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구 최후의 밤

덤프버전 :

지구 최후의 밤 (2018)
地球最后的夜晚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1]
파일:지구최후의밤.jpg
[영어 포스터]
파일:longdaysjourneyintonight.jpg
장르드라마, 미스터리
감독비 간
각본비 간
원작
제작
출연탕웨이, 황각 외
촬영데이비드 쉬잘래[2], 야오홍이, 동경송[3]
음악Chih-Yuan Hsu, Giong Lim
촬영 기간
제작사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찬란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찬란
개봉일파일:중국 국기.svg 2018년 12월 3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7월 25일
화면비1.85 : 1
상영 시간138분
제작비100,000,000 위안 (추정)
월드 박스오피스$42,140,994
북미 박스오피스$521,365
대한민국 총 관객 수8,431명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설정
6. 줄거리
7. 평가
7.1. 영화 평론가 평
8. 흥행
9. 기타



1. 개요[편집]


카일리 블루스로 데뷔한 비 간 감독의 2018년 영화로 2018년 칸 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받았다.


2. 예고편[편집]


▲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아버지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고향 카일리로 돌아온 남자 뤄홍우.

과거에 만났던 여인 완치원의 흔적을 발견하고 꿈인지, 현실인지 알 수 없었던 그녀와 함께한 여름을 회상한다.

그리고 그는 그녀를 찾아 언제 끝날지 모르는 긴 여정을 시작한다.



4. 등장인물[편집]



5. 설정[편집]




6. 줄거리[편집]




7.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64145|
기자·평론가
8.00 / 10
관람객
7.56 / 10
네티즌
7.39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8.00 / 10
관람객
7.56 / 10
네티즌
7.39 / 10
]]
평점 7.56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6.0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83%





감각적이고 몽환적인 영상미, 기억과 꿈을 대조적으로 표현한 듯한 독특한 구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촬영 및 편집[약스포일러], 섬세한 감정선 등으로 평론가들에게 호평받았다. 그러나 대중들에게는 전반부의 난해한 스토리[4]와 전체적으로 느린 전개 때문에 호불호가 갈린다. 그나마 왓챠 평점이나 CGV 골든에그 지수 등은 이 영화가 예술영화임을 숙지하고 본 관객들의 평점이 대부분이기에 무난한 편이지만, 중국에서는 마치 데이트용 멜로영화처럼 홍보됐던 탓에 관객들의 혹평이 쏟아졌다.[5]


7.1. 영화 평론가 평[편집]


점멸하는 기억과 발광하는 꿈이 함께 서식하는 신비로운 세계.

이동진 ★★★★★[6]


중국영화의 미래? 그런 건 모르겠고 올해 만날 최고의 매력덩어리

이용철 ★★★★


[산골토크] 지구 최후의 밤

정성일



8. 흥행[편집]



8.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명-명미집계-원-원
1주차2019-07-25. 1일차(목)59명439명58위472,500원3,820,800원
2019-07-26. 2일차(금)31명64위273,300원
2019-07-27. 3일차(토)111명44위1,332,000원
2019-07-28. 4일차(일)47명55위438,500원
2019-07-29. 5일차(월)58명52위453,000원
2019-07-30. 6일차(화)52명64위446,500원
2019-07-31. 7일차(수)81명46위405,000원
2주차2019-08-01. 8일차(목)84명1,155명45위588,500원10,301,500원
2019-08-02. 9일차(금)372명25위4,097,000원
2019-08-03. 10일차(토)234명30위1,818,000원
2019-08-04. 11일차(일)175명29위1,512,000원
2019-08-05. 12일차(월)89명41위727,000원
2019-08-06. 13일차(화)95명42위738,000원
2019-08-07. 14일차(수)106명39위821,000원
합계 누적관객수 7,496명, 누적매출액 63,104,580원[7]


한국에서는 뉴트로시네마 기획의 일환으로 매니페스토, 파리 에듀케이션, 캘리포니아 타이프라이터와 함께 묶어서 개봉했다.


9.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21:09:07에 나무위키 지구 최후의 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유진 오닐의 희곡 밤으로의 긴 여로에서 가져왔다.[2] 3D 파트 촬영 담당[3] 2D 파트의 절반 가량을 야오홍이가 촬영후 일정상 하차했고, 나머지 부분을 동경송이 이어서 촬영했다.[약스포일러] 전반부와 후반부가 극명하게 대조되도록 구성되었는데, 특히 후반부가 1시간짜리 3D 롱테이크처럼 촬영/편집되었다. 전반부는 지루하고 난해했지만 후반부는 인상깊게 봤다는 관객들도 있을 정도.[4] 이 영화에 만점을 준 이동진영화당에서 지구 최후의 밤을 해설하면서 이 전반부의 스토리를 요약해서 설명했는데, 이를 들은 김중혁 작가가 "그런 이야기였어요?"(...)라고 반응했다. 영화광 소설가조차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스토리라는 것.[5] 이런 페이크 마케팅 덕분에 예술영화 치고는 상당한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고 한다. 그나마도 개봉일 수익이 대부분이었고 다음날부터 흥행이 곤두박질 쳤을 정도로 입소문이 안 좋았다. 감독 전작인 카일리 블루스는 유명 배우가 나오지 않았으나, 본작은 탕웨이와 황각이라는 유명 스타가 출연해 낚이기에 딱 좋았다.[6] ★★★★☆에서 추후 상향[7] ~ 2023/01/23 기준[8] 특히나 스토커의 영향이 짙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