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신장비 제조사

덤프버전 :


1. 개요
2. 유무선 통신장비 제조사
3. 무선 통신장비 제조사
3.1. 중계기 제조사
4. 유선 통신장비 제조사
5. 없어진 통신장비 제조사
6. 국내 통신장비 사용 현황


1. 개요[편집]


통신장비 제조사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유무선 통신장비 제조사[편집]



3. 무선 통신장비 제조사[편집]



3.1. 중계기 제조사[편집]


  • 쏠리드 (한국)
  • 팬택씨앤아이 엔지니어링[1] (한국)
  • 에치에프알 (한국)

4. 유선 통신장비 제조사[편집]


  • 시스코 (미국)
  • 시에나 (미국)
  • 주니퍼 네트웍스 (미국)
  • 아리스타 네트웍스 (미국)
  • 익스트림 네트웍스 (미국)
  • 인피네라 (미국)
  • 우리별 정보통신 (한국)
  • 텔레필드 (한국)
    • 썬웨이브 (한국)
  • 코위버 (한국)
* 한드림넷 (한국)

5. 없어진 통신장비 제조사[편집]



6. 국내 통신장비 사용 현황[편집]


대한민국의 지역별 이동통신 기지국 제조사
[ 펼치기 · 접기 ]

Clean Network 인증Clean Network 미인증
파일:SK텔레콤 로고.svg파일:KT 로고.svg[[파일:KT 로고 화이트.svg파일:LG U+ 로고.svg
파일:삼성 워드마크.svg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도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대전광역시, 충청도 일부, 광주광역시, 전라도 일부, 경기도 남부 일부[1], 제주도
파일:에릭슨 로고.svg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도강원도, 세종특별자치시, 경상도[2]충청도 일부, 전라도 일부, 강원도 일부
파일:nokia_new_logo.svg광주광역시, 전라도, 강원도, 제주도대전광역시[3], 충청도[4], 광주광역시[5] 전라도[6], 제주도[7]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도, 경기도 남부 일부[8]
파일:화웨이 로고.svgXX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일부, 강원도 일부, 경기도 북부, 경기도 남부 일부[9]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각주]


[1] 성남시, 광주시[2] 부산, 울산 제외[3] 5G 장비 전부 삼성장비를 사용하고 LTE 장비는 노키아 장비를 사용[4] 5G 장비 전부 삼성장비를 사용하고 LTE 장비는 노키아 장비를 사용[5] 5G 장비 일부만 삼성장비를 사용[6] 5G 장비 일부만 삼성장비를 사용[7] 5G 장비 일부만 삼성장비를 사용[8] 5G 장비 설치시 기존 LTE 장비 철거 후 화웨이와 삼성장비로 교체중[9] 하남시, 김포시




유선통신장비 제조사
[ 펼치기 · 접기 ]

메이저 통신사
파일:SK텔레콤 로고.svg파일:KT 로고.svg파일:LG U+ 로고.svg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주니퍼 네트웍스시스코노키아화웨이
노키아시에나코위버-
시에나인피네라시스코-
아리스타 네트웍스텔레필드--
텔레필드아리스타 네트웍스--
코위버익스트림 네트웍스--
-코위버--
[ 메이저 통신사 외 ]




[1] SK텔레시스의 후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1 (이전 역사)
문서의 r61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22:08:53에 나무위키 통신장비 제조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