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패럴림픽

덤프버전 :



Jogos Paralímpicos de Verão de 2016
XV Paralympic Game
파일:2016 리우데자네이루 패럴림픽 로고.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culpture_of_the_2016_Summer_Paralympics.jpg
대회기간2016년 9월 7일 ~ 2016년 9월 18일
개최국가/도시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
슬로건Um mundo novo
A new world
(새로운 세계)
공식 주제가
마스코트톰(Tom)
참가국161 개국
참가선수4,300 명
경기종목22개 종목 - 528개 세부 종목
개회 선언자미셰우 테메르
선수 선서필립 로드리게스
심판 선서Raquel Daffre
성화 점화클로도알도 시우바
주경기장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공식 사이트#
이전 대회2012 런던 패럴림픽
다음 대회2020 도쿄 패럴림픽

1. 개요
2. 마스코트
3. 경기 종목 및 경기장
4. 경기 일정
5. 메달 집계
6. 주요 기록 및 이변
7. 여담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16년 9월에 열리는 하계패럴림픽으로 패럴림픽 역사상 처음 남아메리카라틴아메리카[1] 지역에서 열린 대회이다.


2. 마스코트[편집]


파일:external/vostokzapad.files.wordpress.com/download.png
공식 홈페이지(영어)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마스코트 제작사 (Birdo) 홈페이지(포르투갈어)

이번 패럴림픽 마스코트는 통(Tom)이라는 파란색 식물이다. 마스코트는 상당히 잘 뽑혔다는 평을 받았다. 마스코트의 이름은 브라질의 전설적인 뮤지션인 통 조빙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이름을 선정한 과정은 리우 올림픽 문서를 보면 된다.

마스코트가 등장하는 단편 애니메이션 여러 편을 카툰네트워크 남미판에서 방송한 듯하다. 보러가기.(리우 조직위 공식 채널) 매 에피소드는 2분 분량이며 현재 유튜브 채널에 공개된 에피소드는 8화까지이다.

파일:attachment/rio2016_mascot.jpg
리우 올림픽 마스코트 비니시우스(Vinicius)와 함께


3. 경기 종목 및 경기장[편집]




4. 경기 일정[편집]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GYH2016090500050004400_P2.jpg


5. 메달 집계[편집]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패럴림픽 메달 집계
순위국가명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중국1078151239
2영국643944147
3우크라이나413739117
4미국404431115
5호주22302981
6독일18251457
7네덜란드17192662
8브라질14292972
9이탈리아10141539
10폴란드9181239
11스페인914831
12프랑스951428
13뉴질랜드95721
14캐나다8101129
15이란89724
16우즈베키스탄861731
17나이지리아82212
18쿠바81615
19벨라루스80210
20대한민국7111735
21튀니지76619
22남아프리카공화국76417
23태국66618
24그리스54413
25벨기에53311
슬로바키아53311
27알제리45716
28아일랜드44311
29멕시코42915
30이집트35412
31세르비아3249
32노르웨이3238
33모로코3227
34터키3159
35케냐3126
36말레이시아3014
37콜롬비아251017
38UAE2417
39이라크2305
40홍콩2226
41크로아티아2215
스위스2215
43인도2114
44리투아니아2103
45라트비아2024
46싱가포르2013
47헝가리18918
48아제르바이잔18211
49스웨덴14510
50오스트리아1449
51체코1247
덴마크1247
53나미비아1225
54아르헨티나1135
55베트남1124
56핀란드1113
트리니다드 토바고1113
58카자흐스탄1102
슬로베니아1102
60바레인1001
불가리아1001
조지아1001
쿠웨이트1001
64일본0101424
65베네수엘라0336
66요르단0213
67카타르0202
68중화 타이베이0112
69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0101
코트디부아르0101
에티오피아0101
우간다0101
73포르투갈0044
74이스라엘0033
75몽골0022
76카보베르데0011
인도네시아0011
사우디아라비아0011
모잠비크0011
파키스탄0011
필리핀0011
루마니아0011
스리랑카0011


6. 주요 기록 및 이변[편집]


  • 8월에 개최된 베트남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이 나온 리우 올림픽에 이어서, 파워리프팅 남자 49kg 급에서 베트남 역사상 패럴림픽 첫 메달이자 금메달이 개막 이후 대회 첫날인 9월 8일에 나왔다. 이후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그동안 패럴림픽 메달이 없었던 베트남이 의외로 선전했다.

  • 싱가포르2016 리우 올림픽에 이어 패럴림픽에서도 첫 금메달이 나왔다. 배영 100m S2 종목에 출전한 입핀슈(24)가 2분7초09로 세계기록을 세웠다. 그런데 문제는 패럴림픽 입상 선수에게 주어지는 포상금이 올림픽 메달리스트와 큰 차이가 났다는 점이다. 올림픽 금메달 포상금 100만 싱가포르달러(약 8억2천만원)의 10분의 1 수준이다. 게다가 싱가포르의 올림픽과 패럴림픽 포상금 차별 논란은 처음이 아니다. #

  • 사우디아라비아의 남자 역도 선수인 마샬 알카자이가 도핑 검사에서 적발되어 8년 동안 선수 자격이 정지되었다.

  • 육상 1500m(T13 등급)[2] 경기 결승에서 4위 선수까지 리우 올림픽 1500m 금메달리스트보다 좋은 기록이 나왔다. 이는 올림픽에서는 순위 때문에 500m를 남기고 스퍼트를 하기 전까지는 다른 선수들의 주행에 맞춰서 달리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 자유형 200m S4 종목에서 한국의 조기성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했는데, 한국 수영 최초의 2관왕 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50m 자유형에서 금메달을 따서 3관왕에 올랐다. #

  • 훨체어 남자 마라톤에서 김규대가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는 육상 800m(장애등급 T54) 동메달에 이어 이번 대회 두 번째 메달이며, 전날 밤 남자 1,600m 계주(4×400m·장애등급 T53/54) 결승 경기에서 동료들과 3위를 차지했지만, 석연치 않은 재경기 결정으로 다시 경기를 뛰었는데 실격처리 되어서 더욱 뜻깊은 메달인 셈이다. #


6.1. 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 관련 내용[편집]








7. 여담[편집]



  • 8월에 진행된 리우 올림픽 때와는 달리 미셰우 테메르가 정식으로 브라질의 대통령이 되어서 개회 선언을 하였다.

  • IOC에는 가입되지 않아서 올림픽에는 참가가 불가능한 페로 제도마카오 선수단이 참가하였다.

  • 이란의 휠체어 양궁선수 자라 네마티는 같은 해의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동시에 참가하는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 대한민국에서는 KBS 1TV에서 주요경기를 녹화 중계 방송하였다.

  • STN SPORTS에서도 생중계를 실시하였다.

  • 나무위키의 패럴림픽 문서들 가운데 최초로 작성된 문서이다.

  • 브라질 최초의 패럴림픽 금메달 리스트이자 1984년 여자 200m 금메달리스트[3]인 마르시아 마우사르(Márcia Malsar)가 고령의 노구를 이끌고 마리카낭 스타디움 안에서 성화 봉송을 하던 중 비가 내려 성화가 미끌어지고, 이를 바로 잡으려다가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진행요원들이 달려가서 그녀를 일으켜 주었고, 그녀는 힘겹지만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면서 전세계인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또한 그녀가 쓰러질까 걱정되어 진행요원 한 명이 그녀 곁을 같이 걸었다.

  • 벨기에 국적의 휠체어 스프린트 선수인 마리케 베르보트가 이 패럴림픽을 끝으로 안락사로 생을 마감할 예정이라고 한다. 미리 장례식 준비까지 마쳤고 난치성 척추질환을 앓고있어 특히 매일 밤마다 끔찍한 고통에 시달리는게 주 이유라고 기사가 나간 적이 있지만 오보로 밝혀졌으며, 안락사 생각은 있지만 당장은 아니라고 인터뷰 통해 해명했다. 하지만, 그녀는 끝내 고통을 극복하지 못한 채 2019년 10월 23일에 조력 자살을 선택하며 세상을 떠났다. #

  • 걱정했던 것과는 달리 생각보다 입장권 판매에서 흥행을 보였다. 아무래도 올림픽에 비해서 입장권 가격이 싼 편이고, 또한 개최국 브라질 선수들이 더 좋은 성적을 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 먼저 진행된 올림픽이 패럴림픽의 테스트 이벤트였다는 소리도 나왔다. 그런데, 개최국인 브라질의 금메달 갯수는 지난 2012 런던 대회보다 휠씬 적다는 게 함정이긴 하다. 자국 브라질에서 열린 대회이지만, 금메달보다 은메달과 동메달만 잔뜩 따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졌다.

  • 리우 올림픽과 달리 중국이 매우 독주했다. 중국은 이 대회에 무려 107개의 금메달을 수확하였다. 영국이 금메달 64개를 기록하여, 그다음으로 2위를 기록하였다.

  • 차기 대회의 개최국인 일본은 리우 올림픽과는 달리 패럴림픽에서 매우 부진한 상태이다. 은메달은 10개, 동메달은 14개로 많이 획득했는데 금메달이 없어서 순위가 64위로 최하위권에 위치했다. 4년 뒤 결국 홈그라운드에서 설욕했다

  • 이란의 사이클 선수 바흐마 골바르네자드(48)가 9월 17일 사이클 남자 로드 레이스 경기에 출전해 산악구간 내리막길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한국 시각장애 유도선수 일부가 장애인이 아닌데 장애인 행세했던 가짜 장애인으로 드러나 구속 수사가 진행되었다.# 결국 2022년 1월 3일에 1심에서 장애인 유도 국가대표팀 감독은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이 선고되었고 사회봉사 200시간 명령을 받았다. 선수 3명은 징역형과 집행유예를 선고받았고 8명은 벌금형을 선고받았으며 2명은 무죄로 판결되었다.#

  • 황연대 성취상이 수여된 마지막 하계 패럴림픽 대회었다.[4]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15:10:00에 나무위키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패럴림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을 개최했던 멕시코는 경비 부족으로 패럴림픽 개최를 포기하여 1968년 하계 패럴림픽은 독립 20주년을 맞은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개최되었다.[2] 시각 장애 종목으로 T13은 그중 장애가 제일 덜한 등급... 이라고는 해도, 시력은 일반인의 10% 수준이고 시야도 반경 20도 미만밖에 보지 못한다. 안경을 써야 겨우 형체 구분이 가능할 정도의 시력.[3] 동 대회 여자 크로스 컨트리 1000m 은메달, 여자 60m 동메달, 1988년 서울 패럴림픽 여자 100m 동메달[4] 마지막으로 수여된 대회는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