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덤프버전 :

1. 개요
2. 중계
3. 예선
3.1. 우슬예선
3.2. 봉조예선
3.3. 우슬봉조 최종예선
4. 본선
4.1. 우슬(牛膝) 리그
4.2. 봉조(鳳爪) 리그
4.3. 순위 결정전
4.4. 결승
5. 대회 결과



1. 개요[편집]


2021년 2월 부터 열리는 한국기원 선수권전의 초대 대회. 타이틀 스폰서 네이밍은 '우슬봉조탕'이다.

2. 중계[편집]


  • 바둑TV에서 '봉조예선' 일부 경기와 '우슬봉조 최종예선' 부터 중계한다.
  • 캐스터 - 최유진, 문도원 三단
  • 해설 - 최명훈 九단, 이성재 九단
  • 본선리그 부터는 배윤진 캐스터(三단)의 진행으로 초중급자를 위해 자세한 해설을 하는 코너를 마련했다.

3. 예선[편집]


예선 참가선수 배치와 본선 직행자는 2021년 2월 랭킹 기준으로 정했다.

3.1. 우슬예선[편집]


한국랭킹 51위 이하의 기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여기서 56명의 봉조예선 진출자를 선발했다.

파일:제1기우슬봉조배(우슬).png


3.2. 봉조예선[편집]


봉조예선에서는 56명의 우슬 예선 통과자와 한국랭킹 11위 부터 50위까지 기사 총 96명이 참가해 우슬봉조예선 진출자 12명을 가린다.

파일:제1기우슬봉조배(봉조).png

  • 방송 중계 대국
방송일대국대진결과
2021년 3월 15일9조 결승박하민박민규145수
흑 불계승
2021년 3월 16일4조 결승박재근윤찬희171수
흑 불계승
2021년 3월 29일7조 결승윤준상최 정212수
백 불계승
2021년 3월 30일2조 결승박상진홍기표188수
백 불계승


3.3. 우슬봉조 최종예선[편집]


최종예선은 한국랭킹 3위부터 10위까지 기사 8명과 봉조예선 통과자 12인, 총 20명이 조별 더블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하여 여기서 최종 본선진출자 10명을 가린다. 우슬봉조 최종예선은 전경기 모두 방송대국으로 진행됐다.

  • 봉조예선 통과자(확정) : 김정현 / 박상진 / 홍무진 / 윤찬희 / 백홍석 / 홍성지 / 최정 / 한상훈 / 박민규 / 최광호 / 강승민 / 한승주
  • 한국랭킹 3~10위(2021년 3월 랭킹) : 변상일 / 신민준 / 이동훈 / 김지석 / 안성준 / 강동윤 / 원성진 / 이창석
  • 조편성
    • 1조 : 변상일, 최광호, 홍성지, 한승주
    • 2조 : 신민준, 홍무진, 김정현, 강승민
    • 3조 : 이동훈, 박상진, 이창석, 백홍석
    • 4조 : 김지석, 한상훈, 원성진, 박민규
    • 5조 : 안성준, 최  정, 강동윤, 윤찬희

대국일정대진결과
1조1경기2021년 4월 10일변상일최광호176수 백 불계승
2경기2021년 4월 11일홍성지한승주243수 흑 1집반승
승자전2021년 5월 15일변상일홍성지324수 백 3집반승
패자전2021년 5월 23일최광호한승주150수 백 불계승
최종전2021년 7월 10일홍성지한승주223수 흑 불계승
2조1경기2021년 4월 24일신민준홍무진234수 백 불계승
2경기2021년 4월 18일김정현강승민216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1년 5월 29일홍무진강승민236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1년 6월 20일신민준김정현219수 흑 불계승
최종전2021년 7월 17일홍무진신민준176수 백 불계승
3조1경기2021년 4월 25일이동훈박상진171수 흑 불계승
2경기2021년 5월 8일이창석백홍석155수 흑 불계승
승자전2021년 7월 3일이동훈이창석180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1년 6월 13일박상진백홍석149수 흑 불계승
최종전2021년 8월 1일이동훈박상진170수 백 불계승
4조1경기2021년 5월 9일김지석한상훈238수 백 3집반승
2경기2021년 4월 17일원성진박민규95수 흑 불계승
승자전2021년 6월 19일김지석원성진204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1년 6월 26일한상훈박민규233수 무승부[1]
재대국 [2]164수 백 불계승
최종전2021년 7월 11일원성진박민규238수 백 불계승
5조1경기2021년 5월 22일안성준최 정248수 백 불계승
2경기2021년 5월 16일강동윤윤찬희175수 흑 불계승
승자전2021년 6월 27일최 정강동윤171수 흑 불계승
패자전2021년 7월 4일안성준윤찬희223수 흑 불계승
최종전2021년 7월 31일최 정안성준183수 흑 불계승
노란색 : 본선진출

4. 본선[편집]


본선은 12명의 기사들이 '우슬리그'와 '봉조리그' 2개조로 나뉘어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한 뒤 각 조에서 오직 1위만이 살아남아 결승 5번기로 최종 우승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본선은 8월 7일부터 매주 토,일 낮 1시에 진행된다.


리그 배정은 기준 랭킹에 따라 다른조에 배치하도록 하여 컴퓨터 추첨으로 결정됐다.

4.1. 우슬(牛膝) 리그[편집]


우슬(牛膝) 리그 순위표
순위기사명비고결과
1이동훈50본선리그 전승결승 진출
2신진서413-4위 결정전
3한승주325-6위 결정전
4신민준237-8위 결정전
5강승민149-10위 결정전
6강동윤05본선리그 전패11-12위 결정전

우슬(牛膝) 리그 - 전체 경기 결과
라운드일정대진결과
1R2021년 8월 7일신민준이동훈189수 흑 불계승
2021년 8월 14일신진서한승주142수 백 불계승
2021년 8월 29일강동윤강승민102수 백 불계승
2R2021년 9월 5일강승민신진서162수 백 불계승
2021년 9월 18일강동윤신민준182수 백 불계승
2021년 10월 2일이동훈한승주270수 백 반집승
3R2021년 10월 9일강동윤신진서257수 백 반집승
2021년 10월 16일신민준한승주197수 흑 불계승
2021년 11월 6일강승민이동훈358수 백 5집반승
4R2021년 10월 30일강승민신민준170수 백 불계승
2021년 11월 13일강동윤한승주107수 흑 불계승[3]
2022년 1월 7일 [4]이동훈신진서169수 흑 불계승
5R2021년 11월 20일신민준신진서122수 백 불계승
2021년 12월 5일강동윤이동훈189수 흑 불계승[5]
2022년 1월 9일강승민한승주149수 흑 불계승

우슬리그는 신진서와 이동훈이 4연승 행진을 달리면서 치열한 선두 경쟁을 벌였고 결국 각자 마지막 대국이었던 4라운드 대국에서 이동훈이 신진서를 꺾으며 풀리그 전승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신진서는 최종전에서 상대 전적에서 12승 1패로 압도했던 이동훈에게 패배함으로서 충격적인 광 to the 탈을 하게 되어 국내 종합기전 전관왕 도전이 무산됐다. 반면 강동윤은 리그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전패로 리그를 마무리하고 말았다. 우슬리그는 2022년 1월 9일 강승민-한승주 대국을 끝으로 일정을 마무리했으며 동률자가 발생하지 않은 가운데 순위가 모두 정해지며 마무리하게 됐다.

4.2. 봉조(鳳爪) 리그[편집]


봉조(鳳爪) 리그 순위표
순위기사명비고결과
1박정환50본선리그 전승결승 진출
2원성진325R 승3-4위 결정전
3김지석325R 패5-6위 결정전
4이창석234R 승7-8위 결정전
5변상일234R 패9-10위 결정전
6최 정05본선리그 전패11-12위 결정전

봉조(鳳爪) 리그 - 전체 경기 결과
라운드일정대진결과
1R2021년 8월 8일원성진이창석157수 흑 불계승
2021년 8월 15일박정환최 정196수 백 불계승
2021년 8월 28일변상일김지석187수 흑 불계승
2R2021년 9월 4일박정환이창석184수 백 불계승
2021년 10월 3일원성진변상일209수 흑 불계승
2021년 10월 10일김지석최 정151수 흑 불계승
3R2021년 10월 17일김지석이창석264수 백 불계승
2021년 10월 31일최 정변상일212수 백 불계승
2021년 11월 14일원성진박정환198수 백 불계승
4R2021년 11월 21일변상일이창석277수 흑 불계승
2022년 1월 15일원성진최 정303수 백 반집승[6]
2022년 1월 23일박정환김지석166수 백 불계승
5R2021년 12월 19일김지석원성진151수 흑 불계승[7]
2021년 12월 26일변상일박정환156수 백 불계승
2022년 1월 2일이창석최 정322수 백 불계승

봉조리그는 박정환과 김지석이 선두 경쟁을 벌였는데 마지막 대국에서 1,2,3위가 결정되었고, 동률자가 발생했는데 2,3위와 4,5위가 승자승으로 순위가 갈렸다. 마지막 대국에서 박정환이 김지석의 사활 착각이 나오면서 승기를 잡고 5전 전승으로 봉조 1위로 결승에 진출했다. 김지석은 이 패배로 원성진에게 동률 승자승에서 밀려 봉조 3위가 됐다. 반면 여자기사로는 처음으로 리그전 방식 종합기전 본선에 출전했던 최정은 5전 전패로 아쉬운 성적표를 남겼다. 봉조리그는 전술한 박정환-김지석 대국을 끝으로 2022년 1월 23일에 모든 대국 일정을 마쳤다.

4.3. 순위 결정전[편집]


순위 결정전은 우슬리그와 봉조리그의 각 2~6위 선수들이 동순위끼리 단판으로 진행한다.
순위 결정전 - 전체 경기 결과
대국일정대진결과
11-12위
결정전
2022년
2월 5일
강동윤
(우슬 6위)
최 정
(봉조 6위)
181수
흑 불계승
9-10위
결정전
2022년
2월 6일
강승민
(우슬 5위)
변상일
(봉조 5위)
154수
백 불계승
7-8위
결정전
2022년
2월 19일
신민준
(우슬 4위)
이창석
(봉조 4위)
152수
백 불계승
5-6위
결정전
2022년
2월 12일
한승주
(우슬 3위)
김지석
(봉조 3위)
149수
흑 불계승
3-4위
결정전
2022년
2월 13일
신진서
(우슬 2위)
원성진
(봉조 2위)
174수
백 불계승

4.4. 결승[편집]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결승 5번기
이동훈 (우슬리그 1위) 0 : 3 박정환 (봉조리그 1위)
대국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2022년 2월 20일박정환이동훈143수 흑 불계승
2국2022년 3월 7일이동훈박정환156수 백 불계승
3국2022년 3월 8일박정환이동훈270수 흑 반집승
4국2022년 3월 9일3:0으로 종료되어 해당사항 없음
5국2022년 3월 10일
우승박정환 九단 (한국기원 선수권전 초대 우승, 본선 8전 전승 우승)

각조 1위 선수들이 결승에 진출하여 5번기를 치른다. 우슬리그에서는 이동훈 선수가 5전 전승으로 결승에 올라왔고, 반대편의 봉조리그는 박정환 선수가 5전 전승으로 결승에 올라왔다. 박정환은 2년여만에 종합기전 우승에 도전하며, 이동훈은 6년 만의 종합기전 우승에 도전한다. 두 선수간의 결승 번기 승부는 2015년 열렸던 제33기 KBS 바둑왕전 이후 7년 만이다.

1국에서는 시종일관 박정환이 유리하게 바둑을 전개하다가 이동훈이 추격을 하여 기회를 노릴 수 있었으나 이동훈이 그 과정에서 착각을 범하면서 바둑이 순식간에 다시 박정환쪽으로 기울어지며 허무하게 돌을 거두고 말았다.

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에서 11국 재대국 결정으로 12국부터 하루씩 순연됨으로 인해 결승 일정이 조정되어 2국부터는 3월 7일부터 최대 4일 연속대국을 진행한다. 결승 2국에서는 우하 패 공방에서 승부가 갈리며 박정환 선수의 완승으로 마무리됐다.

3국에서는 초중반에는 박정환이 앞섰으나 이동훈이 반집까지 추격을 해왔다. 하지만 끝내기 승부에서 결국 박정환이 반집을 지켜내며 종합 전적 3승 무패, 봉조리그 5전 전승을 포함해 8전 전승으로 우슬봉조배 초대 우승이자 2년 4개월 만에 국내 기전 우승을 치지했다.

5. 대회 결과[편집]


순위상금선수
우승₩50,000,000박정환 九단
준우승₩20,000,000이동훈 九단
3위₩10,000,000원성진 九단
4위미공개신진서 九단
5위김지석 九단
6위한승주 九단
7위신민준 九단
8위이창석 八단
9위강승민 七단
10위변상일 九단
11위강동윤 九단
12위₩4,000,000최정 九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13:16에 나무위키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삼패빅이 났다. 심판이 배정이 안된 관계로 두 기사가 삼패빅임을 인정하고 합의하며 마무리가 됐다.[2] 삼패빅 무승부로 인해 본 대국이 종료된 후 돌가리기를 다시 하여 재대국을 했다. 두 선수가 본 대국 당시 시간을 다쓴 관계로 1분 초읽기 1회로 재대국을 진행했다.[3] 이번 대회 본선 최단 수수, 최단시간 대국이 됐다.[4] 한프바(한국프로바둑) 유튜브에서도 박경근, 홍무진 프로가 중계할 예정이다.[5] 강동윤은 이 패배로 이번 대회 본선 전패로 본선 리그를 마무리하고 말았다.[6] 최정은 이 패배로 본선리그 전패를 기록하고 말았다.[7] 원성진은 이 승리로 김지석 상대로 무려 11년 만에 승리를 거뒀다. 상대전 5연패도 끊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