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혜의원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3. 목록[1]
3.1. 경기도
3.2. 충청남도
3.3. 충청북도
3.4. 전라남도
3.5. 전라북도
3.6. 경상남도
3.7. 경상북도
3.8. 황해도
3.9. 평안남도
3.10. 평안북도
3.11. 강원도
3.12. 함경남도
3.13. 함경북도




1. 개요[편집]


자혜의원()은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강점기 전반에 걸쳐 한반도 전역에 설치된 관립 의료기관이다. 경성부를 제외한 지방 곳곳에 설치되어 지방 서민들의 기초적인 의료를 담당했다.


2. 역사[편집]


한국통감부에서 지방민들의 의료를 개선할 목적으로 1909년 8월 21일대한제국 칙령 제75호 「자혜의원관제(慈惠醫院官制)」를 공포하였다. 이에 따라 1909년 12월 충청북도 청주전라북도 전주에 처음으로 자혜의원이 설치되어 개원하였고, 한 달 뒤에는 함경남도 함흥에도 추가로 개원하였다. 이후 관제를 개정하면서 각 도에 최소 하나의 자혜의원을 두도록 했고, 1910년 9월 13도에 모두 하나씩 자혜의원이 개원한다.

대한제국이 멸망하고 조선총독부가 세워진 이후에도 자혜의원의 설립은 계속되었고, 1925년까지 모두 28곳의 자혜의원이 조선 각지에 개원하여 운영되었다. 하지만 자혜의원의 숫자가 많아지고 각각의 규모도 커지면서, 운영하는 데 비용상의 어려움을 겪던 조선총독부는 1925년 4월 1일, 조선총독부 칙령 제75호 「조선도립의원관제(朝鮮道立醫院官制)」를 공포하면서 소록도자혜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혜의원들을 각 도 산하의 도립의원으로 개편한다.

1925년 이후에도 전국 각지에서 19곳의 도립의원이 추가로 개원되었다.

광복 이후 남한의 자혜의원은 열악한 시설을 이전하거나 철거하여 시설을 새롭게 만들어 각 지역의 도립의료원이나 대학병원으로 승계되었다.


3. 목록[2][편집]


전국에 47곳, 각 도별로 평균 3.6개의 자혜의원이 있었다. 가장 많은 곳은 6곳이 설치된 강원도, 가장 적은 곳은 2곳이 설치된 충청북도경상남도였다.

볼드체 처리된 것은 1925년까지 조선총독부에서 직접 운영하던 28곳의 자혜의원으로, 「자혜의원」이라는 간판을 달고 개원한 병원들이다. 이후 설립된 의원들은 처음부터 「도립~~의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원하였다.

3.1. 경기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수원자혜의원경기도 수원군[3]1910년 9월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2도립개성의원경기도 개성군1925년 4월-
3도립인천의원[부립]경기도 인천부1932년 5월인천광역시의료원
4도립이천의원경기도 이천군1934년 12월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5도립안성의원경기도 안성군1936년 11월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3.2. 충청남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공주자혜의원충청남도 공주군1910년 9월충청남도공주의료원
2도립대전의원충청남도 대전군1928년 10월충남대학교병원
3도립홍성의원충청남도 홍성군1936년 12월충청남도홍성의료원

3.3. 충청북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청주자혜의원충청북도 청주군1909년 12월충청북도청주의료원
2도립충주의원충청북도 충주군1937년 5월충청북도충주의료원

3.4. 전라남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광주자혜의원전라남도 광주군1910년 9월전남대학교병원
2제주자혜의원전라남도 제주군1912년 10월제주의료원/제주대학교병원[4]
3소록도자혜의원전라남도 고흥군1916년 2월국립소록도병원
4순천자혜의원전라남도 순천군1922년 11월전라남도순천의료원

3.5. 전라북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전주자혜의원전라북도 전주군1909년 12월전북대학교병원
2남원자혜의원전라북도 남원군1921년 12월전라북도남원의료원
3군산자혜의원전라북도 군산부1922년 10월전라북도군산의료원

3.6. 경상남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진주자혜의원경상남도 진주군1910년 9월경상남도진주의료원[5]
2마산자혜의원경상남도 마산부1914년 9월경상남도마산의료원
의외로 부산부에는 없었는데, 건설 계획도 있었고 도면까지 남아있지만 실제로 개원하지는 않았다. 그 당시 부산부에는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여 이미 의료기관이 많았기 때문에, 굳이 자혜의원을 세울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3.7. 경상북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대구자혜의원[동인]경상북도 대구부1910년 9월경북대학교병원
2안동자혜의원경상북도 안동군1912년 10월경상북도안동의료원
3김천자혜의원경상북도 김천군1921년 12월경상북도김천의료원
4도립포항의원경상북도 영일군1941년 12월경상북도포항의료원

3.8. 황해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해주자혜의원황해도 해주군1910년 9월-
2도립사리원의원황해도 봉산군1930년 7월-
3도립남천의원황해도 평산군1943년 5월-

3.9. 평안남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평양자혜의원[*동인 ]평안남도 평양부1910년 9월평양의학대학병원
2진남포자혜의원평안남도 진남포부1926년 8월[6]-
3도립안주의원평안남도 안주군1938년 3월-

3.10. 평안북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의주자혜의원평안북도 의주군1910년 9월-
2초산자혜의원평안북도 초산군1912년 10월-
3강계자혜의원평안북도 강계군1922년 12월-
4도립신의주의원평안북도 신의주부1926년 12월-
5도립삭주의원평안북도 삭주군1940년 11월-

3.11. 강원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춘천자혜의원강원도 춘천군1910년 9월강원대학교병원
2강릉자혜의원강원도 강릉군1912년 8월강원도강릉의료원
3도립철원의원강원도 철원군1931년 4월-
4도립장전의원강원도 고성군1938년 12월-
5도립삼척의원강원도 삼척군1940년 10월강원도삼척의료원
6도립원주의원강원도 원주군1942년 1월강원도원주의료원

3.12. 함경남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함흥자혜의원함경남도 함흥군1910년 1월-
2혜산진자혜의원함경남도 갑산군1923년 11월-
3도립원산의원[부립]함경남도 원산부1933년 7월-
4도립북청의원함경남도 북청군1936년 12월-

3.13. 함경북도[편집]


번호이름소재개원현재
1경성자혜의원함경북도 경성군 경성읍1910년 9월-
나남자혜의원[7]함경북도 경성군 나남읍1920년 12월-
2회령자혜의원함경북도 회령군1912년 10월-
3성진자혜의원함경북도 성진군1923년 8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9:44:43에 나무위키 자혜의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설치될 당시의 이름과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서술.[2] 설치될 당시의 이름과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서술.[3] 화성행궁 안에 있었다. 화성행궁 복원으로 철거 이전.[부립] A B 각 부립병원에서 도립병원으로 이관.[4] 비슷한 시기 춘천의료원을 인수해 강원대학교병원이 된 것과 달리 제주의료원은 제주대학교에서 (옛)제주의료원을 인수하여 제주대학교병원으로 운영하면서도 제주의료원은 이전하여 존치중이다.[5] 폐원[동인] 1907년에 설립된 동인의원을 조선총독부가 인수하여 자혜의원으로 변경하였다.[6] 정확한 날짜 확인 불가[7] 함경북도청이 경성읍에서 나남읍으로 이전하면서 자혜의원도 따라서 옮겨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