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5회 메지온배 오픈신인왕전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대회 진행
3.1. 예선
3.2. 본선
3.2.1. 16강
3.2.1.1. 1라운드(10월 23일 14:00)
3.2.1.2. 2라운드(10월 30일 14:00)
3.2.2. 8강
3.2.2.1. 1라운드(11월 21일 14:00)
3.2.2.2. 2라운드(12월 4일 14:00)
3.2.3. 4강
3.2.4. 결승 3번기
4. 대회 결과


1. 개요[편집]


메지온배 오픈신인왕전 대회 진행을 나타낸 문서.


2. 상세[편집]




3. 대회 진행[편집]


  • 본선 진출자:
    • 전기시드: 신민준 六단(우승), 박하민 三단(준우승)
    • 와일드카드: 송지훈 三단[1]
    • 예선통과자 13인

3.1. 예선[편집]


파일:mezzion5.png

  • 예선 통과자: 오유진 五단, 최영찬 二단, 조승아 初단, 강지수 初단, 강우혁 初단, 이재성 (A)[2](연구생), 심재익 初단, 이승준 初단, 백현우 (A)(연구생), 이어덕둥 初단, 한상조 (A)(연구생)


3.2. 본선[편집]


파일:2017신인왕전.jpg
  • 본선 진출자:
    • 본선시드: 신민준 六단(전기우승), 박하민 三단(전기준우승), 송지훈 三단(와일드카드)
    • 초청기사: 시바노 도라마루[3] 七단(일본) - 션페이란 三단(중국)[4]
    • 예선통과: 오유진 五단, 최영찬 二단, 조승아 初단, 강지수 初단, 강우혁 初단, 이재성 (A)(연구생), 심재익 初단, 이승준 初단, 백현우 (A)(연구생), 이어덕둥 初단, 한상조 (A)(연구생)[5]
  • 해설진: 장혜연 캐스터 - 최명훈 九단


3.2.1. 16강[편집]


대국번호는 본선대진표에 따른다

3.2.1.1. 1라운드(10월 23일 14:00)[편집]




방송해설은 장혜연 진행-최명훈 해설 조.
대국번호대진표결과비고
3강지수 初단vs조승아 初단흑 6집반승(316수)-
4박하민 三단vs한상조(A)흑 불계승(247수)<스튜디오 대국>
5신민준 六단vs최영찬 二단흑 불계승(151수)<스튜디오 대국>
6심재익 初단vs이어덕둥 初단흑 불계승(187수)-


3.2.1.2. 2라운드(10월 30일 14:00)[편집]



대국번호대진표결과비고
1이재성(A)vs이승준 初단흑 불계승-
2시바노 도라마루 七단[3]vs강우혁 初단흑 불계승<스튜디오 대국>
7백현우(A)vs션페이란 三단흑 불계승-
8오유진 五단vs송지훈 三단백 불계승<스튜디오 대국>


3.2.2. 8강[편집]



3.2.2.1. 1라운드(11월 21일 14:00)[편집]




대국번호대진표결과비고
1이재성(A)VS강우혁 初단195수 끝 흑불계승-
2조승아 初단VS한상조(A)111수 끝 흑불계승여자기사 전원탈락

  • 이재성, 한상조 아마추어가 동반 4강에 오름에 따라, 아마추어 최소 1인이 신인왕전 결승에 오르는 것이 확정되었다.
  • 조승아 初단과 강우혁 初단은 둘 다 사활 실수를 하는 바람에 아마추어한테 대마를 헌납하면서 허망하게 탈락했다.
  • 한상조 아마추어는 이번 4강 진출로 프로 입단이 확정됐다. 연구생 내신인지, 프로 기전 출전에 대한 가산점인지는 불명.


3.2.2.2. 2라운드(12월 4일 14:00)[편집]

대국번호대진표결과비고
3신민준 六단VS이어덕둥 初단179수 흑 불계승-
4백현우(A)VS송지훈 三단224수 백 불계승-







3.2.3. 4강[편집]


대국번호대진표결과비고
1이재성(A)VS한상조(A)初단흑불계승(145수)2018년 1월 3일 생중계
2신민준 六단VS송지훈 三단흑불계승(165수)2017년 12월 18일 생중계


송지훈 vs 신민준 대국.



이재성 vs 한상조 대국.


3.2.4. 결승 3번기[편집]


진출자: 한상조(A) 初단[6], 신민준 六단

대국회차(대국일자)대국자(흑-백)결과
1번기(2018년 1월 18일 14:00)한상조 初단-신민준 六단백 불계승
2번기(2018년 1월 24일 14:00)신민준 六단-한상조 初단흑 불계승
3번기(2018년 1월 30일 14:00)(종료)


4. 대회 결과[편집]


우승 : 신민준 六단
준우승 : 한상조 初단
공동 3위 : 이재성(A)/송지훈 三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4:47:10에 나무위키 제5회 메지온배 오픈신인왕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마도 와일드카드 선정할 당시 二단이었던 모양이다. 현재 단수로 정정함[2] 아마추어 선수일 경우 표시하는 방법으로 이하 아마추어 선수일 경우 (A) 표시로 통일함[3] A B 시바노 토라마루로 표기되어 있으나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시바노 도라마루로 적음. 항목 작성 예정.[4] 이전 기록에 선페이란으로 되어있었다[5] 한상조 아마추어는 2017년 10월 기준 연구생 1군 내신 누적점수 206점으로 입단규정대로라면 입단대회 없이 연구생 내신입단 대상(연구생 내신 200점 이상 + 1위를 60일 이상 유지)이어야 한다. 2017년에 연구생 내신 입단이 2017년 10월 기준 한 명도 없다.[6] 대회기간 도중 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