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존 포스터 덜레스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토머스 제퍼슨 에드먼드 제닝스 랜돌프티모시 피커링존 마셜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임스 매디슨로버트 스미스제임스 먼로존 퀸시 애덤스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헨리 클레이마틴 밴 뷰런에드워드 리빙스턴루이스 맥래인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존 포시스대니얼 웹스터에이벌 P. 업셔존 C. 칼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제임스 뷰캐넌존 M. 클레이턴대니얼 웹스터에드워드 에버렛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윌리엄 L. 마시루이스 카스 제레미아 S. 블랙윌리엄 H. 수어드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엘리후 B. 워시번해밀턴 피시윌리엄 M. 에버트제임스 G. 블레인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프레드릭 T. 프레링후이슨 토머스 F. 바야드 제임스 G. 블레인존 W. 포스터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월터 Q. 그레셤리차드 올니존 셔먼윌리엄 R. 데이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존 헤이엘리후 루트로버트 베이컨필랜더 C. 녹스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윌리엄 J. 브라이언로버트 랜싱베인브리지 콜비찰스 에번스 휴스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프랭크 B. 켈로그헨리 L. 스팀슨코델 헐에드워드 스테티니어스 Jr.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제임스 F. 번즈조지 C. 마셜딘 애치슨존 포스터 덜레스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크리스찬 허터딘 러스크윌리엄 P. 로저스헨리 키신저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사이러스 밴스에드먼드 머스키알렉산더 헤이그조지 P. 슐츠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제임스 베이커로렌스 이글버거워런 크리스토퍼매들린 올브라이트
제65대제66대제67대제68대
콜린 파월콘돌리자 라이스힐러리 클린턴존 케리
제69대제70대제71대
렉스 틸러슨마이크 폼페이오토니 블링컨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올해의 인물 (195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50's
||




미합중국 제52대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
John Foster Dulles
파일:Senator_John_Foster_Dulles_(R-NY).jpg
출생1888년 2월 25일
미국 워싱턴 D.C.
사망1959년 5월 24일 (향년 71세)
미국 워싱턴 D.C.
국적파일:미국 국기.svg미국
직업정치인, 변호사
재임기간제52대 국무장관
1953년 1월 26일 ~ 1959년 4월 22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알렌 메이시 덜레스
형제자매남동생 알렌 웰스 덜레스
배우자Janet Pomeroy Avery
자녀에브리 로버트 덜레스
존 왓슨 포스터 덜레스
릴리어스 덜레스
종교장로교
학력프린스턴 대학교 (B.A.)
조지 워싱턴 대학교 (법학 / LL.D.)
정당

주요 경력뉴욕 주 상원의원
미 국무부 고문
제52대 국무장관


1. 개요
2. 생애
3. 한국과의 관계




1. 개요[편집]


미국의 전직 국무장관이자 외교관. 전임자인 딘 애치슨과 함께 냉전 초기의 핵심 인물들 중 하나로 1953년부터 1959년까지 국무장관을 재임했다.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조인한 미국 측 대표이다.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이 이 사람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2. 생애[편집]


1888년 미국 워싱턴 D.C.에서 장로교 목사인 알렌 메이시 덜레스의 자녀 5명 중장남으로 태어났다. 친할아버지인 존 웰시 덜레스는 인도에서 장로교 선교사로 활동했었고 외할아버지인 존 왓슨 포스터는 제32대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존 덜레스와 동생인 알렌을 애지중지했다.[1]

프린스턴 대학교를 졸업하고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하고 변호사로 재직했으며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육군에 지원했으나 약시인 탓에 입대할 수 없었다.

아이젠하워의 대통령 재임기 대부분을 국무장관으로 재직했지만, 아이젠하워가 임기를 마치기 불과 1년여 전인 1959년 4월 암으로 사직했다. 그리고 한달만인 같은 해 5월에 세상을 떠났다.

3. 한국과의 관계[편집]


파일:Walter_S._Robertson;Syngman_Rhee;John_Foster_Dulles,_Seoul,_Korea_3.jpg파일:Walter_S._Robertson;Syngman_Rhee;John_Foster_Dulles,_Seoul,_Korea.jpg
1953년 8월, 휴전 협상을 마무리하고 경복궁 근정전을 거닐고 있는 왼쪽부터 미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래스(John Foster Dulles), 이승만 대통령, 월터 로버트슨(Walter S. Robertson) 미 국무부 차관보.

한국과는 앞서 설명한 6.25 휴전 직후 성립된 한미 양국의 상호방위조약, 동맹 관계 수립의 당사자로 기록되어 있다. 아울러 재임 시절 일본측이 독도 영유권 주장의 근거들 중 하나로 주로 내세우는 러스크 서한에 대해 미 국무장관 자격의 전문(1953.12.9)으로 사실상 러스크 서한을 무력화(無力化)해주는 전문을 남겨 독도 영유권에 관해 한국측 입장의 정당성을 강화해주는 역할을 해주었다.

그의 전문에 의하면, 딘 러스크 당시 미 국무성 차관보가 작성한 러스크서한은 일본에도 알리지 않았고 또한 러스크서한에 명시된 미국의 입장은 여러 조약서명국들(48개국) 중의 한 나라의 의견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러스크서한을 가지고 영유권을 주장하거나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을 미 국무장관 명의의 전문으로 분명히 한 것이다. # ## 요컨대 차관보가 저지른 오류를 그보다 상급자인 장관이 직접 바로잡은 것이다.

그러나 당시 덜레스의 전문이 독도 대립에 관해 전적으로 한국의 편을 든다고 해석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도 있다. 당시 덜레스 장관이 러스크 서한의 국제법적 효력을 부정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미국이 독도 영유권에 대해 한일 양측 가운데 어느 편도 들지 않는 중립, 불개입을 선언한 것이 보다 정확하다는 것이다.[2]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5:52:04에 나무위키 존 포스터 덜레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기서 알렌은 나중에 CIA 국장을 역임한다.[2] 이는 지금까지도 미국의 입장으로 유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