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8 AFC U-19 챔피언십 인도네시아

덤프버전 :

1. 개요
2. 예선
3. 본선[16개팀]
3.1. A조
3.1.1. 제1경기: 아랍에미리트 2 vs 1 카타르
3.1.2. 제2경기: 인도네시아 3 vs 1 대만
3.1.3. 제3경기: 대만 1 vs 8 아랍에미리트
3.1.4. 제4경기: 카타르 6 vs 5 인도네시아
3.1.5. 제5경기: 카타르 4 vs 0 대만
3.1.6. 제6경기: 인도네시아 1 vs 0 아랍에미리트
3.2. B조
3.2.1. 제1경기: 이라크 3 vs 3 태국
3.2.2. 제2경기: 일본 5 vs 2 북한
3.2.3. 제3경기: 북한 1 vs 0 이라크
3.2.4. 제4경기: 태국 1 vs 3 일본
3.2.5. 제5경기: 태국 2 vs 1 북한
3.2.6. 제6경기: 일본 5 vs 0 이라크
3.3. C조
3.3.1. 제1경기: 베트남 1 vs 2 요르단
3.3.2. 제2경기: 대한민국 1 vs 1 호주
3.3.3. 제3경기: 호주 2 vs 1 베트남
3.3.4. 제4경기: 요르단 1 vs 3 대한민국
3.3.5. 제5경기: 호주 1 vs 1 요르단
3.3.6. 제6경기: 베트남 1 vs 3 대한민국
3.4. D조
3.4.1. 제1경기: 사우디아라비아 2 vs 1 말레이시아
3.4.2. 제2경기: 타지키스탄 1 vs 0 중국
3.4.3. 제3경기: 중국 0 vs 1 사우디아라비아
3.4.4. 제4경기: 말레이시아 2 vs 2 타지키스탄
3.4.5. 제5경기: 사우디아라비아 3 vs 1 타지키스탄
3.4.6. 제6경기: 중국 2 vs 0 말레이시아
3.5. 8강전
3.5.1. 8강 1경기: 카타르 7 vs 3 태국
3.5.2. 8강 2경기: 일본 2 vs 0 인도네시아
3.5.3. 8강 3경기: 대한민국 1 vs 0 타지키스탄
3.5.4. 8강 4경기: 사우디아라비아 3 vs 1 호주
3.6. 4강전
3.6.1. 4강 1경기: 카타르 1 vs 3 대한민국
3.6.2. 4강 2경기: 일본 0 vs 2 사우디아라비아
3.7. 결승전
3.7.1. 결승전: 대한민국 1 vs 2 사우디아라비아


1. 개요[편집]


2018년에 개최된 제40회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로 2018년 10월 18일부터 11월 4일까지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하면 2019년 FIFA U-20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확보한다.


2. 예선[편집]


1차 예선을 통과한 아시아의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한다.
예선은 편의상 서아시아 지역(west zone)과 동아시아 지역(east zone)을 분리해서 실시하며, 2017년 10월 31일부터 2017년 11월 8일까지 실시된다. 쿠웨이트는 자격 정지로 참가가 박탈되었고 괌, 파키스탄 그리고 부탄은 기권했으며 그리고 아프가니스탄과 북마리아나제도는 예선 도중 기권했다.

서아시아에서는 이란과 우즈베키스탄이 미역국을 먹는 일이 일어났다.

본선 진출팀 : 인도네시아(개최국), 아랍에미리트, 타지키스탄, 카타르,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중국, 베트남, 대만, 일본(전 대회 우승국), 태국, 호주, 북한


3. 본선[16개팀][편집]



3.1. A조[편집]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20111746
2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2019726
3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20110376
4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대만003215-130


3.1.1. 제1경기: 아랍에미리트 2 vs 1 카타르[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18일 오후 6시
장소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국가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득점21
득점자16' 아흐메드 파지
41' 알리 살레
36' 압둘라시드 우마루


3.1.2. 제2경기: 인도네시아 3 vs 1 대만[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18일 오후 9시
장소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국가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득점31
득점자50' 이지 마우라나
70' 위탄 술레만
89' 위탄 술레만
53' 청 유왕


3.1.3. 제3경기: 대만 1 vs 8 아랍에미리트[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1일 오후 6시
장소겔로라 붕 카르노 스다디움
국 가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득 점18
득점자74' 옌 슈 우10' 아흐메드 파지
20' 알리 살레
35' 마제드 라시드
51' 라시드 무발락
59' 라시드 무발락
67' 알리 살레
70' 압둘라 알나크비
75' 마제드 라시드


3.1.4. 제4경기: 카타르 6 vs 5 인도네시아[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1일 오후 9시
장소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국가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득점65
득점자11' 하심 알리 압둘라티프
14' 압둘라시드 우마루
24' 모하메드 와에드 압둘라하프
41' 압둘라시드 우마루
51' 하심 알리 압둘라티프
56' 압둘라시드 우마루
28' 무함마드 루스피 카말 바하르슈아
65' 토드 리발도 페레
69' 사드딜 람다니
73' 토드 리발로 페레
81' 토드 리발도 페레
카타르가 의외로 인도네시아에게 고전하였다.

그리고 이번 대회에서 가장 많은 골이 나온 경기로 무려 11골(...)이 나왔다. 9분에 1골씩 넣고 추가시간에 1골 더 넣은 꼴.


3.1.5. 제5경기: 카타르 4 vs 0 대만[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4일 오후 9시
장소카탄노리 스타디움
국가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득점40
득점자57' 칼레드 왈리드
61' 하심 알리 압둘라티프
77' 하심 알리 압둘라티프
86' 압둘라시드 우마루(PK)


3.1.6. 제6경기: 인도네시아 1 vs 0 아랍에미리트[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4일 오후 9시
장소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국가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득점10
득점자23' 위탄 술레만


3.2. B조[편집]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일본 국기.svg일본300133109
2파일:태국 국기.svg태국11167-14
3파일:북한 국기.svg북한10247-33
4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01239-61


3.2.1. 제1경기: 이라크 3 vs 3 태국[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19일 오후 6시
장소파칸사리 스타디움
국가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득점33
득점자37' 모하멜 압둘리다 오가일리
42' 와카 라마드한 주마흐
66' 하산 압둘카렘 사예드
26' 크릿사다 카만
87' 코라위치 타사
90+4 수파낫 무안타


3.2.2. 제2경기: 일본 5 vs 2 북한[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19일 오후 9시
장소파칸사리 스다디움
국 가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득 점52
득점자8' 코키 사이토
19' 히로키 이토
65' 쿠보 타케후사
89' 타이세이 미야시로
90+3 아베 히로키
36' 계탐
41' 강국철(PK)


3.2.3. 제3경기: 북한 1 vs 0 이라크[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2일 오후 6시
장소파칸사리 스타디움
국가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득점10
득점자55' 박광춘


3.2.4. 제4경기: 태국 1 vs 3 일본[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2일 오후 9시
장소파칸사리 스다디움
국 가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득 점13
득점자54' 수파낫 무안타27' 타이세이 미야시로
42' 코키 사이토
44' 타이세이 미야시로


3.2.5. 제5경기: 태국 2 vs 1 북한[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5일 오후 6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득점21
득점자38' 삼판 케시
78' 코라위치 타사
45' 강국철


3.2.6. 제6경기: 일본 5 vs 0 이라크[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5일 오후 6시
장소파칸사리 스다디움
국 가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득 점50
득점자10' 유타 타키
27' 쿄스케 타가와
37' 타이치 하라
77' 타이치 하라
85' 코키 사이토


3.3. C조[편집]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2107347
2파일:호주 국기.svg호주1204315
3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11145-14
4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00337-40


3.3.1. 제1경기: 베트남 1 vs 2 요르단[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19일 오후 6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득점12
득점자21' 만 둥 넘29' 모하메드 칼릴 바니 아티에
89' 모하메드 와얼 하즈비


3.3.2. 제2경기: 대한민국 1 vs 1 호주[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19일 오후 9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득점11
득점자52' 전세진89' 라미 나자르니


3.3.3. 제3경기: 호주 2 vs 1 베트남[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2일 오후 6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득점21
득점자37' 앵거스 써게이트
76' 벤 폴라미
85' 반 남 르


3.3.4. 제4경기: 요르단 1 vs 3 대한민국[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2일 오후 9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득점13
득점자76' 오마르 알젭디에3' 조영욱
79' 전세진
90+2 최준

여담으로 이 경기 시작 전, 국가 제창식에서 대한민국의 애국가가 아닌 북한의 애국가가 연주되었다가 바로 중단된 헤프닝이 일어났었다.


3.3.5. 제5경기: 호주 1 vs 1 요르단[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5일 오후 9시
장소파칸사리 스타디움
국가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득점11
득점자10' 올리버 푸플렛76' 오마르 알젭디에


3.3.6. 제6경기: 베트남 1 vs 3 대한민국[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5일 오후 9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득점13
득점자13' 리 수안 주45' 조영욱
76' 김현우
90+4 조영욱


3.4. D조[편집]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3006249
2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타지키스탄11145-14
3파일:중국 국기.svg중국1022203
4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01236-31


3.4.1. 제1경기: 사우디아라비아 2 vs 1 말레이시아[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0일 오후 6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득점21
득점자21' 터키 알 암마르
78' 살렘 알 아메드 살림
88' 하디 파야드 압드 라작


3.4.2. 제2경기: 타지키스탄 1 vs 0 중국[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0일 오후 9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득점10
득점자77' 샤라프존 솔레호프


3.4.3. 제3경기: 중국 0 vs 1 사우디아라비아[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3일 오후 6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득점01
득점자81' 압둘모센 알 카타니


3.4.4. 제4경기: 말레이시아 2 vs 2 타지키스탄[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3일 오후 9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득점22
득점자11' 하디 파야드 압드 라작
55' 바흐다트 하노노프(OG)
34' 에흐손 판샨베(PK)
45+1' 달래 요드고로프


3.4.5. 제5경기: 사우디아라비아 3 vs 1 타지키스탄[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6일 오후 9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득점31
득점자65' 모하메드 알자카타
70' 모하메드 알자카타
73' 쿼지즈보예프(OG)
29' 보보예프


3.4.6. 제6경기: 중국 2 vs 0 말레이시아[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6일 오후 9시
장소파칸사리 스타디움
국가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득점20
득점자44' 타오 취안롱
58' 쑤 유에


3.5. 8강전[편집]



3.5.1. 8강 1경기: 카타르 7 vs 3 태국[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8일 오후 6시
장소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국가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득점73
득점자13' 하심 알리 압둘라티프
21' 나세르 알 야지디
87' 아흐메드 알 하마웬데
99' 압둘라시드 우마루
106' 칼레드 왈레드
117' 압둘라시드 우마루
120' 유세프 에이멘 하페즈
48' 코라위치 타사
61' 사쿤차이 생테푸
80' 스라톤 푸루안나


3.5.2. 8강 2경기: 일본 2 vs 0 인도네시아[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8일 오후 9시 30분
장소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국가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득점20
득점자40' 히가시 슌키
70' 미야시로 타이세이

3.5.3. 8강 3경기: 대한민국 1 vs 0 타지키스탄[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9일 오후 6시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득점10
득점자43' 전세진


3.5.4. 8강 4경기: 사우디아라비아 3 vs 1 호주[편집]


경기일2018년 10월 29일 오후 9시 30분
장소패트리어트 스타디움
국가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득점31
득점자7' 알 암마르
50' 알 부라이칸
82' 압둘하미드
42' 나타니엘 앗킨슨


3.6. 4강전[편집]



3.6.1. 4강 1경기: 카타르 1 vs 3 대한민국[편집]


경기일2018년 11월 1일 오후 6시
장소파칸사리 스타디움
국가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득점13
득점자52' 이재익(OG)23' 전세진
33' 전세진
45+2' 엄원상


3.6.2. 4강 2경기: 일본 0 vs 2 사우디아라비아[편집]


경기일2018년 11월 1일 오후 9시 30분
장소파칸사리 스타디움
국가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득점02
득점자29' 와카하라 토모야(OG)
45+1' 알 간남
디펜딩 챔피언 일본은 4강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게 덜미를 잡혔다. 전반 29분 역습 상황에서 알람마르의 측면 슛을 와카하라 토모야가 막아내다가 흘린 다음 급히 걷어냈으나 골라인을 넘었다가 나와서 골 인정, 기록은 와카하라의 자책골로 되었다. 그리고 전반 추가시간 알 간남의 추가골로 2:0이 되며 분위기가 사우디 쪽으로 넘어오는 모양새가 되었고 후반은 어느 팀도 득점을 기록하지 못하고 그대로 사우디의 승리로 경기 종료.


3.7. 결승전[편집]



3.7.1. 결승전: 대한민국 1 vs 2 사우디아라비아[편집]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AFC U-19 Championship 2018 Final
2018. 11. 04 / 파칸사리 스타디움 (인도네시아, 보고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FC_U-19_Championship.png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 - 1
1' 알 암마르
21' 알 간남
63' 조영욱 (PK)

6년만에 4강에 진출하고 결승에 올라온 한국이지만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지며 우승에 실패했다. 사우디는 일본전과 마찬가지로 한국도 압도하면서 강한 면모를 보였고 한국은 비록 몇몇 선수들이 차출 불발되었으나 강한 압박에 고전하는 등 본선에 대한 우려를 남겼다.

하지만, 한국은 2019년 U-20 월드컵에선 최초로 결승에 진출하며 준우승을 차지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3전 전패로 일찌감치 카타르와 같이 탈락하면서 희비가 엇갈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9:37:55에 나무위키 2018 AFC U-19 챔피언십 인도네시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6개팀] A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