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지역별 결과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1. 개요
2. 수도권
3. 충청권
4. 호남권
5. 대경권
6. 동남권
7. 강원권
8. 제주권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의 지역별 결과를 논하는 문서이다.


2. 수도권[편집]


지역구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무소속
81석[1]0석1석[2]26석[3]0석1석[4]2석[5]
비례대표[A]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39.99% (3,274,012)4.84% (396,422)10.80% (884,500)26.74% (2,189,370)4.39% (359,662)4.44% (363,895)3.56% (291,660)
종합[B]범여권범야권
84석 / 55.63% (4,554,934)27석 / 39.13% (3,204,587)


3. 충청권[편집]


지역구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무소속
1석[6]14석[7]0석8석[8]0석0석1석[9]
비례대표[A]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28.07% (508,319)28.69% (519,443)9.04% (163,753)17.84% (323,021)4.69% (84,878)3.05% (55,160)1.84% (33,336)
종합[B]범여권범야권
15석 / 65.80% (1,191,515)9석 / 27.42% (496,395)


4. 호남권[편집]


지역구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무소속
0석0석0석25석[10]0석0석6석[11]
비례대표[A]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7.13% (132,898)1.21% (22,616)1.82% (33,972)65.26% (1,216,242)8.75% (163,011)2.85% (53,057)2.08% (38,925)
종합[B]범여권범야권
0석 / 10.16% (189,486)31석 / 78.94% (1,471,235)


5. 대경권[편집]


지역구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무소속
17석[12]0석4석[13]0석0석0석6석[14]
비례대표[A]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49.36% (972,843)3.29% (64,822)27.01% (532,212)5.20% (102,506)3.64% (71,695)2.54% (50,142)1.95% (38,484)
종합[B]범여권범야권
27석 / 79.66% (1,569,877)0석 / 13.33% (262,827)


한나라당은 상대적으로 고전하고, 친박 무소속 연대의 돌풍이 불었다.

해당 결과를 함께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친박연대의 로고에 들어가는 붉은색 사선 표기를 함께 하였다. 경북지역에서 친박 무소속 연대가 아닌 무소속 당선자는 김광림 후보 뿐이다.


6. 동남권[편집]


지역구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무소속
29석[15]0석1석[16]2석[17]2석[18]0석7석[19]
비례대표[A]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43.32% (1,196,414)4.47% (123,320)19.75% (545,494)11.14% (307,678)8.60% (237,640)3.52% (97,270)3.03% (83,799)
종합[B]범여권범야권
37석 / 67.54% (1,865,228)4석 / 26.29% (726,387)


7. 강원권[편집]


지역구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무소속
3석0석0석2석0석0석3석[20]
비례대표[A]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45.52% (266,768)6.34% (37,618)12.29% (72,078)18.61% (109,108)5.94% (34,841)3.66% (21,455)2.25% (13,199)
종합[B]범여권범야권
4석 / 64.15% (376,464)4석 / 30.46% (178,603)


8. 제주권[편집]


지역구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무소속
0석0석0석3석0석0석0석
비례대표[A]한나라당자유선진당친박연대통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32.40% (70,473)4.17% (9,072)12.29% (26,741)30.22% (65,790)9.98% (21,718)5.06% (11,014)2.32% (5,062)
종합[B]범여권범야권
0석 / 48.86% (106,286)3석 / 47.58% (103,584)


9.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05:39에 나무위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지역별 결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서울 40, 경기 32, 인천 9[2] 경기 1[3] 서울 7, 경기 17, 인천 2[4] 서울 1[5] 경기 1 (친박 무소속 연대), 인천 1 (친박 무소속 연대)[A] A B C D E F G 비례대표 총 득표율의 합이 100%가 안 되는 이유는 진보신당을 제외한 원외정당 득표율과 무효표를 생략했기 때문이다.(진보신당은 2.9%의 의미있는 득표율을 얻었으므로 집계했다.)[B] A B C D E F G 지역구 합계 의석수 / 비례대표 총 득표율[6] 충북 1[7] 대전 5, 충남 8, 충북 1[8] 대전 1, 충남 1, 충북 6[9] 충남 1 (통합민주당 계열 무소속)[10] 광주 7, 전북 9, 전남 9[11] 광주 1, 전북 2, 전남 3 (모두 통합민주당 계열 무소속)[12] 대구 8, 경북 9[13] 대구 3, 경북 1[14] 대구 1 (친박 무소속 연대), 경북 5 (친박 무소속 연대 4, 한나라당 계열 무소속 1)[15] 부산 11, 울산 5, 경남 13[16] 부산 1[17] 부산 1, 경남 1[18] 경남 2[19] 부산 5 (친박 무소속 연대 4, 한나라당 계열 무소속 1), 울산 1 (한나라당 계열 무소속), 경남 1 (친박 무소속 연대)[20] 통합민주당 계열 무소속 2 (최욱철, 송훈석), 한나라당 계열 무소속 1 (최연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