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틀: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차내 안내방송 점유율

덤프버전 :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차내 안내방송 점유율
순위성우담당 노선수점유율담당 운영자담당 노선
1위TTS14개36.8%한국철도공사수도권 전철 1호선[A],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경강선, 동해선, 서해선
-부산김해경전철, 신분당선, 용인 에버라인, 김포 골드라인, 신림선
2위강희선12개31.6%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1호선[A]~8호선
(7호선 인천교통공사 구간 포함)
부산교통공사부산 도시철도 1호선~4호선
3위이윤정6개15.8%대구 도시철도대구 도시철도 1호선~3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우이신설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공동4위조예신2개5.3%인천교통공사인천 도시철도 1호선~2호선
공동4위강유경2개5.3%공항철도공항철도,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공동6위박형욱1개2.6%-의정부 경전철
공동6위허강원1개2.6%-광주 도시철도 1호선
* 전체 35개 노선
** 단일 노선 운영자끼리는 '-'표해 하나로 처리한다.
*** 수도권 전철 1, 3, 4호선의 경우 코레일과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나, 안내방송이 달라 각각 다른 노선으로 간주해 계산했다. 따라서 총합 38개 노선.
**** TTS는 엄밀하게 말하면 성우는 아니다. 또한 TTS 모델 개발 업체 별로 나누면 리드스피커코리아(보이스웨어) 10개, 셀바스AI(셀비TTS) 3개, 타입캐스트 1개로 순위가 낮아지나, 편의상 하나로 통합했다.
***** 서울 7호선의 인천 도시철도 구간에서도 서울교통공사의 방송을 송출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8 10:12:16에 나무위키 틀: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차내 안내방송 점유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1, 3, 4호선의 경우 서울교통공사의 열차에서는 강희선 성우의 안내방송이, 한국철도공사의 열차에서는 TTS 안내방송이 송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