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라임

덤프버전 :

카라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튀르크 깃발.svg
튀르크
[ 펼치기 · 접기 ]

민족
보편 튀르크시베리아돌간인 | 쇼르인 | 알타이인 | 사하인 | 유고족 | 차탕족 | 소요트 | 출름 | 토파 | 투바인 | 하카스인
킵차크노가이인 | 바시키르인 | 발카르인 | 우룸인 | 카라임 | 카라차이인 | 카라칼파크인 | 카자흐 | 쿠만 † | 쿠미크인 | 키르기스 | 타타르 (립카 타타르 | 크림 타타르)
카를루크우즈베크 | 위구르
오구즈가가우즈인 | 살라르족 | 시리아 튀르크멘 | 아제르바이잔인 | 이라크 튀르크멘 | 카슈카이족 | 튀르키예인 | 투르크멘 | 페체네그 † | 호라산 튀르크
아르구할라지인
오구르불가르 † | 아바르 † | 추바시인 | 하자르
국가 및 지역
독립국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미승인)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자치 지역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나흐츠반 |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 파일:중국 국기.svg 신장 위구르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파일:중국 국기.svg 일리 카자흐 자치주 |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 파일:2000px-Flag_of_Chuvashia.svg.png 추바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칼팍스탄 국기.svg 카라칼팍스탄 |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다수 거주지파일:이란 국기.svg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lag_of_the_Bayan-%C3%96lgii.png 바잉울기
사회문화
언어튀르크어족
신화쾨로을루 신화 | 텡그리 신앙
외교 및 사상범튀르크주의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파일:남아제르바이잔 기.svg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인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바시키르인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아바르인모르드바인카자흐
아제르바이잔인다르긴인우드무르트인마리인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체르케스인
카바르딘인
쿠미크인야쿠트인레즈긴인
벱스인독일계 러시아인우즈벡투바인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타지크부랴트인
칼미크인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아슈케나짐몰도바인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고려인,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키르기스코미인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스페인계 러시아인폴란드계 러시아인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투르크멘사미족루툴인
아굴인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세투인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쇼르인케레크압하스인나나이족
아시리아인아랍계 러시아인나가이바크돌간인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니브흐우디인인도계 러시아인샵수그인
위구르인케트인세르비아인이텔멘족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울치족텔레우트인타트인
탈리시인,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슬로바키아인카라칼파크인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소요트일본계 러시아인이탈리아계 러시아인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영국계 러시아인스웨덴계 러시아인아일랜드계 러시아인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포르투갈계 러시아인스위스계 러시아인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파일:F193C197-E6FE-4C1D-9837-C384B4686FC4.jpg
1. 개요
2. 교리
3. 기원
4. 역사
5. 현황
6. 여담


1. 개요[편집]


  • Karaites
  • Къарайлар / Qaraylar

카라임(카라이 유대인)은 카라이파 유대교를 믿고 크림 반도리투아니아, 벨라루스 일대에서 퍼져 살며 튀르크어족이 속하는 크림 타타르어방언연속체(카라임어)를 써왔던 유대인 일파를 일컫는다. 오늘날 유럽에서는 천오백여 명이 남아있으며, 카라임어 구사가 가능한 인구는 200여명 내외이다. 소련 시절인 1979년 소련 내 카라이 유대인 인구가 3,300여 명이었다는 통계가 남아있다.


2. 교리[편집]


카라임(קָרָאִים / Qara'im)이라는 말은 히브리어로 '읽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들이 속한 카라이파 유대교(יַהֲדוּת קָרָאִית / Yahadut Qara'it)는 문자로 기록된 토라타나크만 인정하고 탈무드, 구전 전승의 권위를 부정하거나 경시하는 종파이다. 이들은 오직 토라와 타나크만이 할라카(הֲלָכָה / Halakha, 유대교 율법)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여기며, 토라와 타나크 해석도 이슬람의 한발리파처럼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성향으로 유대교 교파 중 근본주의 성향의 소수 종파에 해당한다. 다른 유대인들과 다르게 하누카를 지내지 않는다. 또한 이들은 다른 유대인들과 달리 고기와 우유를 같이 먹는 것이 가능하다.


3. 기원[편집]


이들의 종파 기원은 바그다드에 살던 서기 8세기 유대인 랍비 아난 벤다비드(ענן בן דוד, Anan ben David, 715–795)와 그의 근본주의적 해석을 따르던 유대인들로 여겨진다. 그를 못마땅하게 여긴 다른 랍비들이 그를 고발해서 감옥에 한 차례 들어갔다 나온 아난 벤다비드는 자신의 추종자들을 이끌고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였다.[1] 이후 그를 추종했던 유대인들은 이집트, 시리아,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퍼져살았다. 십자군 전쟁 이후 카라이 유대인 상당수는 제노바 상인들을 따라 리스크가 크지만 무역 이익이 많았던 크림 반도제노바 공화국 식민지로 이주하고, 여기서 하자르 칸국의 직계 후손인 유대교를 믿는 튀르크-슬라브인들과 혼혈되면서 오늘날의 카라이 유대인의 민족적 기원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4FFDC8BA-CCF3-4DB0-9DE2-4B614ACA669C.jpg
카라이 유대인들은 제노바 상인들의 도움으로 크림반도로 이주하고 무역할 수 있었다.


4. 역사[편집]


크림 반도 정착 초창기의 이들은 킵차크 칸국과 그 후신 크림 칸국이 동유럽 각지에서 납치한 노예를 제노바와 맘루크 왕조, 오스만 제국, 사파비 왕조를 비롯한 각국에 수출하며 부를 축적하였다.[2] 중동에 남아서 이들과 맘루크 왕조간의 무역을 연결해주던 카라이 유대인들은 시대가 지남에 따라 미즈라힘, 세파르딤과 동화됐다.

파일:Karaitesynagoguevilnius.jpg
빌뉴스 시의 카라임 유대교 시나고그

리투아니아 대공국비타우타스 대공킵차크 칸국과 외교전을 벌이던 중 이들을 리투아니아의 빌뉴스트라카이로 초청했는데, 이를 계기로 많은 카라이 유대인들이 발트해 연안에 정착했다. 매우 부유했던 카라이 유대인들은 크림 칸국의 노예 약탈이 쇠퇴한 이후에는 말을 타고 발트해에서 흑해에 걸친 카라이 유대인 네트워크를 오고가며 통상했다 한다. 이들은 통상 외에도 크림 반도에서 과수원과 농장, 낙농장을 직접 운영했으며, 버터와 양고기를 매일 먹을 수 있어서 다른 유대인들에게 큰 부러움을 샀다. 우크라이나 일대의 유대인 상당수가 소상인, 농노 아니면 마름으로 살던 시절이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에서 흐멜니츠키 봉기가 일어났을 때 노예 무역으로 카자크들에게 찍혀있던 카라이 유대인 중 많은 수가 목숨을 잃었었다. 그러나 이들의 근거지는 크림 칸국과 발트해 연안이었기 때문에 인구 수는 대폭 감소했으나 영향력은 금방 복구할 수 있었던 듯 하다. 폴란드 분할 이후 카라이 유대인들은 러시아 제국 관리들에게 자신들은 유대인이 아니라고 우겨서 거주 이전 제한이나 유대인 대상 세금을 면제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러시아 제국 내에서 가장 부유한 민족 중 하나가 되었다. 카라임 중에서는 거지가 없었다고 하는 일화가 전해지는데 카라임 중 누군가가 가난한 상황이 되면 다른 카라임들이 돈을 출자하여 경제적인 곤경에 처한 사람이 바로 재기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들은 부자로 이름났던 카라임인들의 재산을 싹 몰수하면서 카라임 공동체는 커다란 타격을 입었다. 2차 대전 당시 나치가 점령한 지역의 카라이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유대인이 아닌 타타르인이라고 우겨서 홀로코스트를 피할 수 있었는데, 이들의 친척인 크림차크 유대인의 경우 인구 8천여 명 중 6천여 명이 홀로코스트로 희생되는 바람에 사실상 전멸했다.[3] 카라이 유대인은 이 때문에 후술할 아슈케나짐에 대한 음모론과 더불어 오늘날 유대인 사회에서 더 따돌림을 당한다.

카라이 유대인들은 2차 대전 이전에도 크림차크 유대인보다 수가 3배 이상 많았다 하며 2차 대전 때도 상대적으로 적은 인명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이들은 재산이 많다고 소문 나 있었기 때문에 소련 시절 볼셰비키들의 집중적인 약탈 대상이 됐다. 이 와중에 많은 카라이 유대인들이 배교하거나, 숨어 살면서 교리를 잊게 됐다. 카라이 유대인 상당수가 소련 치하에서 다른 민족과 통혼하면서 카라임어 구사가 가능한 사람들의 수 역시 대폭 감소했다.


5. 현황[편집]


영어 자막 있음


6. 여담[편집]


크림반도의 크림차크 유대인, 카프카스의 무슬림 쿠미크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과 함께 자신들이 하자르 칸국의 직계 후손이라 주장하고 있는 민족 중 하나이다. 그러나 오늘날 학계에서는 하자르 유대인 대부분이 이슬람으로 개종한 후 투르크멘, 타타르 등에 동화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4:19:18에 나무위키 카라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카라이 유대인의 전승에서는 그가 하나피파의 시조인 아부 하니파의 도움으로 석방될 수 있었다 하는데, 신빙성은 부족하다.[2] 당시 크림 칸국의 약탈과 노예 무역은 매우 악랄하고 잔혹한 형태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해자 입장이던 크림 타타르인과 카라이 유대인 모두 해당 문제는 언급을 최대한 피한다.[3] 애니메이션 감독 랠프 박시가 크림차크 유대인인데, 출생 당시 가족 전체가 난민이나 다름없었는지 팔레스타인을 거쳐 미국 빈민가에 정착했다고 한다. 이 영향으로 랠프 박시는 커리어 내내 좌파적인 시선을 견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