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청나라 관계

덤프버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청나라 관계 관련 틀 파일:청나라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6><tablewidth=100%><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tablebgcolor=#ffffff,#1F2023><width=80> ~ 843년 ||<-12><bgcolor=#002395> 갈리아 켈트족 ||
||<-12><bgcolor=#9f0807> 로마 공화국 ||
||<-12><bgcolor=#9f0807> 로마 제국
갈리아 제국 ||
||<-12><bgcolor=#943939> 서로마 제국
수아송 왕국 ||
||<-8><rowbgcolor=#8b8970> 프랑크 왕국
(메로비우스 왕조) ||<-4><width=30%><bgcolor=#8b2323> 부르군트 왕국 ||
||<-8><bgcolor=#8b8970> 프랑크 왕국
(카롤루스 왕조) ||<-4><bgcolor=#ffa24f> 서고트 왕국 ||
||<|11> 843년 ~ 1940년 ||<-8><bgcolor=#4169e1> 프랑스 왕국
(카페 왕조) ||<|2><-4> 아키텐 공국 · 노르망디 공국 · 브르타뉴 공국 ||
||<-8><bgcolor=#4169e1> 프랑스 왕국
(발루아 왕조) ||
||<|3><width=10%><bgcolor=#4169e1> 제1식민
제국
||<|2><-5><bgcolor=#4169e1> 프랑스 왕국
(부르봉 왕조) ||<-4><bgcolor=#0701a0> 부르고뉴 백국 ||
||<-4><bgcolor=#da1013> 부르고뉴 공국
부르고뉴국 ||
||<-11><bgcolor=#002153> 제1공화국 ||
||<-12><bgcolor=#002153> 제1제국
(보나파르트 왕조) ||
||<-12><bgcolor=#002153> 프랑스 왕국
(부르봉 왕조) ||
||<-12><bgcolor=#002153> 프랑스 왕국
(부르봉-오를레앙 왕조) ||
||<-12><bgcolor=#00327d> 제2공화국 ||
||<|5><bgcolor=#00327d> 제2식민
제국
||<-12><bgcolor=#00327d> 제2제국
(보나파르트 왕조) ||
||<-11><bgcolor=#002395> 제3공화국 ||
||<|4> 1940년 ~ ||<-3><bgcolor=#002395> 자유 프랑스 ||<-4><bgcolor=#002395> 비시 프랑스 ||<-4><bgcolor=#000>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
||<-11><bgcolor=#002395> 프랑스 임시정부 ||
||<-11><bgcolor=#002395> 제4공화국 ||
||<-12><bgcolor=#001489> 제5공화국 ||




[ 펼치기 · 접기 ]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주(周)서주(西周)
동주(東周)춘추전국시대춘추시대
전국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시대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송(宋)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서위(西魏)동위(東魏)
진(陳)북주(北周)북제(北齊)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후량(後梁)십국탕구트요(遼)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송(宋)북송(北宋)서하(西夏)
남송(南宋)서요(西遼)금(金)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우한정부(武漢政府)
일치시기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
(滿州國)
중화민국(中華民國)
대만(臺灣)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초반
2.2. 중반
2.3. 후반
2.4. 종결
3. 관련 사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프랑스청나라의 관계에 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초반[편집]


1698년부터 1700년까지 예수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들이 청나라를 방문하면서 청나라와 프랑스의 관계가 시작되었다. 니콜라스 트리고, 알렉상드르 드 로도스, 장 밥티스트 레지, 장 드니 아티레, 미셸 베누아를 비롯한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활동하였다. 프랑스의 선교사들은 청나라 황제와 프랑스 사절단의 만남을 주선하였고 많은 교류를 가졌다.


2.2. 중반[편집]


청나라와 프랑스의 관계는 이후 유럽에서 제국주의가 대두되고 제1차 아편전쟁이 일어나면서 역전되었는데, 제1차 아편전쟁 이후 프랑스는 청나라와 황포 조약을 체결하였다. 황포 조약의 내용은 영국과 청나라가 체결한 호문 조약이나 청나라와 미국이 체결한 망하 조약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황포 조약을 체결한 결과 프랑스는 조계지를 설치하였고 태평천국의 난에서는 청나라를 도와 태평천국을 진압하였다. 프랑스는 자국의 선교사가 처형된 것을 구실로 영국과 연합하여 청나라에 전쟁을 선포하였고 제2차 아편전쟁에서 승리하여 원명원을 파괴하고 베이징을 함락시켰다. 프랑스는 1858년 청나라에 톈진 조약 체결을 요구하였고, 1860년에는 베이징 조약을 체결하였다.

다른 한편 이른바 쿨리로 불렸던 중국인 계약 노동자들이 인도양 각지의 프랑스령 식민지로 이주, 정착하였다. 모리셔스, 세이셸, 레위니옹에 정착한 중국계들은 청나라 말 이주한 계약노동자들의 후손이다.

2.3. 후반[편집]


이후 프랑스와 청나라는 베트남을 놓고 1884년부터 1885년까지 전쟁을 벌였고 여기서 프랑스가 승리하여 베트남은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 내리막길을 걷는 청나라는 의화단을 중심으로 프랑스를 포함한 8개국 열강에 대항하였으나 도리어 패배하고 신축조약을 체결하였다.


2.4. 종결[편집]


청나라는 1911년 신해혁명으로 멸망하고 중국 사회를 지배해온 황제 지배체제가 붕괴하였다.


3. 관련 사건[편집]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9:41:12에 나무위키 프랑스-청나라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