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타이쿄쿠쇼기/기물 및 행마법

덤프버전 :

분류

1. 타이쿄쿠쇼기/말의 배치 및 행마법
1.1. 보병
1.2. 석장
1.3. 중인
1.4. 토장
1.5. 오행
1.6. 노서
1.7. 치행
1.8. 토차
1.9. 청룡
1.10. 주작
1.11. 와장
1.12. 도병
1.13. 계마
1.14. 묘인
1.15. 철장
1.16. 개
1.17. 비룡
1.18. 반사
1.19. 계비
1.20. 목장
1.21. 동장
1.22. 등원
1.23. 안비
1.24. 고원
1.26. 맹견
1.27. 회계
1.28. 은장
1.29. 맹록
1.30. 악랑
1.31. 진저
1.32. 맹웅(盲熊)
1.33. 맹원
1.34. 맹표
1.35. 토금
1.36. 금장
1.37. 맹랑
1.38. 맹호(盲虎)
1.39. 무명
1.40. 제바
1.41. 취상(成)
1.42. 근왕
1.43. 행저
1.44. 마린
1.45. 맹웅(猛熊)
1.46. 독랑
1.47. 웅안
1.48. 우장(右将)
1.49. 좌장
1.51. 취상
1.52. 우장(牛将)
1.53. 마장
1.54. 천장
1.55. 풍장
1.57. 수장
1.58. 산장
1.59. 행조
1.60. 나찰
1.61. 고치
1.62. 용록
1.67.
1.68.
1.69. 비
1.72.
1.73. 맹
1.74.
1.78. 도장
1.80. 수조(獣曹)
1.81. 향차
1.82. 우차(牛車)
1.83. 맹호(猛虎)
1.84. 기견
1.85. 금강
1.86. 산록
1.87. 백상
1.88. 수호
1.89. 수구
1.90. 창병
1.91. 수마
1.92. 금리
1.93. 풍마
1.94. 연응
1.95. 은
1.96. 수표
1.97. 천마
1.98. 수리
1.99. 횡행
1.100. 연우
1.101. 우견
1.102. 좌견
1.103. 우군
1.104. 좌군
1.105. 태자
1.106. 창장
1.107. 횡병
1.108. 수행
1.109. 우철차
1.110. 좌철차
1.111. 대표
1.112. 전우
1.113. 비록
1.114. 대호
1.115. 운취
1.116. 채조
1.117. 우차(右車)
1.118. 좌차
1.119. 각행
1.120. 비응
1.121. 대웅
1.122. 반룡
1.123. 경예
1.124. 용마
1.126. 대룡
1.127. 사조
1.128. 잡장
1.129. 비차
1.130. 방행
1.131. 산모
1.132. 백구
1.133. 구반(鳩盤)
1.134. 상왕
1.135. 용왕
1.136. 강차(強車)
1.137. 표왕
1.138. 대록
1.139. 선학
1.140. 분우
1.141. 분마
1.142. 분구
1.143. 분돈
1.144. 사천
1.145. 대구(大鳩)
1.146. 대사
1.147. 대귀
1.148. 구반(鳩槃)
1.149. 분계
1.150. 전기
1.151. 분저
1.152. 회천
1.153. 태산
1.154. 금조(禽鳥)
1.156. 차병
1.157. 분호
1.159. 분귀
1.160. 분왕
1.161. 각응
1.162. 비취
1.164. 부장
1.165. 대응
1.166. 대취
1.167. 법성
1.168. 교왕
1.170. 맹룡
1.171. 각장
1.172. 비장
1.173. 비악
1.175. 분취
1.178. 마갈
1.179. 구행
1.180. 옥장
2. 관련 문서


1. 타이쿄쿠쇼기/말의 배치 및 행마법[편집]


말의 배치나 행마법에 대해서는 일본 위키피디아 타이쿄쿠쇼기 항목 참고. 일단 이 내용을 다 적어 주신 분들께 경의를 표한다.

기본적으로 양측의 말 배치는 서로 점대칭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단 진영(자기 쪽에서 봤을 때 적진)을 기준으로 설명. 각 단과 열의 숫자는 우상단 끝으로부터 아래/왼쪽으로 센다.

빠른 이해를 위해 이곳에서만 임시로 사용할 용어를 설명하자면
  • 질주: 해당 방향으로 몇 칸이든 이동할 수 있다.
  • 도약: 다른 말을 뛰어넘을 수 있다.
  • n단 도약: 질주와 도약이 합쳐진 능력.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질주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가로막는 말이 있어도 n개까지는 건너뛰는 게 가능하다.
  • 무한 도약: n단 도약의 n=∞ 버전. 가로막는 말이 몇 개든 상관없이 무제한으로 도약하면서 질주할 수 있다.
  • 사자분신: 간단히 말해 이 타이쿄쿠쇼기를 비롯한 옛 쇼기에 종종 쓰이는 말 사자의 행마 능력을 가리킨다. 설명이 꽤 복잡하면서도, 이 쇼기에선 사자 이외에도 해당 행마법을 탑재한 말이 여럿 존재하기 때문에[1] 편의상 키워드화 하여 등재한다.
이 행마법의 특징은 크게 2가지로 정리되는데
  • 태자를 비롯한 몇몇 말이 가진 기초적인 행마법 '모든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을 한 수에 2번까지 실행할 수 있다. 즉 한 수에 2칸 이동은 물론[2], 바로 인접한 위치의 상대 말 2개를 한꺼번에 따먹거나, 심지어 인접한 상대 말 1개를 따먹고 바로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통칭 앉아먹기(居食い, 이구이)가 가능하다.
  • 또한 이 행마법에 따를 경우, 1칸째의 다른 말을 무시하고 2칸째의 위치로 도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 관통: 위의 규칙 항목에도 서술한 그것. 거의 모든 말을 무한 도약하여 착지한 후, 그 동안 뛰어넘었던 말들을 피아구분 없이 전부 죽인다.
단 상술했듯이 뛰어넘을 수 있는 말에도 한계가 있으며, 자신과 같거나 보다 높은 급을 가진 말은 피아상관없이 뛰어넘지 못한다.(단 적이라면 그 자리에 착지해 죽일 수는 있다.)
관통 능력으로 도약 가능 여부를 가리는 급수는 다음과 같다.
  • (4급): 관통 능력이 없는 거의 모든 말
  • 3급: 각장, 비장, 맹룡, 비악
  • 2급: 부장
  • 1급: 대장
  • (0급): 태자, 옥장

[3]

1.1. 보병[편집]


명칭보병(歩兵, 후효)
배치十一단 전체(총 36개)
행마법오직 앞으로만 1칸 이동 가능
歩兵
   
승격시금장(金将, 킨쇼). 보병이 승격한 금장은 토킨(と金)이라고도 한다.
비고명실상부 최약의 말. 더군다나 36×36의 판에서 진행되는 이 게임에서는 더더욱 바닥을 기는 기동력으로 플레이어들을 짜증나게 만든다. 짜증날 플레이어가 있기는 하는거냐 양쪽에서 12칸까지가 자기 본진이므로, 상대 본진 앞까지 걸어가는 데만 14수를 써야 한다.


1.2. 석장[편집]


명칭석장(石将, 세키쇼)
배치13九/24九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백상


1.3. 중인[편집]


명칭중인(仲人, 추닌)
배치11十二/26十二
행마법앞뒤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취상


1.4. 토장[편집]


명칭토장(土将, 도쇼)
배치11九/26九
행마법앞뒤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백상
비고중인과 분명히 다른 말이지만 행마법은 중인과 똑같다. 다행히도(?) 승격하면 움직임이 달라진다.


1.5. 오행[편집]


명칭오행(烏行, 우코)
배치12六/25六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비고이름 그대로 까마귀 발톱 모양의 행마법을 보이는 말. 어쩌면 모티프는 이것일지도 모른다.
승격시비응


1.6. 노서[편집]


명칭노서(老鼠, 로소)
배치14八/23八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비고오행과 똑같은 행마법을 가진 말. 다만 승격시엔 달라진다.
승격시사조


1.7. 치행[편집]


명칭치행(鴟行, 시교)
배치5八/32八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비고오행, 노서와 똑같은 행마법을 가진 말. 다만 승격시엔 달라진다.
승격시운취


1.8. 토차[편집]


명칭토차(土車, 도샤)
배치1八/36八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방향은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채조


1.9. 청룡[편집]


명칭청룡(青龍, 세이류)
배치2八[4]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방향은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신룡


1.10. 주작[편집]


명칭주작(朱雀, 스자쿠)
배치35八[5]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그 외의 방향은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신작


1.11. 와장[편집]


명칭와장(瓦将, 가쇼)
배치15九/22九
행마법↖↓↗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백상
비고오행, 노서, 그리고 치행과 반대되는 행마법을 가진 말.


1.12. 도병[편집]


명칭도병(刀兵, 토헤이)
배치11十/26十
행마법↖↓↗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도장
비고와장과 똑같은 행마법을 가진 말. 다만 승격시에는 달라진다.


1.13. 계마[편집]


명칭계마(桂馬, 케이마)
배치3四/34四
행마법앞 2번째 칸에서 양옆에 위치한 칸(총 2개)으로 도약 가능
승격시횡병


1.14. 묘인[편집]


명칭묘인(猫刄, 묘진)
배치7八/30八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용마


1.15. 철장[편집]


명칭철장(鉄将, 테츠쇼)
배치17九/20九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백상


1.16. 개[편집]


명칭개(犬, 이누)
배치6十二/15十二/22十二/31十二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잡장
비고중인과 함께 최전선에 서는 말이자 보병과 더불어 3개 이상 배치된 유일한 말. 그리고 어째선지 칼든 병사보다 더 강하다.
철장과 행마법이 같지만 승격하면 달라진다.


1.17. 비룡[편집]


명칭비룡(飛龍, 히류)
배치9六/28六
행마법대각선 방향의 2번째 칸으로만 도약 가능
승격시용왕
비고대각선으로만 이동 가능한 말은 원체 밟을 수 있는 위치가 전체판의 절반만으로 한정되는데, 이 말은 거기에 반드시 자기 위치에서 2번째 칸으로 밖에 움직이지 못하니 사실상 쇼기판의 1/8밖에 밟지 못한다.
용(龍)의 이름을 가진 말 중 명실공히 최약체. 이름만 멋지지 승격 못 하는 한 허세뿐. 물론 저 성능으로는 승격도 힘들다.


1.18. 반사[편집]


명칭반사(蟠蛇, 반자)
배치16八/21八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반룡
비고한자로 휘감은 뱀을 뜻한다.


1.19. 계비[편집]


명칭계비(鶏飛, 케이히)
배치10七/27七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연응
비고한자로 닭이 나는 것을 뜻한다.


1.20. 목장[편집]


명칭목장(木将, 모쿠쇼)
배치9九/28九
행마법↖↗방향으로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백상


1.21. 동장[편집]


명칭동장(銅将, 도쇼)
배치17三/20三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횡행


1.22. 등원[편집]


명칭등원(登猿, 토엔)
배치6八/31八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맹록
비고(나무를) 오르는 원숭이. 동장과 행마법이 같지만 승격하면 다른 말이 된다.


1.23. 안비[편집]


명칭안비(鳫飛, 간히)
배치11六/26六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연우
비고기러기가 나는 것을 의미한다.


1.24. 고원[편집]


명칭고원(古猿, 코엔)
배치11七/26七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산모
비고오래된 원숭이를 의미한다.


1.25. 와룡[편집]


명칭와룡(臥龍, 가류)
배치17八/20八
행마법전후좌우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대룡
비고말 그대로 누운 용. 이를 반영해서 승격시 큰 용이 된다.


1.26. 맹견[편집]


명칭맹견(盲犬, 모켄)
배치13六/24六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맹록


1.27. 회계[편집]


명칭회계(淮鶏, 와이케이)
배치12七/25七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선학
비고맹견과 행마법이 같다.


1.28. 은장[편집]


명칭은장(銀将, 긴쇼)
배치17二/20二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수행


1.29. 맹록[편집]


명칭맹록(猛鹿, 모로쿠)
배치15七/22七
승격법등원, 맹견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행저
비고은장과 행마법이 같다.


1.30. 악랑[편집]


명칭악랑(悪狼, 아쿠로)
배치8七/29七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독랑


1.31. 진저[편집]


명칭진저(嗔猪, 신초)
배치7七/30七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분저
비고진노한 돼지를 뜻한다.


1.32. 맹웅(盲熊)[편집]


명칭맹웅(盲熊, 모유)
배치13八/24八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비록
비고진저와 똑같이 움직인다.
같은 음을 가진 웅(熊)과 헷갈리지 말자. 저쪽이 맹렬한 곰이라면 이쪽은 눈이 안 보이는 곰이다.


1.33. 맹원[편집]


명칭맹원(盲猿, 모엔)
배치9八/28八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비록
비고진저, 맹웅(盲熊)과 똑같이 움직이며, 승격시 되는 말도 맹웅(盲熊)과 같다.


1.34. 맹표[편집]


명칭맹표(猛豹, 모효)
배치7六/30六
행마법↖↑↗ ↙↓↘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각행


1.35. 토금[편집]


명칭토금(と金, 토킨)
승격법보병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비고と金(토킨)이란 명칭의 유래는 쇼기 항목을 참고할 것.


1.36. 금장[편집]


명칭금장(金将, 킨쇼)
배치17一/20一[6]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비차


1.37. 맹랑[편집]


명칭맹랑(猛狼, 모로)
배치16七/21七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웅안


1.38. 맹호(盲虎)[편집]


명칭맹호(盲虎, 모코)
배치10八/27八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비록


1.39. 무명[편집]


명칭무명(無明, 무묘)
배치19五[7]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법성


1.40. 제바[편집]


명칭제바(提婆, 다이바)
배치18五[8]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교왕
비고시작 위치도, 행마법도 무명과 완벽히 대칭되는 말. 승격전도 승격후에도 양쪽 다 불교에 연관된 의미를 갖고 있다.


1.41. 취상(成)[편집]


명칭취상(醉象, 스이조)
승격법중인에서 승격
행마법↙ ←↖↑↗→↘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비고취상은 시작할 때부터 주어지는 말이기도 하지만, 중인에서 승격한 취상과는 크나큰 차이가 있다. 때문에 별도로 표기.


1.42. 근왕[편집]


명칭근왕(近王, 킨노)
배치18二 = 옥장 바로 앞[9]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전기
비고이름에 걸맞게 왕 바로 앞을 지키는 근왕 친위대.


1.43. 행저[편집]


명칭행저(行猪, 교초)
승격법맹록에서 승격
행마법↙ ←↖↑↗→↘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비고취상과 같은 행마법을 가진 말. 물론 태자 승급을 못하는 이상 그 위상은 떨어진다. 이미 중인에서 승급한 취상이라면야 똑같겠지만.


1.44. 마린[편집]


명칭마린(馬麟, 바린)
배치5七/32七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분왕


1.45. 맹웅(猛熊)[편집]


명칭맹웅(猛熊, 모유)
배치6七/31七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대웅
비고웅(熊)하곤 헷갈리지 말자.


1.46. 독랑[편집]


명칭독랑(毒狼, 도쿠로)
승격법악랑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1.47. 웅안[편집]


명칭웅안(熊眼, 유간)
승격법맹랑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1.48. 우장(右将)[편집]


명칭우장(右将, 우쇼)
배치21一[10]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우군


1.49. 좌장[편집]


명칭좌장(左将, 사쇼)
배치16一[11]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좌군


1.50. 봉황[편집]


명칭봉황(鳳凰, 호오)
배치21六[12]
행마법전후좌우로 1칸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 2번째 칸에 도약 가능
승격시금시


1.51. 취상[편집]


명칭취상(醉象, 스이조)
배치19二 = 옥장의 바로 앞[13]
행마법↙ ←↖↑↗→↘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태자
비고중인이 승격한 취상과의 차이가 바로 이것으로, 처음부터 주어진 취상은 무려 태자의 자리로 승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 녀석을 어떻게든 승격시킨다면 사실상 왕급 말이 총 3개까지 버티고 서있는 거나 마찬가지.


1.52. 우장(牛将)[편집]


명칭우장(牛将, 규쇼)
배치8四/29四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분우


1.53. 마장[편집]


명칭마장(馬将, 바쇼)
배치7四/30四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분마
비고우장(牛将)과 같은 움직임을 갖는 말. 심지어 승격해도 여전히 행마법이 같다.


1.54. 천장[편집]


명칭천장(川将, 센쇼)
배치5九/32九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회천
비고우장(牛将), 마장과 같은 움직임을 갖는 말. 그러나 승격하면 행마법이 달라진다.


1.55. 풍장[편집]


명칭풍장(風将, 후쇼)
배치4九/33九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폭풍
비고우장(牛将), 마장, 천장과 같은 움직임을 갖는 말. 그러나 승격하면 위 3개와 행마법이 달라진다.


1.56. 기린[편집]


명칭기린(麒麟, 키린)
배치16六[14]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전후좌우로는 2번째 칸으로 도약 가능
승격시금시
비고대칭되는 위치의 봉황의 행마법을 45도 기울인 말


1.57. 수장[편집]


명칭수장(水将, 스이쇼)
배치14六/23六
행마법앞뒤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부장


1.58. 산장[편집]


명칭산장(山将, 산쇼)
배치6九/31九
행마법앞뒤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태산


1.59. 행조[편집]


명칭행조(行鳥, 교초)
배치12三/25三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으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분귀


1.60. 나찰[편집]


명칭나찰(羅刹, 라세츠)
배치15二[15]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사천


1.61. 고치[편집]


명칭고치(古鵄, 코테츠)
배치13三/24三
행마법좌우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텐구


1.62. 용록[편집]


명칭용록(踊鹿, 요로쿠)
배치5六/32六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좌우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방행


1.63. 동이[편집]


명칭동이(東夷, 토이)
배치14七[16]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뒤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사자


1.64. 남만[편집]


명칭남만(南蛮, 난반)
배치23七[17]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좌우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금시


1.65. 서융[편집]


명칭서융(西戎, 세이주)
배치13七[18]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뒤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박견
비고바로 옆의 동이와 똑같은 행마법을 갖고 있다. 물론 승격하면 달라진다.


1.66. 북적[편집]


명칭북적(北狄, 호쿠테키)
배치24七[19]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좌우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구반(鳩槃)


1.67. [편집]


명칭구장(狗将, 쿠쇼)
배치6四/31四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으로는 4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분구


1.68. [편집]


명칭계장(鶏将, 케이쇼)
배치5四/32四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으로는 4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분계
비고구장과 동일한 행마법을 가진다.


1.69. 비[편집]


명칭비묘(飛猫, 히뵤)
배치6五/31五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3칸째의 위치로 도약 가능
승격시비차


1.70. 여마[편집]


명칭여마(驢馬, 로바)
배치4七/33七
행마법전후좌우로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구반(鳩盤)


1.71. 변리[편집]


명칭변리(変狸, 헨리)
배치3八/34八
행마법전후좌우로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구반(鳩盤)
비고여마와는 행마법도 승격말도 똑같다.


1.72. [편집]


명칭돈장(豚将, 톤쇼)
배치4四/33四
행마법뒤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4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분돈


1.73. 맹[편집]


명칭맹취(猛鷲, 모주)
배치8六/29六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비취


1.74. [편집]


명칭화장(火将, 카쇼)
배치15六/22六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뒤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대장


1.75. 야차[편집]


명칭야차(夜叉, 야샤)
배치22二[20]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양옆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사천


1.76. 독사[편집]


명칭독사(毒蛇, 도쿠자)
배치10六/27六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구행
비고행마법에서도 볼 수 있듯 독사 자체는 별반 강해보이는게 없지만, 승격에 성공할 시 후술할 구행으로 승격하는 대참사가 일어난다.


1.77. 역사[편집]


명칭역사(力士, 리키시)
배치16二[21]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사천


1.78. 도장[편집]


명칭도장(刀将, 토쇼)
승격법도병에서 승격
행마법뒤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1.79. 산구[편집]


명칭산구(山鳩, 산큐)
배치3二/34二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5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대구


1.80. 수조(獣曹)[편집]


명칭수조(獣曹, 주소)
배치8一/29一
행마법↙←↖↑↗→↘ 방향으로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수리


1.81. 향차[편집]


명칭향차(香車, 쿄샤)
배치1一/36一
행마법앞으로만 질주 가능
승격시백구
비고혼쇼기와 마찬가지로 진영 최하단 구석을 차지하는 일방통행 말. 단 여기서는 성향(=금장과 똑같이 움직임)이 아니라 확실한 상위호환으로 승격한다.


1.82. 우차(牛車)[편집]


명칭우차(牛車, 깃샤)
배치11八/26八
행마법앞으로만 질주 가능
승격시전규
비고향차와 똑같이 움직인다. 단 승격시에는 다르다.


1.83. 맹호(猛虎)[편집]


명칭맹호(猛虎, 모코)
배치16十/21十
행마법앞으로만 질주 가능
승격시대호
비고향차, 우차(牛車)와 똑같이 움직인다. 단 승격시엔 다르다.
맹호(盲虎)와는 원어 발음까지 똑같으니 혼동하지 않게 주의할 것.


1.84. 기견[편집]


명칭기견(𠵇犬, 키켄)
배치3六34六
행마법뒤로 1칸만 이동 가능 + 앞으로는 질주도 가능
승격시좌견우견
비고뒷면에 새겨진 승격형태가 2종류인 유일한 말. 시작할 때는 똑같은 기견 2개를 가지고 시작하지만, 왼쪽의 기견은 좌견으로, 오른쪽의 기견은 우견으로 승격한다.


1.85. 금강[편집]


명칭금강(金剛, 콘고)
배치21二[22]
행마법전후좌우로 3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사천
비고바로 반대편에 있는 역사와 이름을 합치면 금강역사가 된다. 둘 다 승격시 사천(四天)이 되는 건 덤.


1.86. 산록[편집]


명칭산록(山鹿, 산로쿠)
배치8二/29二
행마법앞으로 1칸만 + 좌우론 2칸까지 + ↖↗ 방향으로는 3칸까지 + 뒤로는 4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대록


1.87. 백상[편집]


명칭백상(白象, 하쿠조)
배치2二[23]
승격법석장, 토장, 와장, 철장, 목장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2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상왕


1.88. 수호[편집]


명칭수호(竪虎, 슈코)
배치8五/29五
행마법뒤로 2칸까지 이동 + 전방 질주
승격시분호


1.89. 수구[편집]


명칭수구(竪狗, 슈쿠)
배치6十/31十
행마법↙↓↘ 방향으로 1칸씩 이동 + 전방 질주
승격시표왕


1.90. 창병[편집]


명칭창병(鎗兵, 소헤이)
배치14十/23十
행마법←↓→ 방향으로 1칸씩 이동 + 전방 질주
승격시창장


1.91. 수마[편집]


명칭수마(竪馬, 슈바)
배치7十/30十
행마법↖↓↗ 방향으로 1칸씩 이동 + 전방 질주
승격시용마


1.92. 금리[편집]


명칭금리(禽吏, 킨리)
배치5二/32二
승격법금조(禽曹)에서 승격
행마법뒤를 제외한 7방향으로 5칸까지 이동 가능
승격시금조(禽鳥)


1.93. 풍마[편집]


명칭풍마(風馬, 후마)
배치9七/28七
행마법↖↗ 방향으로 1칸, 뒤로 2칸까지 이동 + 전방 질주
승격시천마


1.94. 연응[편집]


명칭연응(延鷹, 엔요)
승격법계비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1칸 이동 + 전방 질주
비고사실상 계비에서 정면 질주 기능만 추가된 버전. 다만 승격으로만 얻을 수 있는 말인데다, 승격 전후를 불문하고 후진은 죽었다 깨어나도 못하기 때문에, 전진 기능을 활용하기 힘들다. 적진 후미에 도달하는 순간 좌우로만 1칸씩 움직이는 잉여가 되는 건 덤.


1.95. 은[편집]


명칭은토(銀兎, 긴토)
배치11四/26四
행마법↖↗ 방향으로 2칸까지 이동 + ↙↘ 방향으로 질주
승격시경예
비고토끼답게 정면 돌격은 못하고, 뒤로 돌아 달아나는 데에 특화된 말.


1.96. 수표[편집]


명칭수표(竪豹, 슈효)
배치15十/22十
행마법←↖↓↗→ 방향으로 1칸까지 이동 + 전방 질주
승격시대표
비고연응에서 1칸 후진 기능이 추가된 버전.


1.97. 천마[편집]


명칭천마(天馬, 텐마)
승격법풍마에서 승격
행마법앞뒤 2번째 칸에서 양옆에 위치한 칸(최대 4개)으로 도약 가능 or 전방 질주
비고행마법에 있어선 계마의 상위호환이라 할 수 있다.


1.98. 수리[편집]


명칭수리(獣吏, 주리)
배치9三/27三
승격법수조(獣曹)에서 승격
행마법좌우 방향으로는 2칸까지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 3칸까지도 이동 가능
승격시수조(獣鳥)


1.99. 횡행[편집]


명칭횡행(横行, 오교)
배치4六/33六
승격법동장에서 승격
행마법전후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가로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승격시분저
비고이름 그대로 가로 이동에 특화된 말


1.100. 연우[편집]


명칭연우(燕羽, 엔우)
배치8八/29八
승격법안비에서 승격
행마법전후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가로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승격시연행
비고횡행과 같은 움직임을 보인다.


1.101. 우견[편집]


명칭우견(右犬, 우켄)
승격법오른쪽에 배치된 기견에서 승격
행마법뒤로 1칸만 이동 + ↙↑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비고왼쪽으로는 이동할 수 있지만 오른쪽으로는 이동할 방법이 없음에 주의.


1.102. 좌견[편집]


명칭좌견(左犬, 사켄)
승격법왼쪽에 배치된 기견에서 승격
행마법뒤로 1칸만 이동 + ↑↘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비고오른쪽으로는 이동할 수 있지만 왼쪽으로는 이동할 방법이 없음에 주의.


1.103. 우군[편집]


명칭우군(右軍, 우군)
승격법우장(右将)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1.104. 좌군[편집]


명칭좌군(左軍, 사군)
승격법좌장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비고우장(右将)과 좌장은 서로 반대되는 위치와 이름에도 불구하고 행마법이 똑같은데, 이 둘이 승격해야 비로소 행마법이 서로 대칭되면서 달라지게 된다.


1.105. 태자[편집]


명칭태자(太子, 타이시)
배치19一[24]
승격법취상에서 승격[25]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1칸 이동 가능
승격시옥장
특수능력자신의 옥장이 죽어도 태자가 남아 있으면 그 판을 속행한다.
비고사실상 제2의 왕.

1.106. 창장[편집]


명칭창장(鎗将, 소쇼)
승격법창병에서 승격
행마법뒤로는 2칸, 좌우론 3칸까지 이동 + 전방 질주


1.107. 횡병[편집]


명칭횡병(横兵, 오헤이)
배치2九/35九
승격법계마에서 승격
행마법뒤로는 1칸, 앞으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 가로 방향으론 질주도 가능
승격시수우


1.108. 수행[편집]


명칭수행(竪行, 슈교)
배치3十/34十
승격법은장에서 승격
행마법좌우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뒤론 질주도 가능
승격시비우


1.109. 우철차[편집]


명칭우철차(右鉄車, 우텟샤)
승격법우차(右車)에서 승격
행마법오른쪽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1.110. 좌철차[편집]


명칭좌철차(左鉄車, 사텟샤)
승격법좌차에서 승격
행마법왼쪽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1.111. 대표[편집]


명칭대표(大豹, 다이효)
승격법수표에서 승격
행마법후방 1칸만 + 좌우 2칸까지 + ↖↗ 방향은 3칸까지 이동 + 전방 질주


1.112. 전우[편집]


명칭전우(歬牛, 센규)
승격법우차(牛車)에서 승격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가능 + 세로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1.113. 비록[편집]


명칭비록(飛鹿, 히로쿠)
승격법맹웅(盲熊), 맹원, 그리고 맹호(盲虎)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앞뒤론 질주 가능
비고날아다니는 사슴을 뜻한다.대체 뭐하는 놈인겨 익스펙토 패트로눔


1.114. 대호[편집]


명칭대호(大虎, 다이코)
승격법맹호(猛虎)에서 승격
행마법앞으로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비고직진만 가능한 맹호(猛虎)가 승격하는 순간 반대로 후방 이동에 특화된 말로 변한다는게 특이점.


1.115. 운취[편집]


명칭운취(雲鷲, 운주)
배치2五/35五
승격법치행에서 승격
행마법좌우로는 1칸만, ↖↗ 방향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 앞뒤론 질주 가능
승격시경취


1.116. 채조[편집]


명칭채조(𦬨鳥, 샤이쵸)
승격법토차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 방향으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1.117. 우차(右車)[편집]


명칭우차(右車, 우샤)
배치36十
행마법오른쪽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승격시우철차


1.118. 좌차[편집]


명칭좌차(左車, 사샤)
배치1十
행마법왼쪽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승격시좌철차
비고우차(右車)와 좌차는 초기 위치도, 행마법도 서로 대칭되며 이는 승격시에도 마찬가지다.
다만 이와 별개로 승격시 사실상 뒷쪽 대각선 경로를 얻는 대가로 직진 능력을 상실하는 셈인데, 이리하면 전반적으로 컨트롤이 힘들어지고 오히려 실질적인 전투력이 감소한다. 승격을 하려면 적진 내에서 상황을 봐가며 확실히 이득이 되는 경우를 신중히 판단하자.


1.119. 각행[편집]


명칭각행(角行, 카쿠교)
배치3五/34五
승격법맹표에서 승격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 질주 가능
승격시용마


1.120. 비응[편집]


명칭비응(飛鷹, 히요)
승격법오행에서 승격
행마법앞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1.121. 대웅[편집]


명칭대웅(大熊, 다이유)
승격법맹웅(猛熊)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1.122. 반룡[편집]


명칭반룡(蟠龍, 반류)
승격법반사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가능


1.123. 경예[편집]


명칭경예(鯨鯢, 케이게이)
승격법은토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가능


1.124. 용마[편집]


명칭용마(龍馬, 류마)
배치9十/28十
승격법묘인과 수마, 각행에서 승격
행마법전후좌우로 1칸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 질주 가능
승격시각응


1.125. 사자[편집]


명칭사자(獅子, 시시)
승격법동이에서 승격
행마법사자분신
비고츄쇼기부터 시작해서 각종 옛 장기에서 약방의 감초처럼 튀어나오는 개사기 말의 대표주자로, 통칭 사자분신 행마법의 원조. 물론 여기같이 36×36이란 터무니없는 규모의 게임판에서는 원조 사자의 입지가 약해지기 마련이지만, 그래도 중상급은 하는 강력한 말이다. 츄쇼기의 선사자, 사자의 발 규칙은 없다.


1.126. 대룡[편집]


명칭대룡(大龍, 다이류)
배치16五/21五
승격법와룡에서 승격
행마법앞뒤로 3칸까지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 질주 가능
승격시원룡


1.127. 사조[편집]


명칭사조(寺鳥, 지초)
승격법노서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가능
비고사실 본래 해당하는 한자가 두 글자 모두 유니코드에 존재하지 않기에 어쩔 수 없이 寺鳥로 표기하였다. 실제 한자는 각각 '古변의 寺''위에는 時가, 아래에는 鳥가 있는 한자'로 되어 있다.

1.128. 잡장[편집]


명칭잡장(雜将, 스이쇼)
승격법개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가능
비고사조와 행마법이 같다.


1.129. 비차[편집]


명칭비차(飛車, 히샤)
배치4五/33五
승격법금장과 비묘에서 승격
행마법가로세로 방향으로 질주 가능
승격시용왕


1.130. 방행[편집]


명칭방행(方行, 호교)
배치15八/22八
승격법용록에서 승격
행마법가로세로 방향으로 질주 가능
승격시강차
비고비차와 동일한 행마법을 가진 말. 그러나 승급 시에는 다르다.


1.131. 산모[편집]


명칭산모(山母, 산보)
승격법고원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가능
비고고원이 승격함으로써 1칸씩만 갈 수 있던 방향들이 전부 질주 가능해졌다.


1.132. 백구[편집]


명칭백구(白駒, 하쿠쿠)
승격법향차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가능
비고사조, 잡장과 동일한 행마법을 가진다.


1.133. 구반(鳩盤)[편집]


명칭구반(鳩盤, 큐반)
승격법여마, 변리에서 승격
행마법전후좌우로 2칸까지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 질주 가능
비고한국 기준으로 같은 음을 가진 구반(鳩, 큐)과 헷갈리지 말자.


1.134. 상왕[편집]


명칭상왕(象王, 조오)
승격법백상에서 승격
행마법전후좌우로 2칸까지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 질주 가능
비고구반(鳩盤)과 똑같이 움직인다.


1.135. 용왕[편집]


명칭용왕(龍王, 류오)
배치10十/27十
승격법비차와 비룡에서 승격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가로세로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승격시비취


1.136. 강차(強車)[편집]


명칭강차(強車, 쿄우샤)
승격법방행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1.137. 표왕[편집]


명칭표왕(豹王, 효오)
승격법수구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5칸까지 이동 가능


1.138. 대록[편집]


명칭대록(大鹿, 다이로쿠)
승격법산록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2칸까지 이동 + ↖↗ 방향의 2번째 칸으로 도약 + 가로세로 방향으로 질주 가능


1.139. 선학[편집]


명칭선학(仙鷦, 센카쿠)
승격법회계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가능
비고원래 '학'자 자리에 들어가야 할 문자는 而 아래에 鷦가 배치된 한자로, 이 글자의 음이 '학'이어야 했으나, 유니코드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鷦(뱁새 조)로 대체한다.


1.140. 분우[편집]


명칭분우(奔牛, 혼규)
승격법우장(牛将)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좌우론 2칸까지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1.141. 분마[편집]


명칭분마(奔馬, 혼바)
승격법마장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좌우론 2칸까지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비고승격 전도 승격 후도 우장(牛将)/분우와 똑같다.


1.142. 분구[편집]


명칭분구(奔狗, 혼쿠)
승격법구장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좌우론 2칸까지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비고승격 전에는 우장(牛将)/마장과 다른 행마법을 가지지만 승격 후에는 분우/분마와 똑같아진다.


1.143. 분돈[편집]


명칭분돈(奔豚, 혼톤)
승격법돈장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1칸만, 좌우론 2칸까지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도 가능
비고승격 전에는 다르지만 승격 후에는 분우/분마/분구와 똑같아진다.


1.144. 사천[편집]


명칭사천(四天, 시텐)
승격법나찰과 야차, 금강, 그리고 역사 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4칸까지 이동 가능
비고이름이 사(4)천이라 그런지 딱 4칸까지 이동을 지원한다.
혹시라도 후술할 사천왕이란 말과는 헷갈리지 않도록.


1.145. 대구(大鳩)[편집]


명칭대구(大鳩, 다이큐)
승격법산구에서 승격
행마법전후좌우론 3칸까지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1.146. 대사[편집]


명칭대사(大師, 다이시)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및 3번째 칸으로는 도약 가능. 나머지 방향으론 5칸까지 이동 가능.


1.147. 대귀[편집]


명칭대귀(大亀, 다이키)
행마법↙↖↑↓↗↘ 방향으로 질주 및 ↑↓방향 3번째 칸으로는 도약 가능. ←→ 방향으론 3칸까지 이동 가능.

1.148. 구반(鳩槃)[편집]


명칭구반(鳩槃, 큐한)
승격법북적에서 승격
행마법전후좌우로 2칸까지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 갈 경우 다음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①: 질주
②: 3번째 칸으로 도약하고, 그 방향으로 0~2칸 더 이동.
비고한국 독음이 완전히 같은 구반(鳩)하고 헷갈리지 말자. 대신 저쪽은 일본 음독이 큐으로 다르다.


1.149. 분계[편집]


명칭분계(奔鶏, 혼케이)
승격법계장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 ↖↑↓↗ 방향으로 질주 가능
비고승격전에는 구장과 같은 행마법을 갖지만, 승격하고 나면 분우/분마/분구의 상위호환이 된다.


1.150. 전기[편집]


명칭전기(前旗, 젠키)
배치7九/30九
승격법근왕에서 승격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 3칸까지 이동 가능 + 가로세로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승격시대기
비고앞의 깃발을 의미한다.


1.151. 분저[편집]


명칭분저(奔猪, 혼초)
승격법진저에서 승격
행마법뒤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비고의미는 달리는 돼지.


1.152. 회천[편집]


명칭회천(淮川, 와이센)
승격법천장에서 승격
행마법앞뒤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 ↗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1.153. 태산[편집]


명칭태산(泰山, 타이잔)
승격법산장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5칸까지 이동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1.154. 금조(禽鳥)[편집]


명칭금조(禽鳥, 킨초)
승격법금리에서 승격
행마법뒤로 2칸까지, 좌우론 3칸까지 이동 + 나머지 5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1.155. 폭풍[편집]


명칭폭풍(暴風, 보후)
승격법풍장에서 승격
행마법좌우로는 1칸만 이동 가능 + 나머지 6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비고풍장은 천장과 똑같이 움직이지만 승격하면 서로 90도로 눕힌 듯이 반대되는 행마법을 가진다.


1.156. 차병[편집]


명칭차병(車兵, 샤헤이)
배치1九/36九
행마법좌우로는 2칸까지 이동 가능 + 나머지 6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승격시사천왕
비고최전방 가까이에 있는 말이라 전선으로 나오기도 쉽고 광대한 전장을 가진 판의 특성 상 전방으로 자유롭게 질주할 수 있어 적진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고 승격도 매우 쉬워 가치가 큰 말이다.
승격이 쉬운 주제에 승격하면 더욱 무서운 놈이 된다는 게 가장 무서운 점인데, 더 자세한 건 해당 항목을 참고할 것.


1.157. 분호[편집]


명칭분호(奔虎, 혼코)
숭격법수호에서 승격
행마법앞을 제외한 7방향으로 질주 가능


1.158. 금시[편집]


명칭금시(金翅, 킨시)
배치17五/20五
승격법봉황과 기린, 그리고 남만에서 승격
행마법←↙↘→ 방향으로는 3칸까지 이동 가능 + 앞뒤로는 질주도 가능 + ↖↗ 방향으로는 3단 도약까지 가능
승격시분시


1.159. 분귀[편집]


명칭분귀(奔鬼, 혼키)
배치10一/27一
승격법행조에서 승격
행마법앞뒤로는 5칸까지 이동 가능 + ↙←↖↗→↘ 방향으로는 질주 가능
승격시분왕


1.160. 분왕[편집]


명칭분왕(奔王, 혼오)
배치14一/23一
승격법마린, 분귀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질주 가능
승격시대장
비고옛 장기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쇼기 버전 . 다른 쇼기였다면 충분히 통 먹고 남았을듯 하지만, 이 타이쿄쿠쇼기에 이보다 강력한 말이 십수 개는 더 있다는 것이다. 그래도 이 분왕이 승격하면 대장이라는 이동 경로상 모든 기물을 적/아군 할 것 없이 광역킬이 가능한, 이 게임에서도 손꼽히게 강력한 말이 되므로 가치는 낮지 않다.

1.161. 각응[편집]


명칭각응(角鷹, 카쿠오)
배치12十/25十
승격법용마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질주 가능 + ↑방향의 두번째 칸은 도약도 가능
승격시대응
비고보병을 뛰어넘은 뒤에 바로 활약할 수 있는 위치에 놓여있다.
츄쇼기나 다이쇼기에서의 행마와 여기서의 행마가 다르다.


1.162. 비취[편집]


명칭비취(飛鷲, 히주)
배치13十/24十
승격법용왕 혹은 맹취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질주 가능 + ↖↗ 방향의 두번째 칸은 도약도 가능
승격시대취
비고비취의 배치와 행마법을 직접 보면 눈치챘겠지만,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된 중인이나 개(犬) 한 마리만 비켜줘도 바로 그 자리로 도약해 전선으로 뛰쳐나올 수 있다. 때문에 초반부터 빠르게 활약 가능한 말.
츄쇼기나 다이쇼기에서의 행마와 여기서의 행마가 다르다.


1.163. 박견[편집]


명칭박견(狛犬, 코마이누)
배치18十
승격법서융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질주 가능 + 아울러 모든 방향의 3번째 칸으로는 도약도 가능


1.164. 부장[편집]


명칭부장(副将, 후쿠쇼)
배치19四 = 태자 앞의 3번째 칸[26]
승격법수장에서 승격
행마법전후좌우로는 2번째 칸으로 도약 가능 + 대각선 방향으로는 2급 관통 가능
승격시대장

1.165. 대응[편집]


명칭대응(大鷹, 다이오)
승격법각응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질주 가능 + ↑ 방향으로는 무한 도약도 가능


1.166. 대취[편집]


명칭대취(大鷲, 다이주)
승격법비취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질주 가능 + ↖↗ 방향으로는 무한 도약도 가능[27]


1.167. 법성[편집]


명칭법성(法性, 호세이)
승격법무명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질주 가능 + 사자분신 한마디로 츄쇼기의 끝판왕인 분왕과 사자를 하나의 기물로 만든 것!
행마법[include(틀:쇼기게임, info=,
9一=LU, 8一=, 7一=, 6一=, 5一=U, 4一=, 3一=, 2一=, 1一=RU,
9二=, 8二=LU, 7二=, 6二=, 5二=U, 4二=, 3二=, 2二=RU, 1二=,
9三=, 8三=, 7三=2번, 6三=2번, 5三=2번, 4三=2번, 3三=2번, 2三=, 1三=,
9四=, 8四=, 7四=2번, 6四=1번, 5四=1번, 4四=1번, 3四=2번, 2四=, 1四=,
9五=L, 8五=L, 7五=2번, 6五=1번, 5五=빈칸, 4五=1번, 3五=2번, 2五=R, 1五=R,
9六=, 8六=, 7六=2번, 6六=1번, 5六=1번, 4六=1번, 3六=2번, 2六=, 1六=,
9七=, 8七=, 7七=2번, 6七=2번, 5七=2번, 4七=2번, 3七=2번, 2七=, 1七=,
9八=, 8八=LD, 7八=, 6八=, 5八=D, 4八=, 3八=, 2八=RD, 1八=,
9九=LD, 8九=, 7九=, 6九=, 5九=D, 4九=, 3九=, 2九=, 1九=RD,
caption=)]

1.168. 교왕[편집]


명칭교왕(教王, 쿄오)
승격법제바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3단 도약 가능


1.169. 사천왕[편집]


명칭사천왕(四天王, 시텐노)
승격법차병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질주 + 다른 기물을 잡지 않을 경우 무한 도약 가능[28]
비고변방의 최전선에 근접한 차병이 승격하면 이 게임 내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최강급 말이 된다. 장애물을 몇 개고 건너뛸 수 있는 이 개사기 말을 손에 넣으면 가장 먼저 상대방 차병을[29] 지나치게 빽빽한 자기 진영에서 운신이 불편한 왕급 말들을 원거리에서 자유자재로 저격해버리거나 왕수로 몰아넣는 게 가능하다. 당장 유일하다는 저 대국에서 나온 첫 장군이 사천왕을 이용한 저격이었다. 단점이라면 장기의 포랑 다르게 뛰어넘어 잡을 수 없다.
행마법[include(틀:쇼기게임, info=,
9一=STAR, 8一=, 7一=, 6一=, 5一=STAR, 4一=, 3一=, 2一=, 1一=STAR,
9二=, 8二=STAR, 7二=, 6二=, 5二=STAR, 4二=, 3二=, 2二=STAR, 1二=,
9三=, 8三=, 7三=STAR, 6三=, 5三=STAR, 4三=, 3三=STAR, 2三=, 1三=,
9四=, 8四=, 7四=, 6四=STAR, 5四=STAR, 4四=STAR, 3四=, 2四=, 1四=,
9五=STAR, 8五=STAR, 7五=STAR, 6五=STAR, 5五=빈칸, 4五=STAR, 3五=STAR, 2五=STAR, 1五=STAR,
9六=, 8六=, 7六=, 6六=STAR, 5六=STAR, 4六=STAR, 3六=, 2六=, 1六=,
9七=, 8七=, 7七=STAR, 6七=, 5七=STAR, 4七=, 3七=STAR, 2七=, 1七=,
9八=, 8八=STAR, 7八=, 6八=, 5八=STAR, 4八=, 3八=, 2八=STAR, 1八=,
9九=STAR, 8九=, 7九=, 6九=, 5九=STAR, 4九=, 3九=, 2九=, 1九=STAR,
caption=)]

1.170. 맹룡[편집]


명칭맹룡(猛龍, 모료)
배치16四 / 21四
승격시대룡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 3급 관통 가능, 가로 세로 방향으로 2칸까지 이동 가능
비고승격하는 것이 오히려 더 안 좋은 몇 안 되는 기물이다. 우선 승격말인 대룡은 대각선 방향 질주와 앞뒤 3칸 이동밖에 없는데, 맹룡의 경우 승격하면 좌우 이동을 상실하고, 관통 능력도 일반 질주로 바뀌는데 반해 이점은 고작 앞뒤 공격 범위가 1칸 증가한 것뿐이기 때문.

1.171. 각장[편집]


명칭각장(角将, 카쿠쇼)
배치5三/32三
승격시임귀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 3급 관통 가능
비고같은 계급인 비장, 비악, 맹룡, 상위의 계급인 부장, 대장을 제외한 경로상의 모든 기물을 멀티킬 해 버릴 수 있다. 그나마 컬러바운드라서 같은 계급인 비장보다는 약하다. 승격하면 컬러바운드가 해소되기는 하지만, 관통 능력이 오히려 무한 도약 능력으로 격하되기에 신중해야 한다.

1.172. 비장[편집]


명칭비장(飛将, 히쇼)
배치6三/31三
행마법가로 세로 방향으로 3급 관통 가능
승격시비악
비고같은 계급인 각장, 맹룡, 비악 및 상위 계급인 부장, 대장을 제외한 경로상의 모든 말들을 멀티킬해 버릴 수 있다. 각장과는 달리 모든 칸을 다 갈 수 있어 실질적 가치는 더 높다.

1.173. 비악[편집]


명칭비악(飛鰐, 히가쿠)
승격법비장에서 승격
행마법가로 세로 방향으로 3급 관통 가능, ↖↗ 방향으로 3칸, ↙↘ 방향으로 2칸 이동 가능
비고원래 강력한 기물인 비장의 공격력을 더욱 강화한 기물이라 할 수 있다.

1.174. 대장[편집]


명칭대장(大将, 타이쇼)
배치18四[30]
승격법화장, 부장, 분왕에서 승격
행마법모든 방향으로 1급 관통 가능
비고사실상 같은 대장이나 왕급 말을 제외하면 모조리 뚫어죽일 수 있는 최강의 관통말. 여기에 걸리면 구행도 얄짤없다. 더군다나, 기물이 죄다 길을 막아버리는 초중반에는 기물이 몇 개건 상관없이 자유자재로 넘어다니면서 여러 개를 멀티킬해 버리니 구행보다 더 무섭다.

1.175. 분취[편집]


명칭분취(奔鷲, 혼쥬)
배치19八
행마법전방향 질주 가능, ↙←↑↓→↘ 방향으로 사자분신 3단, ↖↗ 방향으로 사자분신 4단
비고사자가 최대 2번 움직일 수 있다면, 분취는 최대 4번까지 사자분신을 쓸 수 있다. 즉, 1234칸을 다 먹거나 123칸을 먹고 2번째 칸으로 빠지는 행마도 가능.
행마법[include(틀:쇼기게임, info=,
9一=4번, 8一=, 7一=, 6一=, 5一=U, 4一=, 3一=, 2一=, 1一=4번,
9二=, 8二=3번, 7二=, 6二=, 5二=3번, 4二=, 3二=, 2二=3번, 1二=,
9三=, 8三=, 7三=2번, 6三=, 5三=2번, 4三=, 3三=2번, 2三=, 1三=,
9四=, 8四=, 7四=, 6四=1번, 5四=1번, 4四=1번, 3四=, 2四=, 1四=,
9五=L, 8五=3번, 7五=2번, 6五=1번, 5五=빈칸, 4五=1번, 3五=2번, 2五=3번, 1五=R,
9六=, 8六=, 7六=, 6六=1번, 5六=1번, 4六=1번, 3六=, 2六=, 1六=,
9七=, 8七=, 7七=2번, 6七=, 5七=2번, 4七=, 3七=2번, 2七=, 1七=,
9八=, 8八=3번, 7八=, 6八=, 5八=3번, 4八=, 3八=, 2八=3번, 1八=,
9九=LD, 8九=, 7九=, 6九=, 5九=D, 4九=, 3九=, 2九=, 1九=RD,
caption=)]

1.176. 공작[편집]


명칭공작(孔雀, 쿠쟈쿠)
배치14三/23三
승격시텐구
행마법↙↘ 방향으로 2칸 + 자신의 앞쪽 방향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질주 가능 + 질주 도중에 방향을 대각선으로 1회 꺾을 수 있음[각행2번]
비고텐구의 하위호환. 하지만 뒤에 있을 경우 텐구와 비슷한 화력을 낼 수 있다.
행마법[include(틀:쇼기게임, info=,
9一=O, 8一=, 7一=O, 6一=, 5一=O, 4一=, 3一=O, 2一=, 1一=O,
9二=, 8二=O, 7二=, 6二=O, 5二=, 4二=O, 3二=, 2二=O, 1二=,
9三=O, 8三=, 7三=O, 6三=, 5三=O, 4三=, 3三=O, 2三=, 1三=O,
9四=, 8四=O, 7四=, 6四=O, 5四=, 4四=O, 3四=, 2四=O, 1四=,
9五=O, 8五=, 7五=O, 6五=, 5五=빈칸, 4五=, 3五=O, 2五=, 1五=O,
9六=, 8六=O, 7六=, 6六=O, 5六=, 4六=O, 3六=, 2六=O, 1六=,
9七=O, 8七=, 7七=O, 6七=, 5七=, 4七=, 3七=O, 2七=, 1七=O,
caption=)]

1.177. 텐구[편집]


명칭텐구(天狗, 천구)
배치7一/30一
승격법공작, 고치에서 승격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 질주 가능 + 질주 도중에 방향을 대각선으로 1회 꺾을 수 있음[각행2번]
비고이 쇼기에 등장하는 말 중에서도 정점에 가까운 차상위 개사기 말. 허허벌판에 놔두면 모든 필드의 50%를 장악해버리는 극악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1.178. 마갈[편집]


명칭마갈(摩羯, 마카쿠)
배치17六[31]
행마법대각선 방향으로 질주 가능 + 질주 도중에 방향을 대각선으로 1회 꺾을 수 있음[각행2번]
승격시구행
비고텐구와 똑같은 행마법을 가지지만, 텐구와는 달리 이쪽은 구행으로 승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훨씬 가치가 높다고 할 수밖에 없다.


1.179. 구행[편집]


명칭구행(鉤行, 코교)
배치20六[32]
승격법독사 혹은 마갈에서 승격
행마법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질주 가능 + 질주 도중에 방향을 가로 혹은 세로방향으로 1회 꺾을 수 있음[33]
비고이 쇼기에 등장하는 말 중에서도 정점 그 자체라 할 수 있는, 진정한 최상위 최강 개사기 말. 허허벌판에 놔두면 모든 필드의 100%를 장악해버리며, 자칫하면 이 놈 하나 때문에 멀리 떨어진 옥장이 외통수를 당할 수도 있다. 이게 얼마나 무서운지는 상상에 맡긴다. 그러나 유일한 단점이라면, 기물을 잡고 방향을 꺾을 수는 없다. 잡으면 그걸로 수가 끝나기 때문이다.


1.180. 옥장[편집]


명칭옥장(玉将, 교쿠쇼)
배치18一[34]
승격법태자에서 승격
행마법여덟 방향으로 1~2칸 이동 가능
비고태자가 남아 있으면 이 기물이 따여도 게임이 안 끝난다. 또한 다른 쇼기들과 달리 2칸까지도 움직일 수 있기에 츄쇼기나 다이쇼기에서 한 것처럼 사자 혼자서는 옥장이 벽에 붙어 있어도 외통장군을 부를 수 없다. 단, 옥장이 모서리에 있거나, 모서리로부터 가로 또는 세로로 한 칸 떨어진 경우와 다른 기물에 의해 보호 받는 사자라면 가능.
참고로 타이쿄쿠쇼기가 나왔던 시절에는 왕장(王将)의 개념이 따로 없었기 때문에 양 플레이어 모두 옥장으로 표시한다.

2.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8:28:57에 나무위키 타이쿄쿠쇼기/기물 및 행마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로 사자의 행마법 뿐만 아니라 선택할 수 있는 다른 행마법이 하나 이상 옵션으로 달려있는 경우.[2] 게다가 그냥 직선으로 2칸 이동도 아니라서, 이 쇼기의 계마나 체스나이트처럼 日자 위치로 떨어진 곳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다.[3] 다만 실제로 확인해 보면 상당수의 칸들이 비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옮기는 과정에서 일부를 옮기지 않은 것으로 추정[4] 반대편인 35八에는 주작이 있다.[5] 반대편인 2八에는 청룡이 있다.[6]옥장과 태자의 바로 양옆. 혼쇼기에도 금장이 왕장의 양옆에 있다.[7] 반대편이자 바로 옆인 18五의 자리에는 제바가 들어간다.[8] 반대편이자 바로 옆인 19五의 자리에는 무명이 들어간다.[9] 반대편이자 바로 옆인 19二에는 근왕 대신 취상이 배치되어 있다.[10] 반대편에는 대신 좌장이 있다.[11] 반대편에는 대신 우장(右将)이 있다.[12] 반대편에는 대신 기린이 있다.[13] 반대편이자 바로 옆인 18二에는 대신 근왕이 배치되어 있다.[14] 반대 위치에는 봉황이 대신 배치되어있다.[15] 반대편인 22二에는 야차가 서있다.[16] 반대편인 23七에는 남만이 위치해있다.[17] 반대편인 14七에는 동이가 위치해있다.[18] 반대편인 24七에는 북적이 위치해있다.[19] 반대편인 13七에는 서융이 위치해있다.[20] 반대편인 15二에는 나찰이 버티고 서있다.[21] 맞은편인 21二에는 금강이 있다.[22] 반대편인 16二에는 역사(力士)가 있다.[23] 반대편에는 대신 향상이 배치되어 있다.[24] 반대편인 18一에는 옥장이 있다.[25] 중인에서 승격한 취상은 불가능[26] 반대편 위치에는 대신 대장이 버티고 서 있다.[27] 비숍과 흡사하다.[28] 쉽게 생각하면 장기의 포 + 체스의 퀸 이라 생각하면 된다. 단 장기의 포처럼 뛰어넘어서 잡을 수는 없다.[29] 상대방이 사천왕을 쥐기 전에 차병 상태에서 처리해 둘 수 있다면 좋겠지만, 차병은 초반부터 운신이 자유로운 편이라 잡아먹기가 쉽지 않다.[30] 반대편인 19四에는 부장이 있다.[각행2번] A B C 쉽게 생각하면 각행을 한 수에 2번 쓰는 것과 같다.[31] 반대편인 20六에는 구행이 있다.[32] 반대편인 17六에는 마갈이 있다.[33] 쉽게 생각하면 비차를 한 수에 2번 쓰는 것과 같다.[34] 반대편인 19一에는 태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