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풀잎들

덤프버전 :

홍상수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6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로고.png파일:1998 강원도의 힘 로고.png파일:2000 오 수정 로고.png
파일:2002 생활의 발견 로고.png파일:2004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로고.png파일:2005 극장전 로고.png
파일:2006 해변의 여인 로고.png파일:2007 밤과 낮 로고.png파일:2008 잘 알지도 못하면서 로고.png
파일:2009 하하하 로고.png파일:2010 옥희의 영화 로고.png파일:2011 북촌방향 로고.png
파일:2011 다른나라에서 로고.png파일:2012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로고.png파일:2013 우리 선희 로고.png
파일:2014 자유의 언덕 로고.png파일:2015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로고.png파일:2016 당신자신과 당신의 것 로고.png
파일:2016 밤해혼 로고.png파일:2017 그 후 로고.png파일:2016 클레어의 카메라 로고.png
파일:2017 풀잎들 로고.png파일:2018 강변호텔 로고.png파일:2020 도망친 여자 로고.png
파일:2021 인트로덕션 로고.png파일:2021 당신얼굴 앞에서 로고.png파일:2022 소설가의 영화 로고.png
파일:영화탑.png파일:영화물안에서.png파일:우리의 하루 로고.png



풀잎들 (2017)
Grass
파일:cd47a8ebb95442ba8a3309b5db3ac771.jpg
장르드라마
감독홍상수
각본홍상수
제작홍상수
출연김민희, 정진영, 기주봉, 서영화, 김새벽, 안재홍, 공민정, 안선영, 신석호, 김명수, 이유영
촬영김형구
음악김미르
촬영 기간2017년 9월 7일 ~ 2017년 9월 21일
제작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영화제작전원사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콘텐츠 판다, 무브먼트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10월 25일
화면비1.89:1
상영 시간66분
제작비1억원
대한민국 총 관객 수7,470명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기타



1. 개요[편집]


2017년에 제작한 한국 영화.

2017년부터 2018년 상반기까지 세계 50여개 영화제에 출품했다. 그러나 노미네이트 된 곳은 1군데. 한국에서는 영화관들이 개봉을 거부하는 동안 계속 영화제 출품을 한 것이다. 이후 2018년 하반기 국내에 개봉했다.


2. 예고편[편집]





3. 시놉시스[편집]



커피집이 있을 것 같지 않은 골목 안으로 커피집이 있고 사람들이 커피집 안 여기저기에 앉아 얘기들을 하고 있습니다.
밖에는 건너편 슈퍼 아줌마가 심어 놓은 몇 가지 종류의 야채의 새싹들이 고무대야 안에서 자라나고 있습니다.
다른 테이블에 앉은 사람들이 시간이 지나면 서로 섞이고 서로에게 익숙해집니다.
한 여자는 그들을 관찰하고 자신의 생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밤이 되도록까지 커피집을 떠나지 않습니다.


4. 등장인물[편집]




5. 줄거리[편집]


아름(김민희)은 카페에서 [1] 글을 쓰며 사람들을 관찰한다. 나이 든 남자(기주봉)은 후배(서영화)에게 실연으로 자살을 시도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방을 하나 내어달라고 청한다. 후배는 정중히 거절한다. 뒤이어 한 젊은 남녀(안재홍, 공민정)는 자살한 지인을 애도하며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려고 한다. 아름은 그런 광경을 보며 시니컬한 반응을 보인다. 한편 젊은 여자(김새벽)과 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던 중년 남자(정진영)이 아름에게 다가와 흥미를 보이며 자신의 시나리오 작업을 위해 열흘만 동거를 하자고 한다. 아름은 단칼에 거절하고 남동생과 그의 애인과 함께하는 식사자리에 간다. 식사자리에서 남동생과 애인의 순진한 소리에 호통을 치는 아름. 그 옆자리에선 젊은 여자(이유영)가 중년 교수(김명수)와 심각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젊은 여자의 애인이 자살한 이유는 젊은 여자 때문이라며 술취한 채 추궁하는 중년 교수. 젊은 여자는 눈물을 흘리며 부정한다.

앞서 중년 남자와 함께하던 젊은 여자는 계단을 쉴새없이 오르내리기를 반복한다. 남동생과 애인에게 화를 내며 자리를 파한 아름은 갈 곳 없이 거리를 방황한다. 그 사이 카페에서는 젊은 남녀가 더 적극적으로 사랑을 약속하고, 나이 든 남자와 후배, 중년 남자와 젊은 여자 두 쌍이 몰래 술자리를 벌인다. 기분 좋게 취기가 오른 그들은 그새 카페로 돌아온 아름을 초대한다. 아름은 정중히 거절하지만 들이대던 중년 남자가 나간 사이 술자리에 끼게 된다. 카페 앞 골목에서는 아름의 남동생 커플이 한복을 입은 채 사진을 찍어주고 있다. 바그너의 로엔그린과 함께 인간들을 향한 아름의 시니컬한 생각들이 들려오며 잡초들을 찍은 스틸컷이 보여지고 영화는 끝이 난다.


6. 평가[편집]













야유 또는 다짐, 부대껴도 오롯이

- 박평식 (씨네21) (★★★)


쓰지 못하고 멈추는 파편들, 완성되지 못한 시나리오

- 이화정 (씨네21) (★★★)


한공간에 모여 따로 또 같이 노는 사람들. 멀리서 바라보자면, 한심해 보일 수 있겠지만 함부로 재단하지 말지니. 다 자기 나름의 치열한 삶을 사는 이들이다. 마치 풀잎처럼 말이다

- 박은영 (무비스트) (★★★)


필멸의 조짐 앞에서도 어이없이/어김없이 함께 돋아나는 풀잎들

- 이동진 (★★★★)


클레어의 카메라에 이어지는 홍상수의 소품. 영화제들의 반응이 미적지근할만한 작품이었다. 그동안 구조와 시공간을 뒤섞는 실험을 해오던 사조와 달리 명확히 잡히는 구조나 이야기가 없으며, 인간 군상들에 대한 홍상수의 개인적인 관념이 가장 적극적으로 드러나는 작품이라는 평이 많다. 감정 이입할 중심인물이 없고, 김민희는 거의 초월적인 관찰자이자 개인적인 생각을 직접적으로 들려주는 일종의 메신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죽음과 덧없음 속에서도 어찌저찌 살아가는 인간에 대한 강박적인 코드가 엿보인다.

과잉에 가까운 음악 사용이 인상적인데, 실제로 카페에서 틀어놓고 촬영을 진행하는 식의 작업을 했다고 한다. 바그너의 로엔그린, 탄호이저 서곡, 슈베르트의 즉흥환상곡, 오펜바흐의 지옥의 오르페우스 등 평소 홍상수 영화에서는 상상도 못했던(...) 요란한 낭만주의 음악들이 인물들의 대화와 엇박을 이루며 끼어드는 기이한 광경을 볼 수 있다.


7. 흥행[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151명미집계1,208,000원
1주차2018-10-25. 1일차(목)752명4,087명15위6,014,550원33,094,150원
2018-10-26. 2일차(금)575명17위4,977,150원
2018-10-27. 3일차(토)705명21위6,200,850원
2018-10-28. 4일차(일)691명20위6,044,050원
2018-10-29. 5일차(월)422명23위3,334,800원
2018-10-30. 6일차(화)391명27위3,080,450원
2018-10-31. 7일차(수)551명21위3,442,300원
2주차2018-11-01. 8일차(목)262명1,527명31위2,048,800원12,464,300원
2018-11-02. 9일차(금)234명27위2,055,300원
2018-11-03. 10일차(토)300명27위2,588,200원
2018-11-04. 11일차(일)234명26위2,078,500원
2018-11-05. 12일차(월)144명28위1,156,500원
2018-11-06. 13일차(화)123명36위901,000원
2018-11-07. 14일차(수)230명30위1,636,000원
3주차2018-11-08. 15일차(목)84명845명59위637,700원6,810,700원
2018-11-09. 16일차(금)92명55위774,000원
2018-11-10. 17일차(토)160명39위1,392,000원
2018-11-11. 18일차(일)211명33위1,798,500원
2018-11-12. 19일차(월)96명40위755,000원
2018-11-13. 20일차(화)110명48위830,000원
2018-11-14. 21일차(수)92명46위623,500원
4주차2018-11-15. 22일차(목)47명373명65위370,000원3,134,700원
2018-11-16. 23일차(금)29명74위269,000원
2018-11-17. 24일차(토)87명55위784,000원
2018-11-18. 25일차(일)81명49위730,000원
2018-11-19. 26일차(월)27명70위218,000원
2018-11-20. 27일차(화)66명60위514,200원
2018-11-21. 28일차(수)36명83위249,500원
합계 누적관객수 7,470명, 누적매출액 60,455,250원[2]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60일의 썸머, 늦여름, 라스트 솔져스: 최후의 결전, 사경, 사랑, 스무살, 스위밍 위드 맨, 스페이스 치킨: 마법 부적의 비밀, 신 테니스의 왕자: 베스트 게임즈!! 테즈카 vs 아토베, 악령의 수녀원, 엘 마르, 윌리, 이, 기적인 남자, 저주의 산뗏, 집의 시간들, 창궐,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 풀잎들, 프리다의 그해 여름, 필름스타 인 리버풀(이상 2018년 10월 25일)까지 총 19편이다.


8. 기타[편집]


  • 영화 그 후에서 처음 등장한 아름이 이 영화에도 등장하는데다, 다음 영화인 강변호텔에도 등장한다. 앞으로 내용이 이어질지는 미지수.

  • 15세 관람가인데도 불구하고 네이버에 등록된 영화 정보에서 몇몇 스틸컷이 성인 인증 필요라고 나오는데 이유는 담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8:29:24에 나무위키 풀잎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촬영지는 안국동에 있는 카페 이드라라고 한다.[2] ~ 2022/09/03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