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울로 완초페

덤프버전 :

파울로 완초페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E10000,#073300><color=#000733>
1921년 ~ 현재
|| ||<(>
{{{#FFFFFF 1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엘라디오 로사발 코르데로|로사발]] |
{{{#FFFFFF 2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마누엘 로드리게스 바로스|로드리게스]] |
{{{#FFFFFF 3대}}}
[[엘살바도르|[[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height=15]]]] [[리카르도 사프리사|사프리사]] |
{{{#FFFFFF 4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알레한드로 모레라 소토|모레라]] |
{{{#FFFFFF 5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호르헤 로하스|로하스]] || ||<(>
{{{#FFFFFF 6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에르난 볼라뇨스|볼라뇨스]] & [[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height=15]]]] [[랜돌프 갤러웨이|갤러웨이]] |
{{{#FFFFFF 7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산티아고 보니야|보니야]] |
{{{#FFFFFF 8대}}}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5]]]] [[오토 붐베우|붐베우]] |
{{{#FFFFFF 9대}}}
[[칠레|[[파일:칠레 국기.svg|height=15]]]] [[우고 타사라|타사라]] |
{{{#FFFFFF 10대}}}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height=15]]]] [[에두아르도 토바|토바]] || ||<(>
{{{#FFFFFF 11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알프레도 피에드라 모라|피에드라]] |
{{{#FFFFFF 12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마리오 코르데로|코르데로]] |
{{{#FFFFFF 13대}}}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height=15]]]] [[에두아르도 비소|비소]] |
{{{#FFFFFF 14대}}}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15]]]] [[움베르토 마스키오|마스키오]] |
{{{#FFFFFF 15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호세 에체고옌|에체고옌]] || ||<(>
{{{#FFFFFF 16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후안 호세 가메스|가메스]] |
{{{#FFFFFF 17대}}}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height=15]]]] [[안토니오 모야노|모야노]] |
{{{#FFFFFF 18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알바로 그란트 맥도날드|그란트]] |
{{{#FFFFFF 19대}}}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5]]]] [[오지르 자크스|자크스]] |
{{{#FFFFFF 20대}}}
[[우루과이|[[파일:우루과이 국기.svg|height=15]]]] [[구스타보 데 시모네|데 시모네]] || ||<(>
{{{#FFFFFF 21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마르빈 로드리게스|로드리게스]] |
{{{#FFFFFF 22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height=15]]]] [[보라 밀루티노비치|밀루티노비치]] |
{{{#FFFFFF 23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로란도 비야로보스|비야로보스]] |
{{{#FFFFFF 24대}}}
[[우루과이|[[파일:우루과이 국기.svg|height=15]]]] [[엑토르 누녜스|H. 누녜스]] |
{{{#FFFFFF 25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후안 호세 가메스|가메스]] || ||<(>
{{{#FFFFFF 26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알바로 그란트 맥도날드|그란트]] |
{{{#FFFFFF 27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토리비오 로하스|로하스]] |
{{{#FFFFFF 28대}}}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5]]]] [[바우데이르 비에이라|비에이라]] |
{{{#FFFFFF 29대}}}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15]]]] [[호라시오 코르데로|코르데로]] |
{{{#FFFFFF 30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후안 루이스 에르난데스 후아르테|후아르테]] || ||<(>
{{{#FFFFFF 31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로란도 비야로보스|비야로보스]] |
{{{#FFFFFF 32대}}}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height=15]]]] [[프란시스코 마투라나|마투라나]] |
{{{#FFFFFF 33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마르빈 로드리게스|로드리게스]] |
{{{#FFFFFF 34대}}}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5]]]] [[지우송 누네스|G. 누네스]] |
{{{#FFFFFF 35대}}}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5]]]] [[알렉산드르 기마랑이스|기마랑이스]] || ||<(>
{{{#FFFFFF 36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로드리고 켄톤|켄톤]] |
{{{#FFFFFF 37대}}}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스티브 샘슨|샘슨]] |
{{{#FFFFFF 38대}}}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height=15]]]] [[호르헤 루이스 핀투|핀투]] |
{{{#FFFFFF 39대}}}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5]]]] [[지우송 누네스|G. 누네스]] |
{{{#FFFFFF 40대}}}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5]]]] [[알렉산드르 기마랑이스|기마랑이스]] || ||<(>
{{{#FFFFFF 41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에르난 메드포드|메드포드]] |
{{{#FFFFFF 42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로드리고 켄톤|켄톤]] |
{{{#FFFFFF 43대}}}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5]]]] [[헤네 시모이스|시모이스]] |
{{{#FFFFFF 44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로날드 곤살레스 브레네스|곤살레스]] |
{{{#FFFFFF 45대}}}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15]]]] [[리카르도 라 볼페|라 볼페]] || ||<(>
{{{#FFFFFF 46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로날드 곤살레스 브레네스|곤살레스]] |
{{{#FFFFFF 47대}}}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height=15]]]] [[호르헤 루이스 핀투|핀투]] |
{{{#FFFFFF 48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파울로 완초페|완초페]] |
{{{#FFFFFF 49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오스카르 라미레스|라미레스]] |
{{{#FFFFFF 50대(대행)}}}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로날드 곤살레스 브레네스|곤살레스]] || ||<(>
{{{#FFFFFF 51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구스타보 마토사스|마토사스]] |
{{{#FFFFFF 52대(대행)}}}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더글라스 세퀘이라|세퀘이라]] |
{{{#FFFFFF 53대}}}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15]]]] [[로날드 곤살레스 브레네스|곤살레스]] |
{{{#FFFFFF 54대}}}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height=15]]]] [[루이스 페르난도 수아레스|수아레스]] |
{{{#FFFFFF 55대(대행)}}}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15]]]] [[클라우디오 비바스|비바스]] || ||<bgcolor=#222222><color=#C8AB37><:> '''현직''' || ||<bgcolor=#e0ffdb,#073300>
{{{#FFFFFF 56대}}}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15]]]] [[구스타보 알파로|알파로]] || ||<height=30><bgcolor=#eeeeee,#191919>
{{{-1 [[틀:축구 국가대표팀별 역대 감독|{{{#333333,#cccccc 전세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감독 보기}}}]]}}}
||



코스타리카의 축구감독
파일:/image/343/2015/02/02/2015020271_99_20150202095509.jpg
이름 파울로 완초페
Paulo Wanchope
출생 1976년 7월 31일 (47세)
코스타리카 에레디아
국적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신체 193cm
직업 축구선수 (스트라이커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선수 CS 에레디아노 (1993~1997)
더비 카운티 FC (1997~1999)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1999~2000)
맨체스터 시티 FC (2000~2004)
말라가 CF (2004~2005)
알 가라파 SC (2005)
CS 에레디아노 (2006)
로사리오 센트랄 (2006)
FC 도쿄 (2007)
시카고 파이어 SC (2007)
감독 CS 에레디아노 (2008~2009)
코스타리카 대표팀 (2010~2014 / 수석코치)
코스타리카 대표팀 (2014~2015)[1]
CS 카르타히네스 (2018)
CS 에레디아노 (2018)
페레즈 젤레돈 (2021)
국가대표 73경기 45골 (코스타리카 / 1996~2007)

1. 개요
2. 선수 시절
3. 지도자 시절



1. 개요[편집]


코스타리카의 축구선수 출신 감독.

코스타리카 축구의 전설로 통하는 스트라이커였다.


2. 선수 시절[편집]


완초페는 원래 농구선수가 되기를 꿈꿨고 고등학생 시절 농구 장학생에 선발될 정도로 농구에 재능이 뛰어났지만 할아버지와 아버지, 그의 형제가 모두 축구 집안이라서 가업을 이어받기 위해 축구선수로 전환했다.

1993년 CS 에레디아노에서 프로 커리어를 시작, 1997년 60만 파운드의 이적료로 잉글랜드더비 카운티 FC로 이적하였다. 더비 카운티 데뷔전이었던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 원정 경기에서 데뷔 첫 골을 기록한 이후, 더비 카운티에서 통산 72경기에 출전, 23골을 기록한다. 비록 긴 시간동안 팀에서 뛴 것은 아니지만, 딘 스터리지, 스테파노 에라니오 등과 함께 더비의 부흥을 이끈 선수로 평가받는 중.

1999년 여름 이적시장에서 그는 350만 파운드의 이적료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로 이적해 1999-00 시즌 동안 35경기에 출전, 12골을 기록한다. 시즌 종료후 그는 365만 파운드의 이적료를 지불한 맨체스터 시티 FC로 전격 이적한다.

이적 후 2000년 8월 23일 선덜랜드전에서 해트트릭을 작성하며 팀의 4-2 승을 이끌었다. 맨체스터 시티 FC에서 그는 통산 3시즌 동안 64경기에 출전해 27골을 기록했다.

2003-04 시즌 후 이적시장에서 그는 50만 유로의 이적료로 스페인말라가 CF로 이적하여 1시즌 동안 25경기 6골을 기록한다. 이후 카타르의 알 가라파로 이적하였고, 2006년엔 친정팀 에레디아노와 아르헨티나의 로사리오 센트랄에서 뛰었다. 2007년엔 일본FC 도쿄에서 뛰었고, 미국의 시카고 파이어 SC에서 선수생활을 마감하였다.

국가대표에서도 그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는데, 1996년 베네수엘라와의 친선전에서 데뷔, 2002 한일 월드컵2006 독일 월드컵에서 주전 스트라이커로 활약하며 팀을 본선으로 이끌었다. 2001년 골드컵 준결승에서 당시 초청팀 자격으로 참가한 한국대표팀[2]을 상대로 2득점을 하며 팀을 결승으로 이끌고 특히 2002 한일 월드컵 터키전에서는 무득점에도 불구하고 MOM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국가대표팀에서의 통산 성적은 73경기 45골.


3. 지도자 시절[편집]


은퇴 후 그는 친정팀 에레디아노의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성적 부진과 잉글랜드에서 공부를 하고자 하는 본인의 의사로 인해 중도 해임되었다. 이후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의 수석코치로 선임되어 호르헤 루이스 핀투 감독을 보좌하였다. 핀투 감독이 떠난 후, 감독대행을 맡아 2014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우승을 이끌었다. 그 뒤 2015년 2월 2일,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의 정식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하지만 8월 12일에 열린 코스타리카파나마의 U-23 대표팀 경기를 관전하다가 경기장 보안요원을 폭행, 아니 싸움을 벌였다. 당시 완초페 감독은 경기가 0-0 무승부로 끝나자 화가 치밀었고, 그대로 그라운드에 난입했다. 이에 경기장 보안요원이 제지하자 완초페 감독은 주먹을 휘둘렀고, 결국 상호간의 주먹 다짐이 시작됐다. 그 뒤 경찰이 출동한 뒤에야 겨우 쌍방 폭행이 중단됐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완초페 감독은 경기 후 “이 경기는 승부조작”이라고 외쳤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그 다음날인 8월 13일, 완초페는 감독을 사퇴하였고, 오스카르 라미레스가 새로운 코스타리카 국대축구팀 감독이 되었다.
[1] 2014 브라질 월드컵 이후 핀투 감독이 사임하자 감독대행을 맡다가 2015년 2월 2일 정식 감독으로 선임되었다.[2] 당시 감독은 히딩크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01:33:48에 나무위키 파울로 완초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