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24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덤프버전 :

1. 개요
2. 일정
3. 예선
3.1. 아마추어 선발전
3.2. 통합예선
3.2.1. 전반조(A~H조) / 2회전(4월 2일)까지
3.2.2. 후반조(I~P조) / 2회전(4월 3일)까지
3.2.3. 3회전 이후 예선 일람
4. 본선
4.1. 진출자
4.2. 32강전
4.3. 16강전
4.4. 8강전
4.5. 준결승
4.6. 결승 : 한국 선수 내전 성사
5. 여담


1. 개요[편집]


2019년 3월부터 2020년 2월까지 개최 예정인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2. 일정[편집]



3. 예선[편집]



3.1. 아마추어 선발전[편집]


1조라운드구분대국자2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조성호
(연구생랭커)
이재성박정헌임지혁김동한
(아마랭커)
김승원주치홍김세현1회전홍명세
(연구생랭커)
고미소박태영양유준정찬호
(아마랭커)
정우진박신영김민석
2회전이재성임지혁김동한주치홍2회전홍명세양유준정우진박신영
3회전이재성주치홍3회전홍명세정우진
진출자이재성진출자정우진

3조라운드구분대국자4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김정현
(연구생랭커)
김주형최재호최윤상이상빈
(아마랭커)
조종신박지수김지성1회전송민혁
(연구생랭커)
임진욱윤성식홍세형허영락
(아마랭커)
강구홍김은지김상윤
2회전김주형최윤상이상빈김지성2회전송민혁윤성식허영락김상윤
3회전김주형이상빈3회전윤성식허영락
진출자김주형진출자허영락

5조라운드구분대국자6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엄동건
(연구생랭커)
김다빈조민수우진형곽원근
(아마랭커)
류인수진훈송홍석1회전금지우
(연구생랭커)
이성진김범서김윤태박종욱
(아마랭커)
이의현박상준양민석
2회전엄동건조민수곽원근송홍석2회전금지우김윤태박종욱박상준
3회전엄동건송홍석3회전금지우박상준
진출자엄동건진출자박상준


3.2. 통합예선[편집]


대진표에 이름이 짤린 경우도 있지만 각주를 생략함.
방송 및 중계 대국 표기 생략(~2회전)

표기는 다음과 같다.
표기중계방식
바둑TV
KK바둑
O사이버오로 중계

3.2.1. 전반조(A~H조) / 2회전(4월 2일)까지[편집]


A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박진영박준석원성진이영주황스위안쉬징언박대영이다 아츠시이주형누마다테 사키야이유진오유진김승준자오천위차민수탕웨이싱장타오(六)이창호한상조세키 고타로강다정이용수
2회전박진영이영주이다 아츠시오유진탕웨이싱이창호
3회전 진출원성진쉬징언이주형누마다테 사키야자오천위장타오이창호이용수

B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가오싱박지영강지수이창석장쯔량신재원천하오신와타나베 칸다이후쿠오카 코타로현유빈린스쉰서봉수황윈쑹나현한철균천스위안샤천쿤김준영이와타 사에카궈원차오엄동건저우루이양
2회전가오싱이창석와타나베 칸다이황윈쑹천스위안이와타 사에카
3회전 진출가오싱이창석와타나베 칸다이현유빈나현샤천쿤궈원차오저우루이양

C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김경은리샹위딩하오우에노 아사미김진휘룽이박상준장리요우구리한상훈차이텅웨이고토 마나루리옌한상열유창주셰얼하오권효진男바이신후이박진솔이연김노경서중휘
2회전리샹위김진휘장리요우루리옌셰얼하오박진솔
3회전 진출리샹위김진휘구리
<바>
한상훈
<바>
루리옌셰얼하오박진솔서중휘

D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설현준옥득진투샤오위홍무진후위한우츠미 고키허서현류시훈(日)지샹박정근리쩌루이우이밍차주혜위리쥔린리샹강우혁사카이 유키김진훈이세돌천셴셰커한우진
2회전설현준홍무진허서현우이밍린리샹이세돌
3회전 진출투샤오위홍무진지샹리쩌루이우이밍린리샹천셴셰커

E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허영락정쉬인쑹타오이형진이단비박하민박재근조남균(初)강지훈서무상이원도아오키 히로타카천샤오췐최정모리 치사키김미리송혜령김경환구쯔하오판팅위(三)김기헌무라모토 와타루
2회전정쉬이형진조남균아오키 히로타카김미리구쯔하오
3회전 진출정쉬이형진강지훈이원도최정송혜령구쯔하오무라모토 와타루

F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하라 마사카즈문민종김선호차오샤오양문유빈이호승송태곤후야오위조승아천웨이팅탄샤오최재영후쯔하오김현찬박정수천한치나카노 히로나리김명완린슈핑이상헌조완규조한승
2회전문민종차오샤오양송태곤최재영박정수김명완
3회전 진출문민종이호승송태곤탄샤오최재영박정수이상헌조한승

G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김제나김기용유병용당이페이오타케 유장혜령정훈현왕천싱뉴스터(臺)안형준양륜동(中)롄샤오이재웅박영훈테라타 슈타우광야류동완이성재양상국민상연최현재최홍윤
2회전김기용당이페이왕천싱롄샤오우광야이성재
3회전 진출유병용당이페이왕천싱안형준롄샤오우광야민상연최홍윤

H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이현준리친청진위청(中)박시열김형우리웨이칭간쓰양리하오퉁최명훈백홍석이민진장창무츠우라 유타김철중옌자이밍김민정아와지 슈조린지에한김기원김동희小왕쩌진윤찬희
2회전리친청김형우리하오퉁장창옌자이밍린지에한
3회전 진출리친청리웨이칭최명훈백홍석장창옌자이밍김동희小윤찬희

3.2.2. 후반조(I~P조) / 2회전(4월 3일)까지[편집]


I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류수항옌환사카이 다카시강훈小이도현홍기표온소진왕타오조인선김주형장웨이제펑리야오심준섭쑨텅위아베 요시키최원용이호범친웨신리웨이신민준정두호주형욱
2회전옌환강훈小왕타오펑리야오최원용친웨신
3회전 진출옌환홍기표조인선장웨이제펑리야오이호범친웨신주형욱

J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리위앙정우진한웅규왕레이김희수라이쥔푸박승화이현욱천위눙판윈뤄니시오카 마사오황웨이김동우와타나베 유김형환박준석강창배추커얼전영규이영구조혜연오병우
2회전정우진김희수박승화김동우박준석전영규
3회전 진출정우진라이쥔푸박승화판윈뤄김동우박준석이영구오병우

K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장건현정대상판인린옌청미위팅시다 다츠야김선기고이케 요시히로박건호홍성지배준희송규상선승민양쯔쉔멍타이링백현우션페이란이기섭황이중(中)정서준조연우김민석
2회전장건현미위팅김선기송규상멍타이링황이중
3회전 진출판인미위팅김선기홍성지송규상션페이란정서준김민석

L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안정기윤예성윤준상문종호박현수이우람양보웨이딩스슝권주리박경근윤현빈조토쿠 데츠시랴오위안허박영롱김지명허영호김영도윤종섭츠지 시게히토도은교리저이현호
2회전안정기문종호딩스슝랴오위안허김지명츠지 시게히토
3회전 진출안정기이우람딩스슝박경근랴오위안허김영도츠지 시게히토리저

M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천이밍전용수김기범최규병천치루이류민형허양(中)이영신나종훈안조영퉁멍청슈토 슌김영광김채영심재익이동훈오정아마이차오천정쉰박종훈위즈잉하네 하야카
2회전전용수천치루이허양김영광심재익마이차오
3회전 진출김기범천치루이허양퉁멍청김채영심재익박종훈위즈잉

N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구링이김종수이링타오문지환사다 아츠시권효진김세동양이타오신란루이취엔다케미야 요코천하오신양우석김명훈김상천윤민중장자환(臺)김성진정우진퉈자시유재호저우허시
2회전구링이사다 아츠시양이천하오신김상천김성진
3회전 진출이링타오사다 아츠시타오신란루이취엔김명훈김상천김성진유재호

O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송지훈한이저우오장욱진시영이상훈小이재성천쯔젠리쉬안하오김다영니시 다케노부문명근류싱송상훈허진한승주김수용린쥔옌츠루타 가즈시최영찬강지범이춘규
2회전한이저우진시영리쉬안하오류싱린쥔옌
3회전 진출한이저우진시영리쉬안하오니시 다케노부허진한승주린쥔옌이춘규

P조라운드구분대국자
1회전젠징팅이승준최광호강승민김상인양카이원박상진신윤호랴오싱원쉬자양차수권천풍조토리이 유타이동휘리허차부일목진석최원진정연우황춘치(中)다나카 고유
2회전이승준강승민박상진토리이 유타목진석
3회전 진출최광호강승민랴오싱원쉬자양이동휘리허목진석다나카 고유


3.2.3. 3회전 이후 예선 일람[편집]


A조3회전원성진쉬징언이주형누마다테
사키야
자오천위장타오이창호
<O>
이용수
<O>
4회전쉬징언
<O>
이주형
<O>
자오천위
<O>
이창호
<O>
예선결승쉬징언자오천위
B조3회전가오싱이창석와타나베
칸다이
현유빈나현
<K, O>
샤천쿤
<K, O>
궈원차오저우루이양
4회전이창석현유빈나현궈원차오
예선결승이창석나현
C조3회전리샹위김진휘구리
<바, O>
한상훈
<바, O>
루리옌셰얼하오박진솔서중휘
4회전김진휘구리루리옌박진솔
예선결승구리루리옌
D조3회전투샤오위홍무진지샹리쩌루이우이밍린리샹천셴셰커
4회전투샤오위지샹린리샹천셴
예선결승투샤오위천셴
E조3회전정쉬이형진강지훈이원도최정송혜령구쯔하오무라모토
와타루
4회전정쉬강지훈최정
<바, O>
구쯔하오
<바, O>
예선결승정쉬
<바, O>
최정
<바, O>
F조3회전문민종이호승송태곤
<바, O>
탄샤오
<바, O>
최재영박정수이상헌조한승
4회전이호승
<바, O>
탄샤오
<바, O>
최재영조한승
예선결승탄샤오
<바, O>
조한승
<바, O>
G조3회전유병용당이페이왕천싱안형준롄샤오우광야민상연최홍윤
4회전당이페이안형준롄샤오민상연
예선결승당이페이롄샤오
H조3회전리친청리웨이칭최명훈백홍석장창옌자이밍김동희
윤찬희
4회전리웨이칭
<K, O>
백홍석
<K, O>
장창윤찬희
예선결승백홍석윤찬희
I조3회전옌환홍기표조인선장웨이제펑리야오이호범친웨신주형욱
4회전옌환장웨이제펑리야오주형욱
예선결승장웨이제펑리야오
J조3회전정우진라이쥔푸박승화
<K, O>
판윈뤄
<K, O>
김동우박준석이영구오병우
4회전라이쥔푸판윈뤄박준석이영구
예선결승판윈뤄박준석
K조3회전판인미위팅김선기홍성지송규상션페이란정서준김민석
4회전미위팅
<K, O>
홍성지
<K, O>
션페이란정서준
예선결승미위팅
<O>
정서준
<O>
L조3회전안정기이우람딩스슝박경근랴오위안허김영도츠지
시게히토
리저
4회전안정기딩스슝랴오위안허리저
예선결승안정기랴오위안허
M조3회전김기범천치루이허양퉁멍청김채영심재익박종훈위즈잉
4회전천치루이퉁멍청심재익위즈잉
예선결승퉁멍청
<O>
심재익
<O>
N조3회전이링타오사다
아츠시
타오신란루이취엔김명훈김상천김성진유재호
4회전이링타오타오신란김명훈유재호
예선결승타오신란
<K, O>
김명훈
<K, O>
O조3회전한이저우진시영리쉬안하오니시
다케노부
허진한승주린쥔옌이춘규
4회전진시영리쉬안하오허진이춘규
예선결승리쉬안하오이춘규
P조3회전최광호강승민랴오싱원쉬자양이동휘리허목진석
<O>
다나카
고유
<O>
4회전강승민쉬자양리허목진석
예선결승쉬자양
<K, O>
목진석
<K, O>

이변이 쏟아지는 가운데 본선 진출자의 가닥이 잡혀가는 상황이다.


4. 본선[편집]




4.1. 진출자[편집]


  • 시드
    • 한국 : 박정환/신진서/김지석/변상일/강동윤/이지현(남)/박영훈(와일드카드)
    • 중국 : 양딩신/스웨(전기 시드) // 커제/판팅위/천야오예(국가 시드)
    • 일본 : 이야마 유타/쉬자위안/장쉬
    • 대만 : 쉬하오훙

  • 예선 통과자
    • 한국 : 나현/최정/백홍석
    • 중국 : 자오천위/루리옌/투샤오위/탄샤오/당이페이/펑리야오/판윈뤄/미위팅/랴오위안허/퉁멍청/타오신란/리쉬안하오/쉬자양
자비가 없는 중국의 엔트리


4.2. 32강전[편집]


대국장소 : 마리나베이 호텔(경기 김포)[1]대국일시 : 2019년 5월 27일
대국자1결과대국자2비고
신진서흑 불계승랴오위안허K바둑 중계(정규)
박정환흑 불계승퉁멍청바둑TV 중계()
김지석흑 불계승판윈뤄-
나현흑 불계승커제K바둑 중계(정규)
변상일흑 불계승양딩신-
박영훈흑 불계승당이페이-
강동윤백 불계승탄샤오-
이지현(남)백 불계승천야오예-
백홍석흑 1집반승펑리야오-
최정백 불계승스웨K바둑 중계(추가)[2]
이야마 유타흑 불계승리쉬안하오-
쉬자위안흑 불계승타오신란-
장쉬흑 불계승자오천위-
쉬하오훙백 1집반승투샤오위-
미위팅백 1집반승판팅위-
쉬자양백 불계승루리옌-
나현-커제 대국에서 너무 빨리 끝난 감이 있어 K바둑에선 급히 최정 대국을 추가중계했다.

4.3. 16강전[편집]


대국장소 : 마리나베이 호텔(경기 김포)[3]대국일시 : 2019년 5월 29일
대국자1결과대국자2비고
신진서흑 3집반승미위팅중복중계[4]
박정환백 불계승당이페이바둑TV 중계
김지석흑 불계승투샤오위K바둑(추가) 중계
변상일백 불계승타오신란-
최정백 불계승펑리야오K바둑 중계
이야마 유타백 불계승커제-
쉬자양흑 불계승탄샤오-
천야오예백 불계승자오천위-

4.4. 8강전[편집]


대국장소 : 강원 강릉대국일시 : 2019년 10월 28일
대국자1결과대국자2비고
신진서202수 백 불계승쉬자양중복중계
박정환152수 백 불계승펑리야오중복중계
김지석293수 백 반집승타오신란-
커제316수 백 5집반승천야오예-


4.5. 준결승[편집]


대국장소 : 강원 강릉대국일자 : 2019년 10월 30일[5]
대국자1결과대국자2비고
신진서195수 흑 불계승커제
박정환375수 흑 3집반승타오신란
부제 : 완벽한 한중전(...)

신진서는 커제를 꺾고 결승에 올랐으며 박정환은 타오신란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한국 선수간의 내전이 성사되어 4년 만의 한국이 LG배 우승컵 탈환이 확정되었다.

4.6. 결승 : 한국 선수 내전 성사[편집]


제24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결승 3번기
(박정환 九단 vs 신진서 九단)
(대국장소 : 경기 광명 라까사 호텔 특별대국장)
경기대국일자결과비고
1국2020년 2월 10일박정환신진서236수
백 불계승
2국2020년 2월 12일신진서박정환161수
흑 불계승
3국(2-0 승리로 해당사항 없음)

신진서의 생애 첫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이다.

5. 여담[편집]


이 대회(예선 2회전)를 통해서 이원도 선수가 현재 승단점수를 충족[6]하게 되어 구체[7]로 승단했다.
기타 승단자는 다음과 같다.[8]

승단자 명단
단수선수명
5단이형진이창석
4단이호승박건호박상진
3단심재익
2단이동휘김희수문민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52:32에 나무위키 제24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막식(5. 26), 16강전 포함[2] 나현-커제 대국이 빨리 끝나는 바람에 머쓱타드(...)로 추가함[3] 개막식(5. 26), 32강전 포함[4] K바둑과 바둑TV 양측 모두 중계됨 을 의미[5] 여담으로 이 날, 이벤트대회가 있다고 오로기사에서 언급되었다. 그런데 종목이....그 사범님과 연관이 있긴 하지만... 이젠 이 분도 해당 기사에서 언급된다.[6] 180점[7] 具體·7단의 별칭[8] 이호승 선수와 박상진 선수의 경우는 다른 대회에서 충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