+1 '''Liberal hawk'''}}} == 개요 == 주로 [[영미권]]에서 사용하는 정치 용어이다. '''정치적으로는 [[자유주의]] 성향을 보이면서 강경한 대외정책을 지지하는''' 정치인을 가리킨다. 국내 언론에서는 주로 '리버럴 호크'라고 영어 발음 그대로 사용하는 편이고, 정식 학계 용어로는 자유주의적 개입주의(liberal interventionism), 자유주의적 개입주의자(liberal interventionist) 로도 지칭된다. 이들은 대체로 [[민주당]]에 포진하고 있지만, "미국식 이념이나 가치의 확산"이라는 대의에서는 [[공화당]]의 [[네오콘]]과 거의 쌍둥이 같은 이념이나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민주당 행정부에서 일한 빅토리아 뉼런드 국무부 차관보의 남편인 로버트 케이건 같은 사람은 네오콘과 자유주의적 매파로 동시에 분류된다. 사실 네오콘들 상당수가 1960-70년대는 민주당 소속의 자유주의적 매파였다가 1980년대 공화당으로 당적으로 옮기면서 네오콘으로 분류되었다. == 역사 == [[시어도어 루스벨트]],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존 F. 케네디]] 등은 미국을 군사대국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기 때문에 긍정적인 의미에서 자유주의적 매파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역사적으로 미국에서는 FDR 시대와 그 이전까지만 해도 오히려 우파가 대외적으로 비둘기파였고 좌파가 매파였다. 실제로 테디 루스벨트 같은 자유주의 좌파들이 제국주의를 주도할 때 강경 보수주의자들은 미국이 다문화 다인종 국가가 될 것을 우려해서 [[고립주의]]적이거나 심지어 일부는 [[반제국주의]]적이었다. FDR 시대의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에 맞서는 [[반파시즘]] 전선에 미국 보수우파들은 소극적이거나 심지어 반대했고 자유주의자들과 좌파들이 상대적으로 적극적이었다.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전 여론이 거세질 때 자유주의자들이나 좌파들의 주된 견해는 반전으로 기울어졌고 [[현실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 유화, 평화주의를 선호하게 된다. 이에 반발했던 자유주의적 매파들 중 일부가 정치적으로 전향해서 [[신보수주의]] 운동을 주도하기도 했다. 1960~1970년대 민주당 내에서는 평화주의자들이 우세를 잡은 가운데 매파들이 공격하는 구도가 나타났다. 이 당시 "반전좌파"의 대표격인 인물로는 [[유진 매카시]], [[조지 맥거번]], [[J. 윌리엄 풀브라이트]][* 국내적으로는 민주당 내 보수파에 속했지만 대외적으로는 평화주의의 지지자였다.] 등이 있으며 [[지미 카터]], [[휴버트 험프리]] 등은 온건한 평화주의를 지지했다. 험프리는 초기 베트남 전쟁을 지지했지만 이후 폭격 반대와 휴전협정 타결파로 돌아섰다. 한편, [[존 코널리]] 등 일부 매파는 공화당으로 입당했으며 [[헨리 M. 잭슨]] 등의 일부는 잔류했으나 큰 세력을 형성하지 못했다. 그러나 1980년과 1984년 대선에서 민주당이 연패하며 민주당이 보수화되고 탈냉전의 분위기가 가속화되며 민주당 내에서 소련이 붕괴되는 틈을 타 적극적으로 해외에 세력을 뻗어나가야한다는 [[앨 고어]] 등 매파의 신세대들이 대두되었다. 1980년대 미국 민주당의 보수화와 맞물려 한동안 민주당 내에서 자유주의적 매파가 크게 대두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1990년대 [[클린턴 행정부]]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에 강경하게 대응하기도 했다.[* 당시 [[조 바이든]] 상원의원이 대표적인 강경파로, 이예 세르비아를 멸망시키고 2차 대전 직후 독일처럼 미군정을 실시해야한다고 주장했다가 공화당에서조차 뭐하자는거냐며 욕을 먹은 전적이 있다.]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절반이 넘는[* 찬성 29표, 반대 21표. 하원은 찬성 81 대 반대 126표.] 민주당 상원의원이 파병에 동의한 것이[* [[조 바이든]], [[힐러리 클린턴]], [[존 케리]], [[존 에드워즈]], [[해리 리드]], [[다이앤 파인스타인]], [[조 리버먼]], [[척 슈머]] 등이 찬성했고, [[테드 케네디]], [[딕 더빈]], [[패티 머리]], [[대니얼 이노우에]], [[로버트 버드]] 등은 반대했다.] 이러한 기조를 보여준다. 공화당쪽에서도 자유주의 매파와 비슷한 성향의 [[네오콘]]이 몰락하고, 고립주의 성향의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의 대외개입을 반대하면서 미국의 대외개입 기조가 사그라들었으나, 2021년 집권한 [[바이든 행정부]] 하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고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정책의 핵심인사중의 하나인 빅토리아 뉼런드 국무부 차관보[* 뉼런드는 2014년 [[유로마이단]]에서 당시 미국 국무부 차관보로 반러시아 우크라이나 시위대를 미국이 지지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나 그 남편 로버트 케이건과 같은 자유주의적 매파들이 대거 우크라이나 적극적으로 개입할 주장했고, 결과적으로 미국은 병력만 파견하지 않았을 뿐, 우크라이나를 통해 러시아와 간접적으로 전쟁을 하고 있다. == 인물 == === 미국 === 미국에서 '자유주의적 매파'는 '''가치중립적인 의미'''로 쓰이므로 부정적 의미뿐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에서 자유주의적 매파로 간주되는 인물을 나열합니다. ==== 역사적 ====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좌익 내셔널리즘]]적 성향을 보였고, [[팽창주의]] 정책을 지지했다. 이로 인해 [[진보주의]] 정치인이었음에도 [[네오콘]]의 존경을 받는 인물이다.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현대적인 [[민주당(미국)|미국 민주당]]의 시초. 나치, 일제와의 전쟁은 떠밀려서 한 감이 있지만 지금의 초강대국 미국을 만든 인물이다. * [[해리 S. 트루먼]] - 정치적으로 리버럴 성향이었지만[* FDR 시절보다 반공적인 외교정책을 지지했으나 [[뉴딜연합]]은 유지되었고, [[뉴딜 정책|뉴딜]] 계승 정책인 [[페어딜 정책]]을 폈다.] 외교적으로는 매우 강경한 반공주의자였다. * [[존 F. 케네디]] - [[쿠바 미사일 위기]] 문서 참고. * [[린든 B. 존슨]] - 내치에서는 루스벨트 대통령과 유사하게 위대한 사회 등 복지정책과 민권법 등 인종차별 방지 정책을 실시했으며, 외치에서는 베트콩을 토벌하는 등 반공정책을 실시하였다. *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 강경한 반공주의 성향을 보인 인물로, 카터 시절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내며 현대 미국 민주당의 전반적인 외교 정책 기조를 완성했다고 평가받는다. * '''[[헨리 M. 잭슨]]''' - "네오콘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워싱턴 주 상원의원이다. 민권법 찬성 등 국내 정치 한정으로 진보적인 색체를 보였지만, 국제적으로는 매우 강경한 반공 성향을 보였고, 폴 울포위츠 등 그의 보좌진을 지낸 사람들이 이후 네오콘의 1세대를 구성했다. * [[빌 클린턴]] - 특히 코소보 전쟁과 세르비아 전쟁 때문에 현대에 와서는 좌파들한테 더 까인다. * [[앤서니 레이크]] * [[앨 고어]] - 2000년 대선 당시 앨 고어는 개입주의를, 부시는 온건한 불개입주의를 주장해 현재와 알려진 것과 반대의 성향을 보였다. ==== 현재 ==== * [[로라 로젠버거]] - [[미국 재대만협회]] 주석으로 대중 강경파로 명망이 높다. *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 주UN 미국 대사로 대놓고 [[북괴]]의 [[고난의 행군|식량난]]은 [[김정일]]과 [[김정은]]이 자초했다는 말까지 했다. * '''[[밥 메넨데즈]]''' - 상원 외교위원장으로 민주당 내에서도 손꼽히는 대중, 대러, 대이란 강경파로 꼽힌다. 이란 핵협정에도 반대했을 정도이다. * [[브라이언 마이어스(교수)|브라이언 마이어스]] - 한국 거주자임에도 국내에서는 잘 알려져있지 않지만, 해외에서는 유명한 북한학자이다. * [[조 바이든]] - 취임식 때 대놓고 [[북괴]] [[김정은]]과 [[중공]] [[시진핑]]을 'Thug'[* [[한국어]]로 '조직 폭력배', '깡패'로 번역될 수 있다. 트럼프도 그런 말은 하지 않았다.]라고 지칭하였을 정도로 본인부터가 [[매파|대중 강경파]]에 속한다. 코소보 전쟁 당시 [[세르비아]]를 미국 점령 하에 둬야한다는 망언으로 논란을 빚었고,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시작한 [[이라크 전쟁]]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러시아]]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우크라이나를 선전 포고도 없이 무력 침공하자]] 거의 대리전쟁이라고 할 만큼 우크라이나를 지원하여 자유주의적 매파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했을 때도 이스라엘을 전폭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군사적 지원도 적극 행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도 내놓지 않은 초강력 무역 제재 법안인 [[반도체 칩과 과학법]]까지 내놓았을 정도로 트럼프가 그냥 [[코브라]]라면 바이든은 [[스피팅코브라]][* 물리는 즉시 30분 내로 사망할 정도로 초강력 독성을 자랑한다.]라고 볼 수 있다. * [[캐서린 타이]] -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로 오래 전부터 대중 강경파로 명망이 높았다. * [[커트 캠벨]] -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인도·태평양담당 조정관으로 대중 강경파로 명성이 높다. * [[키어스틴 시네마]] * [[토니 블링컨]] - 오바마의 시리아 정책에 대해 물러터졌다며 강경하게 개입했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 [[피트 부티지지]] - 2020년 대선 당시 독재에 신음하는 중국인들을 "구출"해야한다는 표현까지 쓰는 등, 주요 후보 중 가장 반중적인 색체를 드러냈다. * [[힐러리 클린턴]] - 민주주의 확산을 위한 전쟁에 매우 우호적이었던지라 반대자들에게 네오콘이랑 다를 것 없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영미와 수교한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이 자국의 반정부 시위대를 탄압하자 무력 개입으로 전복해 이후 이 지역에 10년 넘게 혼란을 불러온 것은 외교 현실주의자들의 큰 비판을 받고 있다. 자세한 것은 [[힐러리 클린턴/비판과 논란]] 문서 참고. === 영국 === * [[크리스토퍼 히친스]] - 히친스는 아예 [[사회주의]]자로 분류됨에도 반민주적 독재국가에 대한 외교적 강경책을 지지했다. 실제로 쿠르드족 해방을 이유로 [[이라크 전쟁]]을 지지했다. * [[토니 블레어]] - 노동당 총리였음에도 [[조지 W. 부시]]와 함께 [[이라크 전쟁]]을 주도하기도 했다. === 그 외 === * [[노다 요시히코]] - 일본에서는 리버럴(사회자유주의)로 간주되는 정치인이지만, 대외적으로는 매우 보수적이었으며 자위대 친화적인 성향을 보였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 [[모하마드 모사데크]] - 기본적으로 좌파 자유주의자,자유민주주의 신봉자였다. 다만 서구[[제국주의]]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정적인 liberal nationalist였고, 반서방 성향이 조금 있었다. 따라서 영국,미국 등 열강과 갈등을 불사하면서까지 [[자원민족주의]] 외교를 펼치며 [[BP plc|앵글로-이란석유회사]]를 국유화했으며, 영국의 반발에 대항하기 위해 노골적인 [[반영]],[[친소]]외교를 펼쳤다가 미국 [[CIA]]의 지원을 받은 [[왕당파]] 세력의 쿠데타로 실각. * [[조르주 클레망소]] - 급진당 출신의 중도파적 자유주의자이면서도 외교적으로는 내셔널리스트,보수주의자 뺨치는 대독 강경파로 유명했다. * [[차이잉원]] - 차이잉원뿐만 아니라 [[대만]]의 [[범록연맹|진보 진영]] 전반의 목표가 [[중화(중국)|중화]]에서 분리된 '대만 정체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중공에 대한 매파적 견해를 취할 수밖에 없다. 중국이 사사건건 괴롭히며 종속화를 시도하는데 비둘기파 노선을 타기가 힘들다. 오히려 [[중국 국민당]]을 비롯한 보수파들이 과거에 대립했던 역사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중공에 대해 비둘기파 성향을 보인다. == 국내에서 == 국내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는 아니고 한국의 외교적 지형이 미국과 다르기 때문에 누가 정확하게 자유주의적 매파인지 확실하지 않다. 군사행동과는 무관하지만, 외교적으로 매파적 견해를 보이는 경우라고 한다면 주로 한국의 [[대한민국의 자유주의|자유주의 진영]]에서 [[한일관계|대일 외교]]에 있어 상대적으로 비둘기파인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보수우익 진영]]보다 매파적 견해를 보이는 편이다. 반대로 [[한중관계|대중관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비둘기파고, 되려 보수진영에서 [[반공주의]]에 입각해 더 매파적 견해를 보이는 편이지만, 자유주의자들 중에서도 반중성향을 보이는 이들이 있는데 이들도 자유주의적 매파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우익 전반부터 (일부 반제 좌파를 제외한) 자유주의 진영까지 [[한미관계|대미외교]]에 있어서는 [[친미|우호적 성향]]이 강해, [[반미]]적인 자유주의적 매파는 거의 없다.[* 실제로 한국은 전세계 기준에서 [[필리핀]], [[베트남]], [[폴란드]]와 비슷하게 친미 정서가 강한 나라이다.] 다른 관점에서, 미국에서 쓰이는 liberal hawk의 의미가 주로 파병 등을 포함한 군사행동 같은 것을 종종 의미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비록 전투병을 보내지는 않았지만 반대여론을 무릅쓰고 [[이라크 전쟁]]의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자이툰 부대]]를 파병한 [[노무현 정부]], 트럼프의 전향적 대북정책을 유도하기 위해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에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청해부대]]를 독자 파병한 [[문재인 정부]]의 사례도 여기에 속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전자와 후자가 가라키는 매파라는 것은 방향성이 조금 다른데, 전자는 주로 한국 자유주의 진영의 주변 강대국에 대한 입장에서 봤을 때 기준이고, 후자는 평화주의 내지 좌익적[* 특히 [[반제국주의]]적] 관점에서 미국의 요청에 따른 군사파병에 비판적인 입장에서 봤을 때의 기준일 것이다. == 여담 == * '''찬전좌파'''(Pro-war Left)라는 용어가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자유주의적 매파와 비슷한 의미이다. [[영국]]에서 [[이라크 전쟁]]을 지지한 (주로 [[사회주의]]자) 좌익 논객들을 칭하는 용어로 시작되었다. 위에서 언급된 히친스나 블레어도 당연히 여기에 속한다. * [[자유국제주의]]와 항상 일치하는 개념은 아니다. 모든 자유주의적 매파는 자유국제주의자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을 이유로 타국에 대한 적극적 개입을 지지하면서도 무자비한 강경책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자유국제주의자들도 있다. * [[네오콘]]들과 자유주의적 매파들은 의견이 상당히 일치해서 구분이 쉽지 않다. 네오콘들은 자유주의적 매파보다 오히려 보수 현실주의 외교 성향의 사람들을 더 싫어하는 경우가 많다. * [[조지 W 부시]]는 자유주의적 매파가 아닌 [[네오콘]]으로 분류된다. == 같이 보기 == * [[네오콘]]: 자유주의적 매파와 국제외교, 개입주의 노선이 일치한다. * [[어빙 크리스톨]] * [[개입주의]] * [[국제주의]] * [[반파시즘]], [[반공주의]] - 자유주의적 매파들이 매파적 성향을 보이는 이유 중 하나이다. * [[평화주의]] - 반대라고 할 수 있다. 사실 대부분의 자유주의자들이나 좌파들은 보수주의자들보다 평화주의에 우호적인 경우가 많다. * [[정치현실주의]] - 자유주의적 매파, 네오콘이 공동으로 추구하는 '적극적인 [[개입주의]]'에 대해 부정적이다.[* 다만 평화주의와 차이가 있는게 타국에 군사적으로 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제한적으로만 개입해야 한다며 때문에 이들은 인도주의적 사유로 인한 개입에 부정적이다.] * [[자유제국주의]] * [[자유주의적 패권]] == 둘러보기 == [include(틀:자유주의)] [include(틀:미국 현대자유주의 관련 문서)] [include(틀:시어도어 루스벨트)] [include(틀:토니 블레어)] [include(틀:힐러리 클린턴)] [include(틀:포크됨2, title=자유주의적 매파, d=2023-12-15 08:2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