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

덤프버전 :

분류


파일:external/pbs.twimg.com/BmIXeFyCUAELW7n.png

1. 개요
2. 이모저모
3. 출전자
4. 일정
4.1. 1라운드
4.2. 2라운드
4.3. 준결승
4.4. 결승
5. 결과
6. 통계
7. 총평



1. 개요[편집]




2. 이모저모[편집]


시작은 1월 6일 있었던 곰TV 2014 e스포츠 사업 방향 발표식에서 나온 채정원발표였다. 한국은 오랫동안 GSL을 필두로 한 초거대 리그 독식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래도 다른 대회와는 비교를 불허하는 수준차 덕분에 해외에서도 GSL을 하나의 정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므로 이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니었으나, 2013년 통합체제가 출범하자 이는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다. 해외에서 IEM, DreamHack, MLG 등이 WCS 포인트를 뿌려대는 동안 한국에는 GSL만으로 개겨야 하는 선수들의 불만이 컸고, 많은 한국 선수들이 해외로 활로를 모색하면서 이들을 한국에서 볼 길도 막혀버렸다. WCS 글로벌 대회를 열면 간단하겠지만 한국에는 그럴 만한 경기조직이 없다.[1][2] 결국 곰TV가 한국에서 '세계 대회'를 개최할 필요성을 절감하면서 시즌 파이널에 착안한 WCS 글로벌 대회를 열기로 했다.
출전하는 선수들에게 더 많은 포인트를 지급하기 위해 곰TV가 크라우드 펀딩 행사를 열어 만 8천 달러 정도를 모금했다. 2급 지정을 받기 위한 25000달러에는 미치지 못해 결국 3급으로 확정되었다.

그런데 엉뚱한 곳에서 문제가 속출하고 있다. 결승전이 4월 26일로 예정되었는데, 2014 DreamHack Open: Bucharest가 이날 개막한다. 이로 인해 두 대회에 동시에 출전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상금과 WCS 포인트가 더 많이 걸려있는 드림핵 쪽에 눈길이 갈 수밖에 없다. 게다가 하필이면 장민철고석현이 드림핵에 초청을 받은 상태라…결국 불참의사를 밝혔다.
대회 취지는 WCS Season 1 최강자들의 리그였지만 각 대륙 우승자, 준우승자가 모두 참가하지도 않고, 예선을 통과한 선수마저 다른 대회 참가를 위해 기권을 선택하는 등 대회의 위상 자체가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2014년도 WCS 포인트 지급 규정으로 인해, 프리미어 리그 (준)우승해서 2라운드 시드를 받고 출전하면 오히려 손해를 본다. 2라운드에서 8명 중 4명이 통과하는데 시드가 6장이므로, 적어도 2명은 포인트를 얻을 수 없다! 야 신난다 1라운드 광탈해도 다 받는 포인트를 왜 우리는 받질 못하니[3]


3. 출전자[편집]


연청색에 해당하는 선수는 2라운드부터 시작한다. 온라인 예선전 결과는 여기를 참고하기 바람.
전원 한국인인 관계로 국적 표기는 생략한다.
장민철의 출전권은 같이 4강에 오른 정지훈까지 불참 의사를 밝히면서 강초원이 승계했으며, 고석현의 출전권은 양준식과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김동현이 이어받았다.
그리고 신노열 역시 드림핵 출전 관계로 불참의사를 밝히며 결국 한 자리가 빈 채 대회가 열리게 되었다.

파일:external/c7bdcf4aa9595905cec1668ebecbce2834bdc2876efaf8b73143f1a58cde48d0.png파일:external/46bf27eaff906026cde7a3801b000a696dba45b666a1c1f42b7bdb56328da7d0.png파일:external/4137fcd87b3b949e40138dbd2b8878316616e391133a311fca4ff5e19be2c0b7.png
지역소속성명지역소속성명지역소속성명
2014 WCS Korea Season 1 입상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SKT1logo_std.pngsoO
어윤수
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Rolsterlogo_std.pngZest
주성욱
2014 WCS America Season 1 입상Americ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Roccatlogo_std.pngHyuN
고석현
Americ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Planetkey_std.png
Planetkey Dynamics
Oz
김학수
America(무소속)Revival
김동현
2014 WCS Europe Season 1 입상Europe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Acerlogo_std.pngMMA
문성원
Europe(무소속)MC
장민철
Europe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Flash_wolves_std.pngSan
강초원
예선 통과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Rolsterlogo_std.pngFlash
이영호
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Axiomlogo_std.pngImpact
김준혁
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SKT1logo_std.pngPartinG
원이삭
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Startalelogo_std.pngHack
김영일
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Rolsterlogo_std.pngAction
김성대
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IMlogo_std.pngSquirtle
박현우
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SKT1logo_std.pngFanTaSy
정명훈
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Samsung_galaxy_std.pngRorO
신노열
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Green_Wings_std.pngMaru
조성주
Korea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MVPlogo_std.pngDongRaeGu
박수호


4. 일정[편집]



4.1. 1라운드[편집]


예선을 통과한 10명을 두 조로 나누어 3전 2선승제 조별 풀 리그를 실시한다. 각 조 1위만 통과한다.
각 조 경기의 절반은 비방송이다.

A조(4월 19일)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Ticon_small.png 김영일21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박현우만발의 정원, 회전목마, 기착지
2경기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원이삭20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Ticon_small.png 정명훈프로스트, 만발의 정원, 알터짐 요새
3경기정명훈20박현우회전목마, 프로스트, 세종과학기지
4경기김영일12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Zicon_small.png 박수호해비테이션 스테이션, 프로스트, 회전목마
5경기원이삭21박수호기착지, 만발의 정원, 세종과학기지
6경기정명훈12김영일프로스트, 기착지, 알터짐 요새
7경기원이삭21김영일알터짐 요새, 회전목마, 해비테이션 스테이션
8경기박현우12박수호세종과학기지, 프로스트, 기착지
10경기원이삭10박현우프로스트, 세종과학기지, 해비테이션 스테이션
9경기정명훈--박수호만발의 정원, 기착지, 해비테이션 스테이션

순위선수득실
1위원이삭405
2위박수호211
3위김영일220
4위정명훈12-1
5위박현우04-5

8경기 종료 시점에서 원이삭이 1세트만 따내면 세트 득실에 따라 원이삭의 2라운드 진출이 확정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원이삭이 출전하는 10경기를 9경기보다 먼저 실시했고, 결국 원이삭이 1세트에서 승리하여 2라운드 진출과 동시에 e스포츠에서 흔치 않은 콜드게임의 주인공이 되었다. 영 좋지 않은 경기력을 보여준 박현우정명훈의 모습에 많은 팬들이 실망하였고 김영일의 뜻밖의 선전에 기대가 모였다.

신노열이 드림핵 출전 관계로 기권의사를 밝혀 B조는 4명이 한 자리를 두고 경합을 펼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모든 경기를 중계한다.

B조(4월 20일)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Ticon_small.png 조성주20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Zicon_small.png 김준혁기착지, 회전목마, 세종과학기지
2경기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Ticon_small.png 이영호20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Zicon_small.png 김성대프로스트, 세종과학기지, 기착지
3경기김성대20김준혁만발의 정원, 알터짐 요새, 기착지
4경기이영호02조성주회전목마, 기착지, 알터짐 요새
5경기김성대01조성주회전목마, 세종과학기지, 프로스트
6경기이영호--김준혁알터짐 요새, 프로스트, 세종과학기지

순위선수득실
1위조성주305
2위이영호110
3위김성대12-1
4위김준혁02-4
세트 득실을 반영하는 다전제 풀리그는 한국 e스포츠에서 흔히 보기 어려운 방식이다.[4]
조성주가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 A조와 마찬가지로 마지막 경기는 콜드게임으로 끝이 났다.


4.2. 2라운드[편집]


WCS 프리미어 리그 상위 입상자 6명과 1라운드를 통과한 2명을 두 조로 나누어 3전 2선승제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실시한다. 각 조 2위까지 통과한다.
1라운드를 통과한 두 명은 두 조에 나누어 배치되었기 때문에, 각 조에서 포인트를 받지 못하는 선수가 한 명씩은 나오게 된다.

A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주성욱20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원이삭프로스트, 만발의 정원
2경기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Ticon_small.png 문성원20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Zicon_small.png 김동현기착지, 세종과학기지
승자전주성욱21문성원회전목마, 만발의 정원, 세종과학기지
패자전원이삭21김동현회전목마, 만발의 정원, 프로스트
최종전문성원02원이삭알터짐 요새, 만발의 정원
결과적으로 멤버들의 구성과 조합이 발표되면서 이 조에만 지역구 중 유일하게 우승자가 포함되게 되었다.
그리고 주성욱과 원이삭은 너무 일찍 만났다. 두 선수 모두 라이벌 구도의 모습을 보이며 선전을 다짐했지만 주성욱이 원이삭에 압승을 거두고 승자전에 진출, 그 기세를 이어가면서 4강에 조 1위로 진출했다.
이로써 주성욱은 상위 라운드 진출로 인해 나름대로의 실속을 챙기게 되었다.

B조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김학수02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Zicon_small.png 어윤수해비테이션 스테이션, 프로스트
2경기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강초원20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Ticon_small.png 조성주만발의 정원, 회전목마
승자전어윤수12강초원알터짐 요새, 만발의 정원, 회전목마
패자전김학수12조성주알터짐 요새, 프로스트, 회전목마
최종전어윤수21조성주세종과학기지, 알터짐 요새, 프로스트
非 GSL 참가멤버 중 유일하게 해당 라운드를 통과한 강초원. 꽤나 강력한 인상을 남기면서 원이삭과의 플플전을 대비하게 되었다.
최종전에서는 非 프로토스 유저의 대표를 뽑기 위한 일전이 진행되어, 어윤수가 조 2위로 진출, 주성욱과 결승 티켓을 놓고 GSL의 리매치를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대회에서도 테란은 8강을 끝으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4.3. 준결승[편집]


선수승점승점선수
1경기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주성욱32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Zicon_small.png 어윤수기착지, 프로스트, 만발의 정원,
회전목마, 세종과학기지
2경기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강초원03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원이삭기착지, 프로스트, 회전목마
불과 며칠 전의 리턴매치가 되어버린 준결승 1경기에서 어윤수는 또다시 풀세트 접전으로 무릎을 꿇게 되었다. 상대전적은 보여진 것만으로 8:5가 되었고 실속은 모두 주성욱이 가져갔다는 점이 통한이 될 것.
준결승 2경기는 원이삭강초원에게 압승을 거두었다. 하루만에 다시 관으로 들어간 갓초원 그래도 강초원은 3세트가 끝나고 GG를 치기 직전에 원이삭에게 우승하라는 말을 남기고 서로 악수를 하는 훈훈한 광경을 보여주었다.


4.4. 결승[편집]


선수승점승점선수
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주성욱43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Picon_small.png 원이삭만발의 정원, 기착지,
세종과학기지, 해비테이션 스테이션,
알터짐 요새, 회전목마, 프로스트
파일:attachment/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620제목_없음1.jpg
프로리그 올킬 굴욕에 우승을 향한 어윤수의 꿈을 짓밟더니 이번엔 원이삭까지… 정말 SKT T1주성욱만 만났다 하면 이상하게 힘을 못 쓴다. 게다가 어윤수 때와 마찬가지로 먼저 3세트를 따놓았더니 그 뒤로 주루룩 밀렸으니 그야말로 미치고 환장할 노릇 아닌가?
특히 마지막 7세트에서는 원이삭의 짜내기를 막은데다가 동시에 본진까지 털어버리면서 원이삭멘탈을 박살내버렸다. 평소에 자신감 넘치던 원이삭의 좌절하는 모습은 굉장히 흔치않은 광경이다.


5. 결과[편집]


순위상금포인트성명
우승$7400300점주성욱
준우승$3700200점원이삭
3위$1850150점강초원어윤수
5위$925100점조성주
0점김동현문성원김학수
9위75점신노열[5]박수호
김영일정명훈
박현우이영호
김성대김준혁

6. 통계[편집]




7. 총평[편집]


간략하게 쓰자면 GSL의 추락. 2연속으로 결승전을 스튜디오에서 열었다는 사실 자체가 갈수록 좁아지는 스2판, 그리고 그 스2판에서도 갈수록 좁아지고 있는 곰TV의 입지를 말하는 것 같았다. "우리 맘대로 할 것"이라던 채정원의 패기도 무색해졌다. 심지어 'GSL이 드림핵에 밀리는' 있을 수 없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주성욱은 이번에도 4강 어윤수, 결승 원이삭을 잡으면서 티원 킬러의 명성을 계속 이어나갔다. 특히 결승전 7세트에서 고개를 푹 숙이는 원이삭의 모습은, 평소 당당하고 거침없던 그답지 않게 좌절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로서 2연속 우승을 거둔 주성욱은 명실공히 kt 롤스터의 새로운 에이스로 우뚝 솟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5:12:49에 나무위키 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GSL은 아예 WCS의 일원으로 들어갔고, 온게임넷은 스타 2 방면에는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2] 나중 일이지만 2월 7일 한국e스포츠협회장 전병헌이 "서울에서 WCS 글로벌 1급 대회를 열겠다"는 발언을 했다. 경기조직이 아닌 협회가 손을 쓸 정도로 대회를 열 만한 주체가 없다는 소리다.[3] 예선 통과도 1라운드를 거친 것이기 때문에, 예선을 거친 선수들은 포인트는 확실히 지급받게 된다.[4]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땐 세트 득실을 반영하지 않았다.[5] 드림핵 출전 관계로 16강을 포기했기 때문에 포인트가 지급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