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스아담 2세

덤프버전 :




리히텐슈타인 제16대 공
한스아담 2세
Hans-Adam II., Fürst von Liechtenstein
파일:Hans-Adam_II.jpg
이름요하네스 아담 페르디난트 알로이스 요제프 마리아 마르코 다비아노 피우스 폰 운드 추 리히텐슈타인
(Johannes Adam Ferdinand Alois Josef Maria Marco d'Aviano Pius von und zu Liechtenstein)
출생1945년 2월 14일 (79세)
스위스 취리히
재위기간리히텐슈타인
1989년 11월 13일 ~ 현직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2세
어머니 게오르기나 폰 빌체크
배우자마리 킨스키 (1967년 결혼 / 2021년 사별)
자녀알로이스, 막시밀리안, 콘스탄틴, 타차나
형제자매필리프, 니콜라우스, 노라, 프란츠 요제프
종교가톨릭

1. 개요
2. 생애
3. 가족 관계
4. 기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제16대 리히텐슈타인 .


2. 생애[편집]


1945년 2월 14일에 스위스 취리히에서 프란츠 요제프 2세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에는 스카우트로 활동했던 적이 있다. 장크트갈렌 대학교 비즈니스 및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4년 섭정이 되었으며, 1989년 아버지 프란츠 요제프 2세가 서거하자 공위를 계승했다.

유럽의 군주들 중에서 가장 부유하다. 리히텐슈타인 가문의 재산은 8조 원에 달한다. 모나코그리말디 가문보다 5배 부유하며, 노르웨이 글뤽스부르크 왕조보다 400배 부유하다. 알로이스 공세자를 섭정(Regent)[1]으로 임명하고 국내의 전권을 이양하고 일선에서 물러났지만 지금도 공위(公位)는 한스아담 2세에게 있다.


3. 가족 관계[편집]


1967년에 6살 연상인 브히니츠와 테타우의 마리 킨스키 여백작(Fürstin Marie Kinsky von Wchinitz und Tettau)과 결혼해서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다.

자녀이름출생사망배우자 / 자녀
1남리히텐슈타인의 공세자 알로이스
(Alois, Hereditary Prince of Liechtenstein)
1968년 6월 11일바이에른의 조피 여공작[2]
슬하 3남 1녀
2남막시밀리안 공자
(Prince Maximilian)
1969년 5월 16일안젤라 브라운[3]
슬하 1남
3남콘스탄틴 공자
(Prince Constantin)
1972년 3월 15일2023년 12월 5일마리 칼노키 데 쾨뢰슈퍼터크 여백작
슬하 2남 1녀
1녀타차나 공녀
(Princess Tatjana)
1973년필리프 폰 라토르프
슬하 2남 5녀

4. 기타[편집]


섭정 알로이스 공세자는 의회에서 낙태를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키자 본인의 도덕적 가치관으로 도무지 용인할 수 없었는지 법안에 서명하는 걸 거부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빌 게이츠에게 나라를 팔아버리고, 나라 이름도 마이크로소프트로 바꾸게 하고, 오스트리아 으로 떠나겠다."라고 협박하기도 했다.[4]

공가 입장에서는 사실상 세금이 없는 수준의[5] 나라를 공가의 사유 재산으로 먹여살리는 수준이니 의회가 거역할 수가 없다. 결국 알로이스의 고집을 꺾지 못한 의회는 할 수 없이 그의 거부권을 수락했고, 이에 따라 알로이스는 실제로 거부권을 행사한 몇 안 되는 사례를 남기게 되었다. 그래서 리히텐슈타인은 유럽 최후의 전제군주제 국가라며 시대를 역행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나라가 너무 작아서 국정이 별 문제 없이 잘 돌아가고 있고, 공가 덕분에 복지를 받고 있는 국민들도 공가의 강력한 왕권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제 카를 1세오촌 조카이다. 한스아담의 친할머니 엘리자베트 아말리 여대공[6]이 카를 1세의 이복 고모다.[7]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레소토
빌럼알렉산더르하랄 5세마르그레테 2세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말레이시아 모나코
벤다하라 가문
앙리한스아담 2세파항의 압둘라알베르 2세
모로코 바레인 바티칸 벨기에
모하메드 6세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프란치스코필리프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하사날 볼키아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안도라 에스와티니
우르헬 주교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에마뉘엘 마크롱음스와티 3세
영국 영연방 오만 요르단
찰스 3세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압둘라 2세
일본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노로돔 시아모니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통가
라마 10세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1] 조선으로 치면 대리청정[2] 바이에른 왕국의 왕족이자 비텔스바흐 가문의 수장인 프란츠 공작의 조카로 잉글랜드 국왕 찰스 1세의 먼 후손이다. 백부인 프란츠 공은 후사가 없고, 그의 동생인 막스 공은 아들이 없어 막스 공의 장녀인 조피가 자코바이트의 추정 승계자이기도 하다. 비텔스바흐 가문은 살리카 법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가문 수장은 프란츠 공과 막스 공의 6촌인 루이트폴트가 이을 예정이다.[3] 파나마 출신의 패션디자이너다.[4] 리히텐슈타인 공가는 본래 오스트리아 황제의 봉신이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가 안슐루스로 인해 독일에 합병당하기 전까지 리히텐슈타인 공가는 현재의 리히텐슈타인이 아닌 오스트리아 빈에 거주하고 있었다. 리히텐슈타인 공과 공족들도 오스트리아 제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장군과 외교관으로 많이 활약했었다.[5] 세금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최소한의 법인세, 부가가치세, 소득세와 같은 제도는 있다.[6] 마리아 테레사 대공비의 차녀.[7] 카를의 아버지 오토 대공의 이복여동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3:36:47에 나무위키 한스아담 2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