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학퀴즈 학교에 가다/방영 목록

덤프버전 :




1. 개요
2. 범례
3. 2016년
4. 2017년
5. 2018년
6. 2019년
7. 2020년
8. 특집 방송


1. 개요[편집]


  • 장학퀴즈 학교에 가다에 출연한 학교의 출연 동문(직업)에 대한 정보를 정리한 문서다.
  • 2016년과 2017년은 출연 동문(직업) 별로 정리했다.
  • 2018~2020년까지 출연 학교 별로 정리했다.


2. 범례[편집]


  • 중간에 100+개 별을 얻은 학교는 +로 표시.
왕중왕
준우승
3위


3. 2016년[편집]


EP.날짜학교명/특집출연 동문(직업)비고
9954월 16일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석지연(아나운서), 천인우100
9964월 23일서울 대신고등학교오성식(강사), 정조국96[1]
9974월 30일경기 수원여자고등학교김연선, 현영, 이연화109
9985월 7일경기 동두천중앙고등학교엄홍길, 유민상76
9995월 14일서울 대원고등학교홍경민88
10005월 21일대구상원고등학교양준혁(야구인)77
10015월 28일부산 대명여자고등학교김숙122[2]
10026월 4일경기 안양 신성고등학교()손가람(변호사)101+
10036월 11일서울 신일고등학교(◇)류연복(화가)83
10046월 18일경기 안산 동산고등학교()이말년137
10056월 25일서울 성동고등학교최현석(요리사)93
10067월 2일상반기 왕중왕전 1부
10077월 9일상반기 왕중왕전 2부[3]
10089월 24일외국인 특집[4]
100910월 1일서울 경기고등학교()구준엽(가수)108
101010월 8일경북 포항제철고등학교서수민120
101110월 15일광주제일고등학교서건창(야구선수)103+
101210월 22일서울 대원외국어고등학교()통편집109
101310월 29일경기 고양 일산동고등학교손연희(볼링 선수)104
101411월 5일경기 부천여자고등학교최희93
101511월 12일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윤한112
101611월 19일강원애니고등학교이종범(만화가)82
101711월 26일서울 금옥여자고등학교김정난78
101812월 3일서울 한영외국어고등학교허지원117
101912월 10일하반기 왕중왕전 1부[5]
102012월 17일하반기 왕중왕전 2부
102112월 31일연말 특집 방송[6]


4. 2017년[편집]


EP.날짜학교명/특집출연 동문(직업)비고
10224월 1일장학퀴즈 40주년 특집 1부[7]
10234월 8일장학퀴즈 40주년 특집 2부
10244월 15일전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김규종102
10254월 22일경기 안양고등학교강성범80
10264월 29일경북 구미 현일고등학교장우혁102
10275월 6일서울 양정고등학교진중권103
10285월 13일충북 청주 세광고등학교()송진우128
10295월 20일경기 고양 백석고등학교강성태97
10305월 27일서울 세화여자고등학교고기현[8]98
10316월 3일서울 숭실고등학교이특111
10326월 10일서울 풍문고등학교김상희(가수)117
10336월 17일충남 공주 한일고등학교()통편집100
10346월 24일상반기 왕중왕전 1부
10357월 1일상반기 왕중왕전 2부
10369월 16일전국 고교 퀴즈 배틀 1부
10379월 23일전국 고교 퀴즈 배틀 2부
10389월 30일전국 고교 퀴즈 배틀 3부[9]
103910월 7일울산 범서고등학교최혜인115
104010월 14일서울 세화고등학교김진만111
104110월 21일서울 광성고등학교안지환104
104210월 28일경기 과천여자고등학교이인혜67
104311월 4일서울 광양고등학교한석준122
104411월 11일서울 세종과학고등학교()윤소희103+
104511월 18일인천 부개여자고등학교신지105
104611월 25일충남 홍성고등학교유병재100+
104712월 2일전남 순천고등학교이현93
104812월 9일경기 오산 세마고등학교()이지우116
104012월 16일하반기 왕중왕전 1부
105012월 23일하반기 왕중왕전 2부[10]


5. 2018년[편집]


EP.날짜학교명비고
10514월 21일부산해사고등학교106
10535월 5일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107+
10545월 12일서울 재현고등학교115
10555월 19일부산자동차고등학교134
10565월 26일경남 경해여자고등학교106
10576월 2일서울 배재고등학교107
10586월 9일충남 논산 대건고등학교112+
10596월 16일전북 익산고등학교
10606월 23일경기 파주 운정고등학교()96
10659월 2일세종국제고등학교101
10669월 9일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108
10679월 16일경기 구리 인창고등학교100
106910월 14일경기 용인 수지고등학교102+
107010월 21일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107
107211월 4일충남 보령 대천여자고등학교108
107311월 11일서울 서라벌고등학교118
107411월 18일강원 강릉여자고등학교101
107511월 25일인천하늘고등학교116
107612월 2일강원 동해 묵호고등학교105


6. 2019년[편집]


EP.날짜학교명비고
10814월 21일인천과학고등학교102+
10824월 28일경기 솔터고등학교103
10835월 5일충남 당진 호서고등학교131
10845월 12일충남 아산 한올고등학교100
10855월 19일대구 계성고등학교110
10865월 26일경북 포항 영일고등학교100
10876월 2일경기 남양주 동화고등학교103
10886월 9일경기 신장고등학교107
10896월 16일전남 여수고등학교117
10906월 23일전남 순천복성고등학교110
109311월 3일충남 서천고등학교105
109411월 10일전북 부안고등학교130
109511월 17일경기 평택여자고등학교100
109611월 24일충남 아산 설화고등학교105
109712월 1일청주대성고등학교101
110012월 22일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102
110112월 29일부산 동래원예고등학교102


7. 2020년[편집]


  • 이 해에는 코로나19로 인해서 2인 1조 4팀이 출연해서 우승팀에게 장학금을 주는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 1112회부터는 50명 출연에서 12명 출연으로 바뀌었다.
EP.날짜학교명비고
11105월 24일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
11115월 31일경기 김포고등학교
11127월 5일경기 일산 백마고등학교
11137월 12일파주 동패고등학교
11147월 19일서울 선정고등학교
11157월 26일경기 대화고등학교
111610월 4일
111710월 11일
111810월 18일인천 학익고등학교
111910월 25일


8. 특집 방송[편집]


EP.날짜특집비고
1061, 10622018년 6월 30일, 7월 7일2018년 상반기 왕중왕전[11]
1063, 10642018년 7월 14일, 7월 21일2018년 외국인 특집 방송[12]
10682018년 10월 7일2018 한중 특집[13]
10712018년 10월 28일소프트웨어 전국 10개 고교 대전[14]
1077, 10782018년 12월 9일, 12월 16일2018년 하반기 왕중왕전[15]
1079, 10802019년 4월 7일, 4월 14일2019년 외국인 특집 방송
1091, 10922019년 7월 14일, 7월 21일2019년 상반기 왕중왕전[16]
10982019년 12월 8일2019년 하반기 왕중왕전[17]
10992019년 12월 15일2019 한중 특집
1102, 11032020년 1월 5일, 1월 12일버스킹 특집
1104, 11052020년 1월 19일, 1월 26일능력자들 특집
1106, 11072020년 4월 26일, 5월 3일2020년 외국인 특집 방송
1108, 11092020년 5월 10일, 5월 17일장학퀴즈 리턴즈 특집[1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16년 상반기 왕중왕전엔 불참했다.[2] 자막에는 132개로 잘못 표기되었다.(75+47=122)[3] 국립과천과학관에서 녹화를 진행했으며, 1학기 출연 학교 5인 1조 10팀이 참여했다.(마스터 : 이장원, 조승연, 지주연)[4] 10개국 외국인 학생 50명이 참여했으며, 방식은 1학기 왕중왕전과 동일하다.(우승국 : 중국)[5] 단대부고에서 녹화를 진행했으며, 2학기 출연 학교 5인 1조 10팀이 참여했다.(마스터 : 고나영, 이필립, 박준성 - 2015, 2016 수능 만점자)[6] 한국 전자 통신 연구원이 국산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인공지능(AI) ‘엑소브레인’과 예선을 걸쳐 선정된 4명의 대결이다. 출연진은 2016년 상반기 왕중왕 팀원인 김현호(경기 안산 동산고등학교), 2016년 하반기 왕중왕 팀원인 이정민(서울 대원외국어고등학교), 2016년 수능 만점자인 윤주일(서울 중앙고등학교), 연예인 참가자인 오현민이 참여했다. 관련 기사[7] 장학퀴즈에 출연했던 10~50대 참가자와 역대 mc가 참여했다.[8] 쇼트트랙 선수와 동명이인인 볼링 선수다.[9] 우승 학교 : 경북 포항제철고등학교[10] 마스터 : 윤덕원, 이준석, 최정문[11] 우승 학교 : 경기 양평 양서고등학교, 우승자: 박동균(전북 익산고등학교)[12] 리서치 퀴즈, 물건 퀴즈, 노래 퀴즈, 사투리 퀴즈가 각각 2문제씩 출제되었다.(우승국: 중국)[13] 우승자: 여상수(경기 양평 양서고등학교)[14] 우승 학교: 충북 청주대성고등학교[15] 우승 학교 : 경기 용인 수지고등학교, 우승자 : 조국호(인천하늘고등학교)[16] 우승 학교: 경기 남양주 동화고등학교, 우승자: 홍준선(경기 남양주 동화고등학교)[17] 우승 학교: 청주대성고등학교[18] 1부 우승조: 천기섭, 천기범(대구 협성고등학교), 2부 우승조: 오재호, 유용재(서울 하나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