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곤 사토시 감독 애니메이션 작품)] ||<-5><table width=100%><tablealign=center><bgcolor=#0c0000> '''[[애니메이션 고베|{{{#e5d85c 역대 애니메이션 고베}}}]]''' || ||<-5><bgcolor=#ffffff,#191919> [[파일:external/i1.wp.com/kobe-2.png|width=200]] || ||<-5><bgcolor=#0c0000> {{{#e5d85c '''작품상 - 극장 부문'''}}} || ||<width=30%><rowbgcolor=#ffe400,#615200> '''제11회[br]([[2006년]])''' || {{{+1 → }}} ||<width=30%> '''제12회[br]([[2007년]])''' || {{{+1 → }}} ||<width=30%> '''제13회[br]([[2008년]])''' || || [[시간을 달리는 소녀(애니메이션)|시간을 달리는 소녀]] || {{{+1 → }}} ||<bgcolor=#ffffff,#191919> '''파프리카''' || {{{+1 → }}} || [[에반게리온: 서#수상|에반게리온: 서]] || ||<-5><bgcolor=#0c0000> || ||<-2><table align=right><table width=550><table bordercolor=#9a1f21><bgcolor=#9a1f2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fef294 '''{{{+1 파프리카}}}''' (2006)[br]''パプリカ''[br]''Paprika''}}} || ||<-2><bgcolor=#ffffff>
[[파일:attachment/Paprika.jpg|width=100%]]
|| ||<width=30%><bgcolor=#9a1f21> '''{{{#fef294 장르}}}''' ||[[SF]], [[미스터리]] || ||<bgcolor=#9a1f21> '''{{{#fef294 감독}}}''' ||[[곤 사토시]] || ||<bgcolor=#9a1f21> '''{{{#fef294 각본}}}''' ||[[곤 사토시]][br][[미나카미 세이시]] || ||<bgcolor=#9a1f21> '''{{{#fef294 원작}}}''' ||[[츠츠이 야스타카]] 《파프리카》 || ||<bgcolor=#9a1f21> '''{{{#fef294 제작}}}''' ||하라 후미노리[br]마루타 준고[br]모리시마 타로[br]미노카타 유키코[br]타키야마 마사오 || ||<bgcolor=#9a1f21> '''{{{#fef294 기획}}}''' ||마루타 준고[br][[마루야마 마사오(1941)|마루야마 마사오]] || ||<bgcolor=#9a1f21> '''{{{#fef294 제작 프로듀서}}}''' ||[[토요타 토모노리]] || ||<bgcolor=#9a1f21> '''{{{#fef294 출연}}}''' ||[[하야시바라 메구미]][br]에모리 토오루[br][[호리 카츠노스케]][br][[후루야 토오루]] 등 || ||<bgcolor=#9a1f21> '''{{{#fef294 촬영}}}''' ||카토우 미치야 || ||<bgcolor=#9a1f21> '''{{{#fef294 작화}}}''' ||[[안도 마사시]] || ||<bgcolor=#9a1f21> '''{{{#fef294 편집}}}''' ||세야마 타케시 || ||<bgcolor=#9a1f21> '''{{{#fef294 음악}}}''' ||[[히라사와 스스무]] || ||<bgcolor=#9a1f21> '''{{{#fef294 미술}}}''' ||이케 노부타카 || ||<bgcolor=#9a1f21> '''{{{#fef294 음향}}}''' ||[[미마 마사후미]] || ||<bgcolor=#9a1f21> '''{{{#fef294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매드하우스]],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 ||<bgcolor=#9a1f21> '''{{{#fef294 수입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KIDS]][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코리아|한국소니픽쳐스릴리징브에나비스타영화]][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필마우로]] || ||<bgcolor=#9a1f21> '''{{{#fef294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렉스엔터테인먼트[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클래식]][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코리아|한국소니픽쳐스릴리징브에나비스타영화]][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필마우로]] || ||<bgcolor=#9a1f21> '''{{{#fef294 개봉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2006년]] [[9월 2일]] ([[베니스 영화제]])[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6년]] [[11월 25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6년]] [[11월 2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7년]] [[11월 3일]] || ||<bgcolor=#9a1f21> '''{{{#fef294 화면비}}}''' ||1.85 : 1 || ||<bgcolor=#9a1f21> '''{{{#fef294 상영 시간}}}''' ||90분 || ||<bgcolor=#9a1f21> '''{{{#fef294 제작비}}}''' ||3억 엔(260만 달러) || ||<bgcolor=#9a1f21> '''{{{#fef294 월드 박스오피스}}}''' ||$946,590 || ||<bgcolor=#9a1f21> '''{{{#fef294 북미 박스오피스}}}''' ||$882,267 || ||<bgcolor=#9a1f21> '''{{{#fef294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070명 || ||<bgcolor=#9a1f21> '''{{{#fef294 스트리밍}}}'''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60]]]] [[https://play.watcha.net/contents/md7GnMd|▶]][br][[네이버 시리즈온|[[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https://serieson.naver.com/movie/detail.nhn?productNo=2138687|▶]][br][[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 [[https://www.netflix.com/kr/title/70065105|▶]] || ||<bgcolor=#9a1f21> '''[[영상물 등급 제도|{{{#fef294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 15세 이상 관람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height=22]]]]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3년에 출판한 [[츠츠이 야스타카]]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 참고로 《파프리카》는 같은 작가의 1992년작 《아침의 가스 파드》와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며 《아침의 가스 파드》의 등장인물인 토키타, 치바, 코나카와가 《파프리카》에도 등장한다. 1년 먼저 발간된 《아침의 가스 파드》가 《파프리카》 보다 후의 시간대를 배경으로 한다.] 원작자 츠츠이 야스타카가 감독 콘 사토시와의 대담에서 영화화해주기를 바란다고 해서 실현되었다. 츠츠이는 이 소설은 본인이 생각하기에 가장 엔터테인먼트성이 강한 작품으로, 감독이 원작을 어떻게 주물러 바꾸더라도 전혀 개의치 않는다고 밝혔다고 한다. [[https://youtu.be/hlHCdi6ASE0?si=zDY-gIV9sQyDKikN|메이킹 영상]] 원작 소설보다 영역과 상상력을 더 확장시킨 콘 사토시의 독창적인 연출력과 음악 감독 [[히라사와 스스무]]와의 협업이 돋보이는 작품. 베테랑 성우들의 연기 또한 완성도를 한층 높이는데 일조한 작품이다. 작화감독과 캐릭터 디자인은 [[안도 마사시]]가 맡았다. 이 작품을 제작한 이후 [[콘 사토시]]는 췌장암이 발병해 투병 생활을 하다 2010년에 사망해 유작이 됐다. 한국에는 2006년 [[부산국제영화제]]로 최초 공개했고, 2007년에 개봉했는데 [[중앙극장|스폰지하우스 중앙극장]] 딱 1곳에서만 상영, 관객은 1천 명 정도다. 2007년 [[SICAF|시카프]]에서도 상영한 바 있다. 미국에도 개봉해 약 87만 불(당시 일본 환율로 1억 엔)의 수익으로 2005년에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이어 1억 엔을 넘은 기록으로(통상 12번째 작품) 흥행에 성공했다. 특히 R등급 성인 대상 영화로 1억 엔 수익은 [[카우보이 비밥 극장판: 천국의 문]]과 이 작품으로 단 2작품 뿐이다. 난해한 작품으로 이 작품의 테마는 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 정말 곤란한 질문이라며, 테마가 뭔지는 영화를 본 관객들이 스스로 찾아보라고 하면서, 나도 이 작품을 만들기는 했지만 그 자신도 내가 뭘 만들었는지를 이해하지 못 했다고 콘 사토시는 고백했다. == 예고편 == ||<table bordercolor=#9a1f21><tablealign=center><bgcolor=#000> [youtube(PIUqozzyW2k)] || ||<bgcolor=#9a1f21> {{{#fef294 '''예고편'''}}} || 예고편이 거의 스포일러 수준이므로 가능하면 시청하지 않고 바로 작품을 보는 것을 추천한다. == 스태프 == * 원작: [[츠츠이 야스타카]] * 감독: [[곤 사토시]] * 각본: 미나카미 세이시, 곤 사토시 * 콘티: 곤 사토시 * 연출: 곤 사토시 * 캐릭터 디자인, 작화감독: [[안도 마사시]] * 원화: [[이노우에 토시유키]], [[미하라 미치오]], [[코니시 켄이치]], [[이타즈 요시미]], [[하시모토 신지(애니메이터)|하시모토 신지]], [[코니시 켄이치]], [[하마스 히데키]], [[오키우라 히로유키]], [[토쿠라 노리모토]], [[에구치 히사시(애니메이터)|에구치 히사시]], [[모리카와 사토코]], [[미야자와 야스노리]] 등 * 미술 감독: 이케 노부타카 * 촬영 감독: 카토 미치야 * 음악: [[히라사와 스스무]] * 음향 감독: [[미마 마사후미]] * 기획: [[마루야마 마사오(1941)|마루야마 마사오]] == 시놉시스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ef294><bgcolor=#9a1f21> '''{{{#fef294 현실과 꿈의 뒤죽박죽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br] {{{#fef294 29세의 정신과 치료사 치바 아츠코에게는 또 하나의 자아가 있는데,[br]그것은 바로 18살의 대담무쌍한 꿈 탐정 파프리카이다.[br] [br]파프리카는 사람들의 꿈 속에 들어가[br]그들의 무의식에 동조함으로써[br]환자의 불안과 신경증의 원인을 밝혀내고 치료한다.[br] [br]어느 날, 치바의 연구소에서 토키타 연구원이 개발 중이던[br]혁명적인 정신치료장치[* 꿈 감응 장치가 맞는 표현이다.] DC-MINI(디씨미니)의 프로토타입이 도난당하고 조수마저 실종된다.[br] [br]디씨미니를 찾아나선 치바는 거대하고 무서운 음모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게 되는데...[br](출처: [[네이버 영화]])}}} || == 특징 == [[하야시바라 메구미]], [[후루야 토오루]], [[야마데라 코이치]] 등 유명 성우들이 참여했다. [[히라사와 스스무]]의 [[https://youtu.be/APIKVLw1tT0|삽입곡(parade)]], [[https://youtu.be/YpAoHA-oOp8|백호야의 처녀]]와 음악이 더해지는 [[http://www.youtube.com/watch?v=yZMKdjfAugk&feature=player_embedded|오프닝]] 역시 유명하다. 화려한 색감과 독특한 이야기 전개, 꿈에서나 겪을 수 있는 개연성 없는 대사나 사건의 발생, 초현실적인 전개와 장면들이 매우 인상적이다. 꿈 세계에서 기묘한 퍼레이드 장면은 이 작품의 백미. 다만 파프리카라는 캐릭터나 디씨미니 등의 기반 설정에 대해서는 설명이 다소 부족하다. 감상에 지장이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이 때문에 영화 장르를 SF로 분류하기에는 다소 어려워 보이기도 한다. 작품의 제목 및 작중 인물의 이름인 '파프리카'는 작품 후반부에 등장하는 표현대로 맛을 더해주는 향신료, 양념 정도의 의미로 쓰였다.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먹는 야채 파프리카가 아닌 [[파프리카#s-1.1|서구권의 향신료 파프리카]]에 의한 표현이다. == [[파프리카(애니메이션)/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파프리카(애니메이션)/등장인물)] == 사운드트랙 == ||<table bordercolor=#9a1f21><tablealign=center><bgcolor=#000>
[youtube(hr8CK1cao58)]
|| ||<bgcolor=#9a1f21> {{{#fef294 '''주제가 백호야의처녀 (白虎野の娘)'''}}}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paprika, critic=81, user=8.1)]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paprika, tomato=84, popcorn=88)] [include(틀:평가/IMDb, code=tt0851578, user=7.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paprika-2006, user=4.0)]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15013, presse=3.9, spectateurs=3.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259892, user=7.552)]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25630, user=3.8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46135, user=8.4)]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865703, user=9.0)]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7GnMd, user=3.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47759, light=92.31)]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63515,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8.40)]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42497, expert=8.0, user=7.7)]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13780, user=4.0)] [include(틀:평가/MRQE, code=papurika-m100012825, critic=74, user=없음)] > Following its own brand of logic, Paprika is an eye-opening mind trip that is difficult to follow but never fails to dazzle. >---- > '''파프리카는 눈을 번쩍 뜨게하는, 따라가기는 벅차지만 관객을 반드시 황홀하게 만들 심리 속 여행이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 '''꿈과 현실의 세계를 넘나드는 곤 사토시의 원숙한 작품''' > - 김봉석 (★★★★) == 흥행 == ||<-7><tablealign=center>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944,915'''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882,267''' || 미정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63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후보 * 제31회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그랑프리 장편부문 후보 * 2007년 도쿄 애니메 어워드 음악상 '''수상''' * 제12회 [[애니메이션 고베]] 작품상 극장 부문 '''수상''' * 제56회 멜버른 국제 영화제 애니메이션 갤러리 * 제51회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 상영작 * 제31회 낭뜨 3대륙 영화제 대륙 J * 제47회 [[금마장]] 상영작 * 제1회 과천 국제SF영상축제 특별상영 * 제61회 산세바스티안국제영화제 회고전 * 제5회 북경국제영화제 오마주 투 마스터 == 기타 == * 영화 초반에 [[곤 사토시]]가 파프리카의 차기작으로 구상한 꿈꾸는 기계의 두 주인공 캐릭터들이 놀이공원 마스코트로 등장한다. 초기 디자인이었는지 여자 캐릭터의 디자인이 살짝 바뀐 감이 있다. * 꿈을 공유하는 기계를 통해 타인의 꿈 속에 들어가 꿈치료사가 대상을 탐색한다는 내용은 [[타셈 싱]]의 2000년 영화 [[더 셀]]과 유사한 점이 많다. 또한 2010년 영화 [[인셉션]]에 파프리카와 유사한 점이 많은데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표절]]이라는 주장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파프리카는 인셉션보다 더 셀과 유사한 점이 많아 오히려 더 셀을 파프리카가 배낀거 아니냐는 논란도 있다.[[https://librewiki.net/wiki/인셉션/표절_논란|참조]] * 마지막 즈음에 영화관이 나오는 장면이 있는데 상영하는 작품이 [[퍼펙트 블루]], [[천년여우]], [[도쿄 갓파더즈]] 전부 콘 사토시가 연출한 작품들이다. 그리고 바텐더 역할로 감독 본인과 원작자 [[츠츠이 야스타카]]의 카메오 출연씬이 있다. 감독 말로는 조금 나오고 싶었다고 한다. * 곤 사토시의 전작 [[망상대리인]]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디알무비]]가 제작에 참여했다. 때문에 크레딧에 보면 DR MOVIE라는 항목에 영자로 한국인 이름이 뜬다. * 2006년 [[베니스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 [[트위터]]에 자살 밈으로 자주 돌아다니는 [[https://www.youtube.com/watch?v=O-QpfLV8dQw|중년 아저씨들이 웃으면서 뛰어내리는 짤]]이 바로 파프리카에서 나온 것이다.[* 이 짤은 사실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를 지나고 [[잃어버린 10년/일본|잃어버린 10년]]의 한 가운데에 있던 '''당시 일본 사회를 여과없이 보여주는 장면'''이다. 해당 장면부터 치솟은 중년층 자살률을 상징하는 부분이며, 그 뒤에 나오는 장면들도 각각 성의 상업화, 히키코모리, 정치인들의 권력 중독을 은유하는 등 사회비판적인 요소가 많이 담겨있다.] * 이 애니메이션의 OST는 거의 모든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서비스 되고 있다. [[히라사와 스스무]]의 음악 중 국내에서 정식으로 들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음반 중 하나. * 실사화가 예정되어 있다.[[https://deadline.com/2022/08/cathy-yan-ep-direct-live-action-series-paprika-yasutaka-tsutsui-novel-1235096671/|#]] == 외부 링크 == * [[https://www.imdb.com/title/tt0851578/?ref_=tt_sims_tt|IMDB]] * [[http://konstone.s-kon.net/|곤 사토시 블로그]]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6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SF 영화]][[분류:소설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매드하우스]] [include(틀:포크됨2, title=파프리카(애니메이션), d=2023-12-23 13:2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