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캄보디아 국왕

덤프버전 :


[[캄보디아 국왕|파일:캄보디아 국장.svg
{{{#F0D657
캄보디아 국왕}}}]]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레소토
빌럼알렉산더르하랄 5세마르그레테 2세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말레이시아 모나코
벤다하라 가문
앙리한스아담 2세파항의 압둘라알베르 2세
모로코 바레인 바티칸 벨기에
모하메드 6세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프란치스코필리프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하사날 볼키아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안도라 에스와티니
우르헬 주교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에마뉘엘 마크롱음스와티 3세
영국 영연방 오만 요르단
찰스 3세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압둘라 2세
일본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노로돔 시아모니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통가
라마 10세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1. 개요
2. 권한
3. 국왕 선거
4. 역대 국왕
4.1. 프놈 (부남)
4.2. 첸라 (진랍)
4.4. 후기 크메르 왕국
4.7. 프랑스령 캄보디아
4.10. 캄보디아 제2왕국 (현재)


1. 개요[편집]


캄보디아 국왕은 캄보디아의 국가원수 칭호이며, 현재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이 재위하고 있다. 왕통 자체는 크메르 제국 이래 쭉 이어오고 있다.

2. 권한[편집]


전성기크메르 제국 시절에는 신왕(데바라자)[1]라고 칭할 정도로 높은 권위와 절대권력을 동시에 가진 존재였고,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여 입헌군주제를 실시한 이후에도 캄보디아 제1왕국(1953-70) 시절에는 옆나라 태국 국왕 이상으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고, 지금도 헌법상으로는 상당한 권한이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실질적으로 훈 센 총리가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체제라서 헌법에 명시된 국왕의 권한은 명목에 불과하다.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은 왕궁에 유폐된 채 감시를 받으며 죄수처럼 살고, 왕궁 밖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석하거나 해외순방을 할 때도 항상 감시자들이 따라붙는 등 삶이 부자유하다.


3. 국왕 선거[편집]


대부분의 군주국에서 왕위가 세습인 것과 달리 캄보디아는 선거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어서 국왕이더라도 스스로 후계자를 지명할 수 없고 국왕 사후 차기 국왕을 선출한다. 임기는 종신직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대통령제처럼 일정 연령 이상의 국민이면 누구나 선출될 수 있는 건 아니고, 노로돔 왕조시소와스 왕조라는 두 왕가의 30세 이상 남성 구성원들만이 피선거권을 가진다.[2]

선거권은 총리와 상하원 의장 및 부의장, 승왕[3] 등 9명으로 구성된 국왕 선출 위원회에 있는데, 현직 총리 훈 센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독재자라서 사실상 총리가 왕을 결정한다고 보면 된다.

아직까지는 노로돔 왕조 출신만이 국왕 선거에서 당선이라고 쓰고 추대되었지만, 훈 센 총리 또는 그 후계자[4]의 입맛에 따라 시소와스 왕조 출신이 왕위에 오를 가능성도 있다.

4. 역대 국왕[편집]



4.1. 프놈 (부남)[편집]



4.2. 첸라 (진랍)[편집]





4.3. 크메르 제국[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크메르 제국#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후기 크메르 왕국[편집]


이 당시에도 크메르 제국의 왕통 자체는 계속 이어졌으며 아래의 시대 구분은 왕조 교체가 아니라, 일본나라 시대, 헤이안 시대처럼 수도 이전에 따른 시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짝또묵 시대 (1431년~1525년)
  • 롱 벡 시대 (1525년~1594년)
  • 스레이 산토르 시대 (1594년~1620년)
  • 우동 시대 (1620년~1863년)

4.5. 프랑스령 캄보디아[편집]


이 당시의 왕들은 프랑스의 허수아비로 전락한 상태였으며, 크메르 제국 시절부터 단일 혈통으로 이어지던 캄보디아 왕실은 노로돔 왕조시소와스 왕조라는 두 계통으로 분열되었다.

  • 노로돔 왕조
  • 시소와스 왕조
    • 2대: 시소와스 (1904년~1927년)[5]
    • 3대: 시소와스 모니봉 (1927년~1941년)
  • 노로돔 왕조
    • 4대: 노로돔 시아누크 (1941년~1945년)[6]

4.6. 캄보디아 왕국(괴뢰국)[편집]


일본 제국이 시아누크 국왕에게 독립을 선언하게 하여 수립한 괴뢰국이다.


4.7. 프랑스령 캄보디아[편집]


전후 일본이 철수한 뒤 프랑스가 귀환하여 다시 캄보디아를 식민지화했다.


4.8. 캄보디아 제1왕국[편집]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면서 캄보디아 역사상 최초로 입헌군주제가 실시되었는데, 시아누크는 헌법 제정 이후에도 계속 실권을 장악했다.

  • 초대: 노로돔 시아누크 (1953년~1955년)
  • 2대: 노로돔 수라마리트 (1955년~1960년)[7]
  • 공위: 시소와스 코사막 (1960년~1970년)[8]


4.9. 캄보디아 왕실연합정부[편집]


론 놀의 쿠데타로 인해 크메르 공화국이 수립되자, 시아누크 전 국왕이 국외로 도피하여 수립한 망명정부다.


4.10. 캄보디아 제2왕국 (현재)[편집]


1993년 왕정복고가 실현되면서 시아누크가 복위했는데, 이전과는 달리 실권은 전혀 행사할 수 없게 되었고, 캄보디아 역사상 최초로 선거군주제가 실시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55:55에 나무위키 캄보디아 국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데바()+라자()[2] 두 가문은 본래 한 가문이었지만, 프랑스의 식민지배 시절 두 계통으로 갈라져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3] 캄보디아 불교의 수장[4] 훈 센이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보다 1살 많아서 시아모니 이후의 국왕은 훈 센 사후에 결정될 가능성이 있는데, 아직까지는 누가 먼저 죽을지 알 수 없다.[5] 노로돔의 이복동생인데, 프랑스에 의해 노로돔의 자식들을 제치고 왕으로 추대되었다.[6] 노로돔 왕의 증손자이자 시소와스 모니봉 왕의 외손자로서 왕위를 계승했다.[7] 노로돔 왕의 손자이자 시아누크의 아버지인데, 아들에게 양위받아 왕으로 즉위했다.[8] 공식 왕은 아니라서 왕위는 공석이었다. 시소와스 코사막은 시소와스 모니봉 왕의 딸이자 수라마리트 왕의 아내, 시아누크 왕의 어머니라서 아버지, 남편, 아들이 모두 왕이었던 인물이다. 수라마리트 사후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시아누크 전 국왕은 자신이 복위하거나 다른 왕족을 왕으로 추대하는 대신, 왕위를 공석으로 두고 어머니에게 의례적인 군주 역할을 맡겼다. 그리고 시아누크는 국가원수라는 직함으로 취임하여 사실상 다시 왕이 된 것과 다름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