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운트(영화)

덤프버전 :

카운트 (2023)
Count
파일:카운트 티저 포스터.jpg
장르드라마, 코미디, 시대극
감독권혁재[1]
각본김진아, 홍창표
기획김정민, 차상민, 박상아
제작김정민, 차상민, 박세준
프로듀서차상민
각색권혁재, 마대윤
촬영이성재
조명이동화
미술서주현
편집이강희
음악이진희
사운드최태영
의상김다정
분장/헤어최은혜
동시녹음이윤재
시각효과최용웅
특수효과홍장표, 김도형
세트남성주
출연진선규, 성유빈, 오나라, 고창석, 장동주, 고규필
촬영 기간2020년 2월 25일 ~ 2020년 6월 24일
제작사(주)필름케이 filmK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CJ ENM 로고.svg[[파일:CJ ENM 로고 컬러 화이트.svg
개봉일2023년 2월 22일
화면비
상영 시간109분 (1시간 48분 57초)
제작비50억
스트리밍파일:넷플릭스 로고.svg
파일:왓챠 로고.svg
파일:wavve 로고.svg
손익분기점100만 명[2]
대한민국 총 관객 수398,309명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포스터
3. 예고편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6. 줄거리
7. 촬영지
8. 평가
8.1. 평론가 평
9. 흥행
9.1. 대한민국
10. 기타



1. 개요[편집]


2023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영화. 前 복싱 선수 박시헌을 모티브로 한 영화이다.


2. 포스터[편집]




3. 예고편[편집]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편집]


마이웨이, 오직 직진!

한번 물면 절대 놓지 않는 킹받는 美친 개가 온다!

1988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지만

1998년 지금은 평범한 고등학교 선생인 ‘시헌’(진선규).

선수 생활 은퇴 후 남은 건 고집뿐,

모두를 킹받게 하는 마이웨이 행보로 주변 사람들의 속을 썩인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참석한 대회에서 뛰어난 실력에도 불구하고

승부 조작으로 기권패를 당한 ‘윤우’(성유빈)를 알게 된 ‘시헌’은 복싱부를 만들기로 결심한다.

아내 ‘일선’(오나라)의 열렬한 반대와, ‘교장’(고창석)의 끈질긴 만류도 무시한 채,

‘시헌’은 독기만 남은 유망주 ‘윤우’와

영문도 모른 채 레이더망에 걸린 ‘환주’(장동주), ‘복안’(김민호)을 데리고

본격적인 훈련에 돌입하기 시작하는데...!

쓰리, 투, 원! 2023년 새해, 긍정 파워 풀충전!

그들만의 가장 유쾌한 카운트가 시작된다

금메달리스트 출신 체육선생 시헌과, 주먹 하나는 타고난 반항아 윤우, 그들이 불공평한 세상을 향해 시원한 한방을 날리는 이야기.


5. 등장인물[편집]


88 서울올림픽 복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이지만, 10년이 지난 1998년 시점에서 평범한 고등학교 체육 선생. 우연히 초청받아 참관한 지방 복싱 대회에서 좋은 실력을 가졌으나 승부 조작으로 준우승에 그친 윤우를 발견한다.
시헌이 참관한 지방 복싱 대회에서 승부 조작으로 패배하자, 복싱부를 관두고 전학을 가버렸다. 그런데 하필 전학간 학교가 시헌이 근무하는 학교였다.

6. 줄거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7. 촬영지[편집]




8.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
기자·평론가
/ 10
관람객
/ 10
네티즌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 10
관람객
/ 10
네티즌
/ 10
]]
평점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6%





MRQE
평점 / 100





파일:cinemascore-logo.png
등급






8.1. 평론가 평[편집]


김형석

잔잔한 웃음, 소박한 감동 | ★★★(6/10)


이용철

스스로 구해야 한다 | ★★★(6/10)


허남웅

어디로 향할지 아는 잽, 힘이 실리지 않는 카운터펀치 | ★★☆(5/10)


박평식

복고는 정겹고 퇴행엔 신물이 | ★★☆(5/10)



9. 흥행[편집]



9.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13,994명13,994명미집계128,059,000원128,059,000원
1주차2023-02-22. 1일차(수)38,047명260,219명2위306,952,134원2,485,505,325원
2023-02-23. 2일차(목)25,877명2위241,620,363원
2023-02-24. 3일차(금)29,271명3위290,434,244원
2023-02-25. 4일차(토)61,056명3위614,013,548원
2023-02-26. 5일차(일)55,970명3위563,957,852원
2023-02-27. 6일차(월)22,727명3위216,863,288원
2023-02-28. 7일차(화)27,271명3위251,663,896원
2주차2023-03-01. 8일차(수)28,787명91,980명7위288,824,686원872,701,633원
2023-03-02. 9일차(목)8,417명7위66,891,625원
2023-03-03. 10일차(금)10,098명7위85,035,750원
2023-03-04. 11일차(토)18,098명8위178,937,480원
2023-03-05. 12일차(일)16,090명9위157,562,847원
2023-03-06. 13일차(월)4,802명7위44,202,373원
2023-03-07. 14일차(화)5,688명7위51,246,872원
3주차2023-03-08. 15일차(수)2,445명19,472명11위23,568,092원190,360,972원
2023-03-09. 16일차(목)2,177명11위19,301,485원
2023-03-10. 17일차(금)2,281명10위21,802,986원
2023-03-11. 18일차(토)4,405명9위44,666,666원
2023-03-12. 19일차(일)5,346명9위54,476,459원
2023-03-13. 20일차(월)1,306명10위12,597,590원
2023-03-14. 21일차(화)1,512명14위13,947,694원
4주차2023-03-15. 22일차(수)580명5,846명16위4,928,496원51,032,364원
2023-03-16. 23일차(목)1,092명13위8,594,400원
2023-03-17. 24일차(금)757명14위7,026,699원
2023-03-18. 25일차(토)1,094명18위10,508,377원
2023-03-19. 26일차(일)2,284명14위19,328,995원
2023-03-20. 27일차(월)311명22위3,186,499원
2023-03-21. 28일차(화)488명18위4,580,898원
합계누적 관객수 393,320명, 누적 매출액 3,744,069,091원[3]


10. 기타[편집]


박시헌은 당시 경기 후 자신이 졌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데, 오히려 자신의 손이 올라가서 의아했다고 한다. 이후 한국 내에서도 '매국노다', '메달을 반납하라'는 비난부터, 심지어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를 소개하는 생방송에서 본인만 빼고 넘어간 적도 있어 큰 상처를 받아 대인기피증을 앓았다고 한다. 만약 그때 금메달이 아닌 은메달을 받았다면 자신이 사랑하는 복싱을 하며 행복한 꿈을 꾸고 살 수 있었을거라며 아쉬움을 보였다.#
영화에서도 이를 반영해 서울 올림픽 이후 선수한테만 오롯히 비난의 화살이 쏟아지거나, 진선규가 분한 박시헌 캐릭터가 '내가 부정을 저지른 것도 아닌데 왜 나만 괴롭히냐'라며 억울함을 토로하는 묘사들이 등장한다. 편파판정의 시시비비에 관한 묘사는 영화 말미에 'IOC가 편파판정이 아니라고 발표했다'는 내레이션 정도로만 나오고 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1:23:42에 나무위키 카운트(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데뷔작 해결사 이후로 13년만에 두 번째 영화를 연출했다.[2] 위 제작비 50억은 마케팅비까지 포함된 추정치이며, 손익분기점도 그에 따른 추정치이다.[3] ~ 2023/03/30 기준[4] 저 당시의 진해는 근처 창원/마산 사람들이 촌으로 인식했을 정도로 아주 작은 소도시였다. 창원/마산처럼 대규모 공단이나 회사, 수출입 무역항이 있는 것도 아니고, 해군과 벚꽃 빼곤 아무것도 없었다. 해군을 제외한 일반 시민들은 대부분 진해 토박이고 외지인 이주는 거의 없었다고 봐도 되기에 타지에서 전근 와서 사투리가 다를 것이라는 변명도 안 통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