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화권 사극

덤프버전 :

1. 개요
2. 용어
3. 상세
4. 시대별 작품
4.1. 선진시대
4.4. 한나라 [1]
4.19. 민주화 이후의 대만
5. 가상역사물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중화권 사극은 중국(홍콩 포함), 대만에서 제작되는 사극을 일컫는다.


2. 용어[편집]


중화권 현지에서는 '역사극'이라고 하며, 넓게는 '고장극'이라고도 한다.
본 문서에서는 넓은 의미의 '고장극'과 좁은 의미의 '역사극'을 일부 혼용해 서술하니 주의할 것.

'고장극(古裝劇)'은 엄밀히 말해 사극의 상위 개념으로, 등장인물이 '고장(古裝, 옛날[2] 옷)'을 입고 나오며 배경이 '옛날'이거나 '옛날스러운'[3] 모든 극작품을 모조리 아우르는 상위 개념어이다. 그래서 '고장극'을 영어로 번역할 땐 주로 '코스튬 드라마(costume drama)'라고 하며, 근·현대사를 다루면 사극이라도 고장극으로는 치지 않는 작품이 많다.
극중 '옛날이 아니거나 아닌 듯한(...)' 배경이 함께 등장하는 타임슬립물은 작품에 따라 고장극 범주에서 빼기도 한다. 콕 집어 말하기는 어렵겠으나 작품 전체에서 옛날스러운 배경이 일정 비율 이상 나와야 대중도 고장극이라고 인식하는 듯. 대표적인 타임슬립 고장극으로 보보경심이 있다.

2015년쯤부터 한국 내 중국 드라마 팬층을 중심으로 '고장극'이라는 말이 퍼지고,[4] 2019~2020년 사이 일부 언론의 연예 뉴스에서 '고장극'이라는 말을 '사극'으로 퉁쳐서 쓰는 일이 벌어지면서, 2022년 현재 한국에서는 언론이나 SNS 등지에서 고장극과 사극, 무협(선협, SF 등 포함) 등의 용어를 구분하지 않는(못하는) 현상이 보인다.
물론 (상세 문단에서 서술하듯) 중국에서도 2010년대 퓨전 사극이 흥행하면서 고장극과 사극의 범주 구분이 좀 흐릿해지기는 했지만, 2019년 광전총국 심의 방침 발표 이후 어느 정도 권위 있는 매체에서는 용어를 되도록 명확하게 구분한다. 중국어 위키백과 고장극 문서에서도 사극, 무협극, 신화극, 궁정극 등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으로 명확히 서술한다. 해당 문서에서는 타임슬립물도 고장극 범주에 넣는다.


3. 상세[편집]


중국은 역사가 길고 남아있는 기록물이 많아 사극 콘텐츠로 써먹을 소재가 매우 풍부하다. 사극은 국가 선전용으로 쓰기에도 매우 훌륭한 문화 아이템이고, 그나마 광전총국의 심의에서 자유로운 장르라 자유롭게 재창작할 여지도 크며, 방송사나 각 지방 정부에서도 잘만 흥행하면 엄청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보니, 사극(드라마,영화) 시장 규모가 전세계에서 가장 크게 성장했다. 어느 정도로 크냐면 중국 각지에 도시 하나 크기 만한 사극 촬영장이 있다. 세부 장르도 매우 다양해서 정통 사극 말고도 바탕은 역사적 사실로 깔았지만 내용은 허구적 요소로 채운 것도 많고, 무협물과 짬뽕시켜서 내용이 판타지로 날아가버리는 것도 종종 나온다. 실존 인물의 삶을 다룬 것도 많아서, 유명한 작가라면 그 사람의 전기를 다룬 드라마가 하나 또는 그 이상 있을 정도다. 아무래도 시장이 크다보니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는 듯하다.

어째서인지 후한 말 삼국시대나 명, 청 시대를 많이 다루는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사실은 조선시대센고쿠 시대라는 특정 시대에 편중된 한국 사극이나 일본 사극에 비해 모든 시대를 골고루 다루는 편이다.

예전에는 중국 사극이라고 하면 무협물을 떠올리거나 엉망인 고증, 허접한 CG처리를 비웃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철저한 고증과 대륙의 기상을 보여주는 압도적인 스케일이 중국 사극의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게다가 영상 기술과 콘텐츠 모두 질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2012년에 방영된 신삼국과 2017년에 방영된 대군사 사마의를 보면 5년 만에 정말 괄목상대할 만큼 발전한 것을 알 수 있다.

1992년에 흔히 중공(中共)이라고 일컫던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기 전까지 우리가 볼 수 있는 사극은 대만 사극과 홍콩 사극뿐이었다. 2020년 기준 30~40대인 사람들의 추억 속에 SBS에서 측천무후라는 이름으로 방영한 대만 드라마 일대여황이 바로 그런 작품이다. 그 밖에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작품으로는 KBS에서도 방영한 칭기즈 칸신삼국, 초한전기가 있다. 대군사 사마의, 통천적인걸도 유명하나 중드에 관심있는 사람이 아니면 인지도는 없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철저한 고증'이라는 덕목이 2010년대 이후로 점점 무너져가는 추세다. 특히 신삼국 이후로 고증을 무시한 판타지가 많아지면서, 경무장을 해야 할 병사들이 중무장을 하고 나오는가 하면,[5] 수양제·당태종·당고종 시기의 고구려 원정을 반란군 진압 또는 지역 분쟁처럼 다루거나, 고구려 자체를 가상의 국가로 묘사하거나 생략하기도 한다.[6] 가끔 나오는 한반도 삼국의 사신 옷차림을 고증에 맞지 않거나 심지어 초라한 차림으로 묘사하기도 하는 반면, 일본과 관련된 장면은 짧더라도 비중있게 내보내기도 한다. 그렇게 작품을 만들어도 공산당 입맛에 맞지 않으면 방송 불가, 해외 수출 불가이기에, 결국 편집하거나 각본을 다른 방향으로 수정하느라 드라마의 경우 스토리가 꼬이는 일도 심심찮게 일어난다.

명청시대 배경 사극에서 조선 사신의 복장을 전형적인 한족 의상으로 묘사하기도 한다. 그나마 2020년에 방영한 대진부가 실제 진시황릉에서 발굴된 병마용갱을 거의 그대로 재현해 수준급의 의상, 갑옷, 상투 고증을 선보였는데, 애초에 이 드라마가 중국 사극 중에서도 원체 고증이 뛰어나기로 유명한 대진제국 시리즈의 작품이라 희귀한 케이스로 보는 게 더 좋을 듯.[7]

2019년 광전총국이 이른바 고한령(古限令, 장극 제한령)으로 심의를 강화하면서, 중국 대륙에서는 사극을 비롯한 고장극 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아이치이, 텐센트 등이 고한령에 반발하여 동년 4월부터 고장극 방영은 다시 가능해졌으나, 매달 15일 방송 계획을 보고해야 하며 현실 소재극이 60%를 차지해야 한다. 결국 고장극 제작 및 공개에 제한이 생기는 셈. 어떻게든 찍어 놓더라도 방송 예정일 직전에 석연찮은 이유로 편성이 연기되거나, 편성이 확정되어도 광전총국의 만행으로 드라마 방영 도중에 제목이 바뀌어 버리는 일까지 생겼다. 무엇보다 특정 왕조의 몰락과 멸망 등 흑역사가 주요 소재면 얄짤없이 심의에 걸려 방영허가를 받지 못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이마저도 2020년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에 사극과 현대극을 가리지 않고 전부 제작에 차질이 생겨버렸다.


4. 시대별 작품[편집]




4.1. 선진시대[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1990상하이 드라마제작센터봉신방
封神榜
주왕
2001TVB봉신방
封神榜
주왕
2006CCTV봉신방 - 봉명기산
封神榜之鳳鳴岐山
주왕마경도, 류덕개
2016영화봉신
封神传奇
주왕

4.2. 춘추전국시대[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2007CCTV와신상담
臥薪嘗膽
구천진도명
2007TVB월왕구천
越王勾踐
구천진보국, 포국안
2010영화조씨고아
趙氏孤兒[8]
진(晉) 경공
2013CCTV조씨고아
趙氏孤兒
진(晉) 경공오수파
2007CCTV대진제국지열변
大秦帝国之裂变
진(秦) 효공왕우용, 고원원
2012CCTV대진제국지종횡
大秦帝国之纵横
혜문왕부대룡[9], 녕정
2015드래곤TV미월전
芈月传
기원전 338년
~ 기원전 265년
손려, 유도, 방중신, 황헌
2017CCTV대진제국지굴기
大秦帝国之崛起
소양왕장박, 녕정
1996CCTV진시황제
秦始皇帝
시황제
2017저장위성TV진시려인명월심
秦时丽人明月心
시황제장빈빈, 디리러바
2018 파청전
巴清传
[10][11]
시황제판빙빙, 고운상[12], 반영자
2019아이치이[13]호란전
皓镧传[14]
장양왕 ~ 시황제오근언, 섭원, 녕정
2020CCTV대진부
大秦赋[15]
시황제장로일, 단혁굉

4.3. 초한쟁패기[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1989CCTV초한지
楚漢志
초한쟁패기
1998영화서초패왕
西楚覇王
초한쟁패기
2012CCTV초한전기
楚汉传奇
시황제
~ 초한쟁패기
진도명, 하윤동
2012후난위성TV초한쟁웅 楚漢爭雄초한쟁패기황추생

4.4. 한나라 [16][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2010상하이TV미인심계
美人心計
혜제 ~ 무제임심여, 양미
2001CCTV대한천자
大漢天子
무제황효명, 진도명
2005CCTV한무대제
漢武大帝
무제진보국
2014드래곤TV위황후전
衛皇后传[17]
무제임봉
2008CCTV모의천하
母儀天下
2016강소위성TV수려강산지장가행
秀麗江山之長歌行
광무제

4.5. 삼국시대[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1994CCTV삼국연의
三国演义[18]
당국강, 포국안, 육수명
1996CCTV제갈공명
诸葛孔明
2010CCTV삼국
三国[19]
진건빈, 우화용, 하윤동
2008영화적벽대전1, 2
赤壁
적벽대전장풍의, 양조위, 금성무
2012영화조조: 황제의 반란
銅雀台
후한 헌제
2017장쑤위성TV대군사사마의지군사연맹
大军师司马懿之军师联盟[20]
200년 ~ 226년우슈보, 류타오
2017장쑤위성TV대군사사마의지호소용음
大军师司马懿之虎啸龙吟[21]
226년 ~ 251년우슈보, 류타오
1956
1957
2002
2013
낙신
洛神
2010CCTV염석전기
廉石传奇

4.6. 서진 ~ 남북조시대[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1998CCTV황제와 황후
帝和后
무제
2013후난위성TV난릉왕
蘭陵王
북제, 북주 연간풍소봉, 임의신

4.7. 수나라[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
1998CCTV미루기
迷樓記
문제 ~ 양제
2012
~2013
후난위성TV수당영웅
隋唐英雄
수당교체기
2012
~2013
동방위성TV수당연의
隋唐演義
수당교체기
2018독고천하
独孤天下
수문제

4.8. 당나라[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1990CCTV정관정요
貞觀政要
당 태종
1984CCTV측천무후
则天武后
무주 성신황제
1986CCTV서유기
西遊記
1985CTV일대여황
一代女皇
624년
~ 705년
반영자
2017BTV통천적인걸
通天狄仁杰
고종
1985CTV일대공주
一代公主
무주 성신황제
~ 당 현종
1995CCTV낙양성의 봄
洛陽之春
2015후난위성TV무미랑전기
武媚娘传奇
637년 ~ 705년판빙빙, 장풍의
1984CCTV양귀비
楊貴妃
현종
2000CCTV대당비가
大唐悲歌
현종
2007CCTV대당부용원
大唐芙蓉园
현종
2016
~2017
BTV대당영요
大唐荣耀
현종

4.9. 오대십국시대[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2006영화황후화
皇后花
928년주윤발, 공리
2011후난위성TV경세황비
傾世皇妃
십국중 초, 남한, 촉임심여, 곽건화, 엄관

4.10. 송나라[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2015대송전기지조광윤
大宋传奇之赵匡胤
태조진건빈, 왕회춘
2002CCTV양문호장
楊門虎將
태종
2021아이치이대송궁사
大宋宫词
진종
1974
1993
CTS포청천
包靑天
인종김초군, 하가경, 범홍헌
1987CCTV포청천연의
包靑天演義
인종
2020호남위성TV청평악
清平乐[22]
인종
1992CCTV왕안석
王安石
신종
1985CCTV악비
岳飛
1998CCTV수호전
水湖志
인종 ~ 휘종
2014정충악비
精忠岳飞
휘종 ~ 고종


4.11. 요나라[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
2020북경TV연운대
燕云台
예지황후

4.12. 몽골 제국·원나라[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2013후난위성TV건원풍운
建元风云
호군, 당국강
2004CCTV칭기즈칸
成吉思汗
1986CCTV쿠빌라이
忽必烈

4.13. 명나라[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출연
2000CCTV주원장
朱元璋
1995CCTV정화
鄭和
2019
~2020
후난위성TV대명풍화
大明风华[23]
선덕제
2016드래곤TV여의명비전
女医明妃传
정통제류시시, 곽건화, 황원
1994TVB협녀유룡
俠女游龍
정덕제
2001CCTV바람의 생애
豊的生涯
가정제
1991CCTV만력연의
萬曆演義
만력제
대명천하[24]
大明天下
천계제장흔
2003CCTV강산풍우정
江山风雨情
숭정제이강, 당국강, 왕강, 진보국


4.14. 청나라[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
1988CTV일대황후 대옥아
一代皇后大玉兒
2005CCTV태조비사
太祖秘史
천명제
2003CCTV효장태후비사
孝莊太后秘史
숭덕제 ~ 강희제
2001CCTV강희왕조
康熙王朝
강희제
1997CCTV옹정왕조
雍正王朝
옹정제
2016BTV후궁견환전
后宫甄嬛传
옹정제
1991CCTV건륭과 향비
乾隆和香妃
건륭제
1999CCTV철치동아기효람
铁齿铜牙纪晓岚
건륭제
2018BTV여의전
如懿传
건륭제
2018아이치이연희공략
延禧攻略
건륭제
1997CCTV아편전쟁
阿片戰爭[25]
도광제
1988CCTV서태후
西太后
함풍제~광서제
1994CCTV자희태후
慈禧太后
1999CCTV태평천국
太平天國
2010BTV
NHK BShi[26]
창궁지묘
苍穹之昴[27]
광서제
2017둥팡위성TV
장쑤위성TV
나년화개월정원
那年花开月正圆
1884년 ~ 1908년


4.15. 북양정권, 중화민국/국민정부 시대[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
1993영화패왕별희1924년 ~ 1949년
1994인생국공내전
1999CCTV중국명운적결전
中国命运的决战
1944~1949[28]
2009영화건국대업
建国大业
국공내전
2015후난위성TV위장자: 감춰진 신분
伪装者
왕징웨이 정권
2021CCTV각성년대
觉醒年代
5.4운동
2021CCTV대결전
大决战
국공내전

4.16. 중화인민공화국[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경
1993영화패왕별희1966년 ~ 1977년
1994인생1950년[29] ~ 1970년대[30]
1995소설허삼관 매혈기대약진운동 ~ 문화대혁명
2015영화울프 토템문화대혁명

4.17. 대만일치시기[편집]


  • 2014 KANO
  • 2016 보랏빛 다다오청(紫色大稻埕)
  • 2016 대도정(大稻埕)
  • 2018 대북가수(台北歌手)


4.18. 대만 계엄령 시기[편집]


  • 2015 일파청(一把青)
  • 2018 분노적보살(憤怒的菩薩)
  • 2021 차금(茶金)


4.19. 민주화 이후의 대만[편집]



5. 가상역사물[편집]


CCTV 방영목록
  • 1985 패자(覇者)
  • 1990 만귀비(萬貴妃)
  • 1994 홍루몽(紅樓夢)
  • 1999 신패왕별희(新覇王別姬)
  • 2001 전왕(錢王)
  • 2003 조설근(曹雪斤)
  • 2004 황태자비사(皇太子秘史), 풍도(馮道), 특집극 <봉구황(鳳求凰)>
  • 2006 오월춘추(吳越春秋), 오산제일봉(吳山第一峰)

그 이외 목록
  • 랑야방[31]


6. 관련 문서[편집]



[1] 삼국시대와 불가분인 후한 말은 제외합니다 [2] 근대 이전, 곧 청나라 시대까지. 넓게 보면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전까지 넣을 수도 있겠지만, 아직 그 시절을 겪은 세대가 생존해 있어서인지, 그 시절 옷까지 '고장'으로 치는 일는 별로 없다.[3] 이를테면 '옛날스러운 가상 세계'를 배경으로 한 무협, 선협, 판타지, SF 등.[4] 그전까지는 대부분 그냥 '중화권 사극' 또는 '중국/홍콩/대만 사극'이라고 불렀다.[5] 특히 신삼국에서 사용한 엉터리 투구와 갑옷을 진한시대 사극에 재활용하면서 문제점이 커졌다.[6] 동북공정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7] 여담으로 이 대진부의 의상을 담당했던 의상감독은 이전에도 같은 진나라가 시대적 배경인 미월전의 의상도 담당했던 적이 있는데, 대진부와 다르게 여기서는 고증에 어긋난 의상을 선보여 고증덕후들에게 많이 까이기도 했다.[8] 국내 개봉판은 천하영웅, 영제는 Sacrifice다.[9] 이 사람의 도플갱어로 유명한 그 사람 맞다.[10] 원제는 영천하(嬴天下)[11] 하지만 출연 배우 고운상의 호주에서의 성폭행사건으로 중국 연예계에서 영구퇴출되었고, 판빙빙또한 탈세문제로 인해 큰 홍역을 치루었기 때문에 방영이 무기한 연기라고 쓰고 사실상 불발되었다. 실제로 이 드라마 담당 제작사가 부도직전까지 가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고운상이 연기했던 진시황 역의 경우 판빙빙의 남자친구인 리천을 캐스팅하여 재촬영에 들어가고 촬영을 할 수 없는 부분은 고운상의 얼굴에 리천의 얼굴을 합성하는 작업을 거쳤다. 하지만 얼마 안있다가 여주인공 역의 판빙빙 마저 탈세 병크가 일어나면서 남주인공과 여주인공 모두가 병크에 휘말리는 불운의 드라마로 전락해버리고 말았다. 일설에 의하면 판빙빙이 맡았던 여주인공 파청 역할도 새로운 여배우를 캐스팅해서 고운상처럼 재촬영하고 재촬영이 불가능한 촬영분은 기존의 판빙빙 얼굴에 CG로 합성할거라고는 하는데... 여주와 남주가 둘다 얼굴이 CG로 합성된 희대의 드라마 다만 고운상의 경우 현지 법원에서 극적으로 무죄 판결을 받기는 했으나 불륜 정황은 거의 확실해보인다는 점 때문에 연예계로 복귀는 여전히 물건너 간 상황이다.[12] 미월전에서 의거왕 적려 역을 맡았던 배우. 하지만 호주에서의 성폭행사건때문에 고운상의 촬영분은 통편집되었고 판빙빙의 남자친구 리천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13] TV전파를 타지 않고 웹드라마로 풀렸다.[14] 연희공략의 제작자였던 우정이 제작을 담당했기때문에 연희공략 주연 배우들이 대거출연했다.[15] 대진제국 시리즈 4편 작품으로, 원제는 대진제국지천하(大秦帝国之天下).[16] 삼국시대와 불가분인 후한 말은 제외합니다 [17] 중국판 제목은 '위자부(卫子夫)'[18] 흔히 84부작 삼국지라고 불린다.[19] 흔히 95부작 삼국지, 혹은 신삼국이라고 불린다.[20] 국내판은 사마의: 미완의 책사[21] 국내판은 사마의: 최후의 승자[22] 원제는 고성폐(孤城閉).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다[23] 원제는 대명황비손약미전(大明皇妃孙若微传). 탕웨이가 주연을 맡아서 국내에서도 화제가 되었다.[24] 한국판 제목은 '천하'[25] 홍콩반환 기념으로 방영하였다.[26] 일본 NHK의 전직 프로듀서들이 제작에 참여한 중일합작드라마로 일본배우 다나카 유코가 서태후를 연기하였다.[27] 일본식 제목은 창궁의묘(蒼穹の昴). 일본의 소설가 아사다 지로(浅田次郎)의 동명소설이 원작이다.[28] 국공내전 시기를 다루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50주년 기념작품이다.[29] 반혁명진압운동[30] 문화대혁명이 끝난 이후다.[31] 작중에서 배경이 양나라라고 나오긴 하는데 아무리봐도 현실의 양나라와는 거리가 멀어 무협으로 분류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8:41:07에 나무위키 중화권 사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