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

덤프버전 :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현황
,
,
,
,
,
,


1. 분류
2. 편성 구성
2.1. 4호선
2.2. 수인·분당선
3. 도입 역사
3.1. 1차분 (1993~1995)
3.2. 2차분 (1996)
3.3. 3차분 (1999)
3.4. 4차분 (1999, 341000호대 3차분)
3.5. 5차분 (2003, 351000호대 4차분)
4. 개번 이력



1. 분류[편집]


원래 편성번호 개정 이전에는 과천선, 안산선, 분당선 구별없이 2030호대를 사용했다가 6자리 개정 이후에는 다음과 같이 배정되어 구별하고 있다.


1.1. 수도권 전철 4호선에서 운행되는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옛 번호로는 2X30~2X46, 2X49, 2X51~2X54, 2X70~2X72, 2X77~2X81편성이 해당한다. 단, 과천안산선 341X31편성부터는 모두 341000번대로 들어왔다.


1.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에서 운행되는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옛 번호로는 2X47~2X48, 2X50, 2X55~2X69, 2X73~2X76, 2X82~2X87편성이 해당한다. 단, 수인·분당선 351X29편성부터는 모두 351000번대로 들어왔다.


2. 편성 구성[편집]



2.1. 4호선[편집]


오이도 방면
20## (현 3410##) (1)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2## (현 3411##) (2)M(주변환장치)
23## (현 3412##) (3)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28## (현 3413##) (4)T(무동력객차)
25## (현 3414##) (5)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24## (현 3415##) (6)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9## (현 3416##) (7)T(무동력객차)
26## (현 3417##) (8)M(주변환장치)
27## (현 3418##) (9)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21## (현 3419##) (10)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당고개 방면

[과거 6량 편성]
안산 방면
20## (현 3410##) (1)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2## (현 3411##) (2)M(주변환장치)
23## (현 3412##) (3)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28## (현 3413##) (4)T(무동력객차)
25## (현 3414##) (5)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21## (현 3419##) (6)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당고개 방면


2.2. 수인·분당선[편집]


인천 방면
20## (현 3510##) (1)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2## (현 3511##) (2)M(주변환장치)
23## (현 3512##) (3)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28## (현 3513##) (4)T(무동력객차)
25## (현 3514##) (5)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21## (현 3519##) (6)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청량리 방면


3. 도입 역사[편집]



3.1. 1차분 (1993~1995)[편집]


파일:FB_IMG_1681203346338.jpg파일:korail2047.jpg
2X37편성 (현재 341X08 편성)2X47편성 (현재 351X01 편성)
  • 2X30~2X67편성
  • 안산·과천선: 2X30~2X46, 2X49, 2X51~2X54(변경 후 341X01~341X22) (총 10량 22편성)
  • 수인·분당선: 2X47~2X48, 2X50, 2X55~2X67(변경 후 351X01~351X16) (총 6량 16편성)
  • 제작사: 대우중공업(DEC-11)(2X34~2X48과 2X49 중 1, 3번째 칸, 2X50 중 2~3번째 칸), 한진중공업(2X30~2X33, 2X55~2X67과 2X50 중 2, 4~5번째 칸과 마지막 칸), 현대정공(2X51~2X54과 2X49 중 2, 4~5번째 칸과 마지막 칸)
  • 소자: 도시바 GTO(2X35~2X36, 2X38~2X42, 2X44~2X46, 2X60, 2X62~2X63, 2X65), 도시바 IGBT(2X30~2X34, 2X37, 2X43, 2X48~2X59, 2X61, 2X64, 2X66~2X67)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분당선 개통 및 과천선안산선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통 운행을 개시하면서 도입된 전동차이다. 대한민국 최초로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 인버터를 채용했다. 서울지하철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보다 약 1개월 빠르게 도입됐다.[1] 그리고 철도청 전동차 최초로 스테인리스 차체를 가진 철도차량이기도 하다.

현재 341X02, 341X07, 341X19, 351X01편성은 폐차됐고, 나머지는 휴차된 상태다.
2030호대 1차분 조성(6량) ▼
2030호대 1차분 조성(6량)
한진중공업
(1993)
대우중공업
(1993~1994)
현대정공
(1993~1994)
한진중공업
(1994~1995)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C)
개번
2X30203022302330283025302130341X01
2X31203122312331283125312131341X02
2X32203222322332283225322132341X03
2X33203322332333283325332133341X04
2X34203422342334283425342134341X05
2X35203522352335283525352135341X06
2X36203622362336283625362136341X07
2X37203722372337283725372137341X08
2X38203822382338283825382138341X09
2X39203922392339283925392139341X10
2X40204022402340284025402140341X11
2X41204122412341284125412141341X12
2X42204222422342284225422142341X13
2X43204322432343284325432143341X14
2X44204422442344284425442144341X15
2X45204522452345284525452145341X16
2X46204622462346284625462146341X17
2X47204722472347284725472147351X01
2X48204822482348284825482148351X02
2X49204922492349284925492149341X18
2X50205022502350285025502150351X03
2X51205122512351285125512151341X19
2X52205222522352285225522152341X20
2X53205322532353285325532153341X21
2X54205422542354285425542154341X22
2X55205522552355285525552155351X04
2X56205622562356285625562156351X05
2X57205722572357285725572157351X06
2X58205822582358285825582158351X07
2X59205922592359285925592159351X08
2X60206022602360286025602160351X09
2X61206122612361286125612161351X10
2X62206222622362286225622162351X11
2X63206322632363286325632163351X12
2X64206422642364286425642164351X13
2X65206522652365286525652165351X14
2X66206622662366286625662166351X15
2X67206722672367286725672167351X16

2030호대 1차분 조성(10량) ▼
2030호대 1차분 조성(10량)
한진중공업
(1993)
대우중공업
(1993~1994)
현대정공
(1993~1994)
대우중공업
(1995)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개번
2X302030223023302830253024302930263027302130341X01
2X312031223123312831253124312931263127312131341X02
2X322032223223322832253224322932263227322132341X03
2X332033223323332833253324332933263327332133341X04
2X342034223423342834253424342934263427342134341X05
2X352035223523352835253524352935263527352135341X06
2X362036223623362836253624362936263627362136341X07
2X372037223723372837253724372937263727372137341X08
2X382038223823382838253824382938263827382138341X09
2X392039223923392839253924392939263927392139341X10
2X402040224023402840254024402940264027402140341X11
2X412041224123412841254124412941264127412141341X12
2X422042224223422842254224422942264227422142341X13
2X432043224323432843254324432943264327432143341X14
2X442044224423442844254424442944264427442144341X15
2X452045224523452845254524452945264527452145341X16
2X462046224623462846254624462946264627462146341X17
2X492049224923492849254924492949264927492149341X18
2X512051225123512851255124512951265127512151341X19
2X522052225223522852255224522952265227522152341X20
2X532053225323532853255324532953265327532153341X21
2X542054225423542854255424542954265427542154341X22


3.2. 2차분 (1996)[편집]


파일:341924.jpg파일:IMG_1970.jpg
341X24편성 (구 2X71편성)351X17편성 (구 2X68편성)
1996년에 분당선과 4호선 배차간격 단축을 위해 추가로 도입한 편성이다. 1차분과의 외부 모습은 다를 바 없으며 대체적인 특성은 동일하나 세세한 차이점이 있다. 객실바닥은 회색이었고 출입문의 창틀이 1차분의 것은 황금빛을 띠었으나 이 차량들은 은빛이다. 객실 내 전광판 안내표시가 지금과 같이 바뀐 것도 이 차량들이 도입되고 나서였다. 1차분은 해당 정차역 내릴 문의 위치를 단순히 큼지막한 글로 표기했으나 2차분부터 화살표로 안내 및 영문 표기가 추가됐고 후에 1차분 차량의 전광판도 똑같이 개조했다.

2021년 12월에 전량 휴차되었으며, 이후 2022년 8월에 2X68~69(351X17~18)편성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매각되었고, 2X70~72(341X23~25)편성은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되었다.
2030호대 2차분 조성 ▼
2030호대 2차분 조성(6량)
대우중공업
(1996)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C)
개번
2X68206822682368286825682168351X17
2X69206922692369286925692169351X18

2030호대 2차분 조성(10량)
대우중공업
(1996)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개번
2X702070227023702870257024702970267027702170341X23
2X712071227123712871257124712971267127712171341X24
2X722072227223722872257224722972267227722172341X25


3.3. 3차분 (1999)[편집]


파일:35122.jpg
351X22편성 (구 2X76편성)
분당선의 배차 간격을 추가로 단축하기 위해 도입한 편성이다.

부식무늬였던 1~2차분과는 달리 출입문 문양이 철도청 시절의 역삼각 문양과 영문 KORAIL이 적용됐고 객실 내 LED 안내기가 2개로 증설됐으며, 선두차와 4호차(351300호)에 장애인 휠체어 고정시설이 있다. 한국철도공사 VVVF 1세대 전동차(일명 '납작이') 중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제작됐다.
2030호대 3차분 조성 ▼
2030호대 2차분 조성(6량)
한진중공업
(1999)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C)
개번
2X73207322732373287325732173351X19
2X74207422742374287425742174351X20
2X75207522752375287525752175351X21
2X76207622762376287625762176351X22


3.4. 4차분 (1999, 341000호대 3차분)[편집]


파일:attachment/341000_2nd.png파일:1587226446670.jpg
341X29편성 (구 2X80편성)341X29편성 (구 2X80편성)
안산선오이도역 연장에 따라 추가로 반입됐다. 제작사는 대우중공업이었지만 대한민국 철도차량 제작사 통합에 의해서 한국철도차량(KOROS, 現 현대로템)으로 바뀌었다. 유선형 전두부가 적용됐으며, C/I(Converter/Inverter)의 경우도 도시바 오리지널 버전에서 우진산전이 면허생산한 제품으로 교체됐다. 그 외에도 1~2차분에서 1개밖에 없었던 차량 내부 안내전광판이 2개로 늘어나는 등 내부적인 개선도 있었다.

31x000호대 4~5차분 (총 22편성)/351000호대 4차분 (총 6편성)과 다르게 측면 일체형 통유리가 채택되지 않았고, 출입문의 문양이 철도청 시절의 역삼각형 문양 바탕에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표식이 되어 있다. 제작 시기가 한국철도 100주년이 되는 해에, 9월 18일 '철도의 날'과 가까워서 이 열차에 한해서 적용된 것이다. 제작년월이 대략 1999년 9월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차분과 달리 도입 당시부터 이미 10량으로 도입됐다는 차이점도 있었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중 100% 가연재로 도입된 마지막 차량이다.

구동음은 1차분과 거의 같지만 고속 부분이 약간 다르다. 고속 부분은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4차분 이후 차량과 비슷하다.
2030호대 4차분 조성 ▼
2030호대 4차분 조성(10량)
한국철도차량(KOROS)
(1999)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개번
2X772077227723772877257724772977267727772177341X26
2X782078227823782878257824782978267827782178341X27
2X792079227923792879257924792979267927792179341X28
2X802080228023802880258024802980268027802180341X29
2X812081228123812881258124812981268127812181341X30


3.5. 5차분 (2003, 351000호대 4차분)[편집]


파일:한국철도공사 351x27편성.jpg
351X27편성 (구 2X86편성)
이 차량부터는 다른 노선과 동일하게 와이퍼를 한 개만 장착했다. 그리고 전두부가 '동글이'로 불리는 유선형으로 변경됐다.

분당선 선릉역수서역 구간 개통을 대비해 추가로 반입됐다. 2030호대로 도입됐던 마지막 차종이다.

객실 유리가 기존의 2분할 방식에서 일체형 통유리로 변경됐고 객실 출입문 유리도 더 길어졌으나 1호선 차량과는 달리 썬팅은 하지 않았는데, 이는 도입 당시 분당선 구간에 지하 구간이 많았기 때문이다. 차량 외부의 행선장치도 처음부터 롤지가 아닌 LED방식으로 적용했으며, 도색도 주황색의 구도색이 아닌 현재의 노랑/청색의 자석도색이 적용됐다. 또한 1호선 차량과 다르게 내부 전광판 한글자막이 궁서체로 표출된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1호선 차량과 달리 311X64~65편성과 동일하게 열번표시기가 LED로 도입됐고 철도청 로고 대신 코레일 로고가 삽입된 출입문이 적용됐다.

2003년 6월~7월 경 도입 당시에는 가연재 내장재로 도입됐는데,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2세대 전동차처럼 좌석 시트, 바닥재, 손잡이만 가연재 내장재로 도입됐고, 나머지는 불연재 내장재로 도입됐다. 때문에 2004년에 내장재 개조 작업 당시 좌석 시트, 바닥재, 손잡이만 내장재가 교체됐다. 견인전동기의 구동음이 저음 대역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모든 편성의 전조등이 LED로 교체됐다.

351X27편성(구 2X86편성)을 제외한 전 편성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중 47, 51~60편성과 똑같이 출입문이 스크류모터식으로 개조됐다.

2011년 출입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발생했었으나, 안내방송기기 개량으로 인해 경고음이 사라졌었다. 현재는 스피커 교체로 모든 차량에 경고음이 다시 추가됐다.

이들은 본래 ATC전용 열차였지만, 2018년 12월 수도권 전철 분당선 청량리역 연장과 2020년 9월 수인선 직결을 대비하기 위해 ATS/ATC 신호체계로 개조하여 청량리 ↔ 왕십리 ↔ 인천 및 오이도 ↔ 인천 구간을 운행할 수 있게 됐다.

31x000호대 5차분과 마찬가지로 GTO 소자를 달고 나온 마지막 전동차이다.
2030호대 5차분 조성 ▼
2030호대 5차분 조성
주식회사 로템
(2003)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C)
개번
2X82208222822382288225822182351X23
2X83208322832383288325832183351X24
2X84208422842384288425842184351X25
2X85208522852385288525852185351X26
2X86208622862386288625862186351X27
2X87208722872387288725872187351X28


4. 개번 이력[편집]


편성 번호 개번 (2011년)
개번 전개번 후개번 전개번 후
2X30341X012X59351X08
2X31341X022X60351X09
2X32341X032X61351X10
2X33341X042X62351X11
2X34341X052X63351X12
2X35341X062X64351X13
2X36341X072X65351X14
2X37341X082X66351X15
2X38341X092X67351X16
2X39341X102X68351X17
2X40341X112X69351X18
2X41341X122X70341X23
2X42341X132X71341X24
2X43341X142X72341X25
2X44341X152X73351X19
2X45341X162X74351X20
2X46341X172X75351X21
2X47351X012X76351X22
2X48351X022X77341X26
2X49341X182X78341X27
2X50351X032X79341X28
2X51341X192X80341X29
2X52341X202X81341X30
2X53341X212X82351X23
2X54341X222X83351X24
2X55351X042X84351X25
2X56351X052X85351X26
2X57351X062X86351X27
2X58351X072X87351X2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2:46:17에 나무위키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