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55,#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height=80><width=25%> [[DDR 오버리가|[[파일:logo-ddr-oberliga.png|height=50]]]][br]
[[DDR 오버리가|{{{#d9cb03 '''오버리가'''}}}]]
||<width=25%> [[소비에트 톱 리그|[[파일:소련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0]]]][br]
[[소비에트 톱 리그|{{{#fcef26 '''소련 최고 리그'''}}}]]
||<width=25%>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파일: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png|height=50]]]][br]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fcef26 '''유고 1부 리그'''}}}]]
||<width=25%>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파일:체코슬로바키아 로고.png|height=50]]]][br]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ed1c23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 ||<rowbgcolor=#f0f0f0,#191919> [[동독|[[파일:동독 국기.svg|width=30]]]] || [[소련|[[파일:소련 국기.svg|width=30]]]] || [[유고슬라비아|[[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30]]]] || [[체코슬로바키아|[[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4> {{{-2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전 세계 리그]]}}} ||





폿발로바 리가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체코슬로바키아 로고.png
체코어 명칭 Československá fotbalová liga
슬로바키아어 명칭Československá futbalová liga
창설 연도1925년
폐지 연도1993년
국가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참가 팀 수16개 팀
하위 리그체코 나로드니 리그
슬로바키아 나로드니 리그
컵 대회체코슬로바키아컵
마지막 우승팀파일:AC 스파르타 프라하 로고(1999~2021).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1991-92)
최다 우승팀파일:AC 스파르타 프라하 로고(1999~2021).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21회)

1. 개요
2. 역사
3. 역대 우승팀
4. 분리 및 편입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는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연방이 해체될때 까지 체코슬로바키아의 최상위리그였다. 국가 분리 이후 체코의 1. 체스카 포트발로바 리가와 슬로바키아의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로 분리되었다.


2. 역사[편집]


1925년 체코 프라하 팀들만으로 구성된 첫 리그가 개막했다. 이후 프라하를 중심으로 보헤미아 지역 팀들로 리그 참가팀이 늘어났고, 이후 1929년부터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모라비아지방으로 리그가 확장되었다. 1934년부터는 슬로바키아 지방의 팀들도 리그에 참여해 명실상부한 전국리그가 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시기 주권을 잃었던 시기에 7년간 모라비아보헤미아지역 리그로 축소운영되다가[1] 나치 독일 패망 이후 국가가 복원되어 다시 1945년부터 체코슬로바키아 주별리그가 실시되었다. 1949-50 시즌 처음으로 전국 통합 리그인 체코슬로바키아 내셔널 챔피언십이 출범했고, 1951년 이름을 바꿔 공화국 챔피언십으로 리그가 치러졌다. 다시 1956년 체코슬라바키아 1부 리그로 이름이 변경되어 마지막 시즌까지 이 이름을 유지했다.

첫 리그가 프라하 지역에서부터 시작된 역사에 기인하듯, 압도적으로 프라하 연고 팀들의 강세가 돋보였다. 특히 SK 슬라비아 프라하, AC 스파르타 프라하, FK 두클라 프라하 세 팀의 리그 우승 횟수를 합하면 39회가 될 정도로 프라하 초강세였다. 슬로바키아 지역 팀들 중에서는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가 50년대 3연패를 달성한 적이 있었고,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가 우승을 차지한 적이 있지만, 대부분 리그 우승은 체코 지역 팀들이 독식했다. 위에 언급된 세 팀 말고도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보헤미안스 프라하 1905, 빅토리아 지즈코프, FC 흐라데츠크랄로베, FC 즈브로요프카 브르노가 체코 지역 팀으로 리그 우승을 달성했던 팀들이다.


3. 역대 우승팀[편집]


프라하 리그
시즌우승팀
1925SK 슬라비아 프라하
1925-26AC 스파르타 프라하
1927AC 스파르타 프라하
1927-28FK 빅토리아 지즈코프
1928-29SK 슬라비아 프라하
1929-30SK 슬라비아 프라하
1930-31SK 슬라비아 프라하
1931-32AC 스파르타 프라하
1932-33SK 슬라비아 프라하
1933-34SK 슬라비아 프라하
1934-35SK 슬라비아 프라하
1935-36AC 스파르타 프라하
1936-37SK 슬라비아 프라하
1937-38AC 스파르타 프라하
보헤미아-모라비아 리그 시대
1938-39AC 스파르타 프라하
1939-40SK 슬라비아 프라하
1940-41SK 슬라비아 프라하
1941-42SK 슬라비아 프라하
1942-43SK 슬라비아 프라하
1943-44AC 스파르타 프라하
1944~1945 제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가우리가 강제편입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1945-46AC 스파르타 프라하
1946-47SK 슬라비아 프라하
1947-48AC 스파르타 프라하
1948리그 무효 선언
1949NV 브라티슬라바
1950NV 브라티슬라바
1951NV 브라티슬라바
1952스파르타 CKD 소콜로보
1953UDA 프라하
1954스파르타 프라하 소콜로보
1955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956FK 두클라 프라하
1957-58FK 두클라 프라하
1958-59CH 브라티슬라바
1959-60스파르타크 흐라데츠 크랄로베[2]
1960-61FK 두클라 프라하
1961-62FK 두클라 프라하
1962-63FK 두클라 프라하
1963-64FK 두클라 프라하
1964-65AC 스파르타 프라하
1965-66FK 두클라 프라하
1966-67AC 스파르타 프라하
1967-68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1968-69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1969-70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970-71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1971-72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1972-73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1973-74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974-75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975-76FC 바니크 오스트라바
1976-77FK 두클라 프라하
1977-78FC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1978-79FK 두클라 프라하
1979-80FC 바니크 오스트라바
1980-81FC 바니크 오스트라바
1981-82FK 두클라 프라하
1982-83보헤미안스 프라하 1905
1983-84AC 스파르타 프라하
1984-85AC 스파르타 프라하
1985-86TJ 비트코비체
1986-87AC 스파르타 프라하
1987-88AC 스파르타 프라하
1988-89AC 스파르타 프라하
1989-90AC 스파르타 프라하
1990-91AC 스파르타 프라하
1991-92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992-93AC 스파르타 프라하


4. 분리 및 편입[편집]


1992-93 시즌을 마지막으로 체코슬로바키아 리그는 슬로바키아 리그가 분리해서 따로 창설되는 형식으로 해체되었다. 당시 1부 리그를 구성한 16팀도 각자의 국적에 따라서 리그 이동을 했다. 16팀 중 체코 팀 10팀, 슬로바키아 6팀으로 나뉘어졌고, 1993-94 시즌에서 체코 1부 리그는 16팀으로, 슬로바키아 수퍼리가는 12팀으로 운영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마지막 시즌 강등은 존재하지 않고, 각각 분리된 리그의 빈 자리를 2부 리그 팀들이 메꾸는 형식의 승격만 진행되었다.[3][4][5]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3:13:32에 나무위키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시기 슬로바키아는 나치 치하의 괴뢰국으로 독립 리그를 구성해 시즌을 치렀다.[2]FC 흐라데츠크랄로베[3] 체코 리그에는 6팀이 하부 리그에서 올라오고, 슬로바키아 리그에는 역시 6팀이 하부 리그에서 올라왔다.[4] 현재 체코 리그의 강팀인 빅토리아 플젠이 이 시기에 하부 리그에서 올라와 체코 1부 리그에 데뷔한 팀이다. FC 슬로반 리베레츠 또한 이 시기에서야 첫 1부 리그 승격을 이룬다. 슬로바키아 리그에서는 MŠK 질리나가 이런 케이스다.[5] 반대로 리그 분리 이후 과거 체코슬로바키아 1부리그의 강팀이던 FK 두클라 프라하는 리그 분리 첫 시즌 체코 1부 리그에서 강등당하는 수모를 겪고, 추락을 거듭한 끝에 타 구단에 합병되어 1996년 아예 없어져버렸다! 이후 2004년 동명의 FK 두클라 프라하가 재창단되어 2011년 어렵사리 1부 리그에 복귀하나 이마저도 2018-19 시즌 강등되어, 현재는 2부 리그 팀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