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덤프버전 :





파일: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로고.png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中国国民党革命委员会
Revolutionary Committee of the Chinese Kuomintang(RCCK)
창당일1948년 1월 1일 (76주년)
중앙당사베이징시 둥청구 둥황청건난제84호
北京市东城区东黄城根南街84号
이념삼민주의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주석정젠방(郑建邦)
전인대 의석 수
43석 / 2980석 (1.4%)
당색
파란색 (#000094)
당보단결보
당원 수131,410명 (2017년 기준)
공식 사이트파일: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로고.png
1. 소개
2. 상세
3. 주요 인물
4. 역대 주석
5. 언어별 명칭
6. 역대 선거결과
6.1. 부주석 선거
6.2.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선거
6.3.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 선거
7. 같이 보기



1. 소개[편집]


중화인민공화국민주당파 8개 정당 중 하나이다. 약칭은 민혁. 1948년 1월 1일, 국공내전리지선, 천밍수, 쑹칭링, 차이팅카이중국국민당 내 좌파 당원들이 탈당하여 창당했다.

2. 상세[편집]


현재 중국은 일당제 국가이기 때문에 중국 공산당구색정당으로서 활동이 제약된 상황이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1949-1957년)에는 중국공산당과 정부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등 나름 야당의 모습을 보였고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1957년 반우파투쟁 때 일부 인사들이 숙청됐고 문화대혁명 때는 사실상 조직이 와해되어 활동을 중단하는 수모도 겪었다. 문화대혁명 종결 후 조직을 복구했지만 중국 공산당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만 활동하고 있다.

구색정당이긴 하지만 공개적으로 당원을 모집하고 각 직할시에 지역조직을 갖추고 있다. 신문과 잡지 등의 정기간행물 발행 등 정당으로써 하는 일상적인 활동은 대부분 하고 있으며, 산하 당영기업인 단결출판사를 운영하고 있다. 지금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나 중국인민대표대회 회기 때에는 언론에 이미 폭로된 중국공산당이나 정부 몇몇 인사의 부패를 비판하곤 한다.

2010년 2월 중국국민당혁명위원회 소속 단결출판사에서 장제스의 저작 《장개석가서일기문묵선록(蔣介石家書日記文墨選錄)》을 출판했는데 장제스의 저작이 대륙에서 출판된 것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최초다. 책 출판은 양안관계 개선을 위한 중국공산당과 중국 정부 측의 용인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출판된 책 내용은 장제스 총통과 가족 간의 서신, 장제스 총통의 일기, 장제스 총통의 가족과 주변 인물들에 대한 회상, 장제스 총통의 시와 산문 등 5개장으로 구성돼 있다.

대만으로 이동한 중국국민당과는 삼민주의를 이념으로 삼고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당히 다르다. 당의 이념으로 민주사회주의[1]를 받아들였으며 중도좌파 정당임을 표방한다. 물론 이들은 분명하게 중국국민당을 계승한 후신 정당임을 표방하고 있다. 창당 때 당원 대부분이 중국국민당 당원이었다. 쑹칭링만 해도 쑨원의 부인이자 중국국민당의 중앙집행위원을 역임한 인물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의 중국국민당도 인정[2]하고 있지만,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인) 대만의 지방자치 정당'으로 규정한다.

3. 주요 인물[편집]



4. 역대 주석[편집]



5. 언어별 명칭[편집]


  • 중국어
  • 영어: Revolutionary Committee of the Chinese Kuomintang[3] (RCCK)

6. 역대 선거결과[편집]



6.1. 부주석 선거[편집]


연도후보자득표수 결과
1959년쑹칭링불명당선
1964년쑹칭링불명당선

6.2.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선거[편집]


연도후보자득표수 결과
2013년완어샹2,970당선
2018년완어샹2,970당선
2023년정젠방2,952당선

6.3.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 선거[편집]


연도후보자득표수 결과
2013년치쉬춘2,237당선
2018년정젠방2,158당선
2023년허바오샹2,125당선

7.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4:58:51에 나무위키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애초에 쑨원은 이쪽에 가까웠다. 중국의 반식민지적 현실을 고려해서 즉각적인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적 혁명은 현실적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지 그의 삼민주의는 기간 산업의 국유화를 직접 언급하는 등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사회주의 지향을 반대하지 않는 반제국주의적 민주주의 혁명 사상으로 보는 게 맞다. 문제는 이런 진보성을 계승할 후계자가 없었으니 당내 우파는 두말할 것도 없고 장제스는 4.12 상하이 쿠데타로 뒤통수를 후려갈겼고 왕징웨이 등 자칭 당내 좌파는 연공과 분공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다가 결국 결렬했으며 왕징웨이는 한 술 더 떠서 장제스도 공개적으로는 부인한 파시즘을 수용하더니 끝내 한간이 되면서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고야 말았다. 이러니 국민당의 진보성과 혁명성에 감화되어 입당한 자들로서는 국민당이 돌이킬 수 없는 길을 가게되자 선택의 여지가 공산당 지지 밖에 없었던 것. 중국혁명기를 다룬 팩션 소설을 보면 민혁 등 민주인사가 어째서 내전에서 공산당을 지지하게 되었는지 묘사가 잘 되어있다.[2]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국민당을 정당으로서 인정한다는 증거는 양안 교류 시 당 대 당 교류 형태로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대만에 위치한 중화민국은 국가로 인정하지 않지만, 정당으로서의 중국국민당은 인정한다.[3] 대만(중화민국)의 중국 국민당은 the Kuomintang of China를 쓰고 있으나 중국 본토의 민혁은 '중국 국민당' 부분을 the Chinese Kuomintang으로 쓰고 있다. 하긴 이미 Revolutionary Committee of라고 썼는데 뒤에서 또 of를 이용해 전체 명칭을 얽어 놓으면 문법적으로 틀린 것은 아니지만 보기에 지저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