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헬라스

덤프버전 :

1. 그리스의 현지 이름
2. 애니메이션 알드노아. 제로의 등장 기체



1. 그리스의 현지 이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그리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Ἑλλᾰ́ς(Hellas)라 쓰고 헬라스라 읽는다. 그리스 신화에서 인류를 절멸시킨 대재앙 이후, 그리스인들의 시조가 된 헬렌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사실 Ἑλλᾰ́ς(Hellas)고전-코이네 그리스어 발음 기준 명칭이며 오늘날의 발음으로는 Ελλάς(Ellas, 엘라스)이지만,[1] 학술적으로 이 언어의 수요가 현대어보다는 고전어와 코이네에 몰려있어서 '엘라스'라는 말은 거의 안 쓰인다. 대체로 통용을 중시하는 쪽은 그리스, 한자 음차를 존중하는 쪽은 희랍, 현지어를 존중하자는 쪽은 헬라스, 혹은 헬라[2]라고 부른다.


2. 애니메이션 알드노아. 제로의 등장 기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헬라스(알드노아. 제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2:49:24에 나무위키 헬라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Ελλάς(Ellas, 엘라스)도 Καθαρεύουσα(카사레부사)라는 매우 고풍스러운 말투이다. 현대 표준 그리스어라 할 수 있는 Δημοτική(디모티키, 민중말)로는 Ελλάδα(엘라다)라 한다.[2] Ἑλλᾰ́ς(Hellas)에서 어말 마찰음 ς /s/가 탈락한 것. 한국의 예스런 외래어 표기에선 관습적으로 마지막 s 발음을 자주 생략한다. 예: Ἰησοῦς(Iēsoûs, 이에수스) → 예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