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STRO BOY 철완 아톰

덤프버전 :

우주소년 아톰 (2003~2004)
ASTRO BOY 鉄腕アトム
ASTRO BOY
파일:wbhjfr_5374_logo_001.jpg
작품 정보 ▼
장르SF
원작데즈카 오사무
감독코나카 카즈야(小中和哉)[1]
시리즈 디렉터모치즈키 케이이치로(望月敬一郎)
구성마크 핸들러
캐릭터 디자인세야 신지(瀬谷新二)
메카닉 디자인아라마키 신지
타카쿠라 타케시(高倉武史)
음악요시마츠 타카시 등
애니메이션 제작파일:데즈카 프로덕션 로고.png
제작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재팬
데즈카 프로덕션
후지 테레비
방영 기간파일:일본 국기.svg 2003. 04. 06. ~ 2004. 03. 28.[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11. 19. ~ 2004. 06. 09.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 가로형.svg / (일) 09: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SBS 로고.svg
국내 정식발매소니 픽처스 (DVD)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50화
국내 심의 등급전체 관람가 (DVD)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후지 테레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데즈카 프로덕션)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소니 픽처스)
[1] 1963년생. 코나카 치아키 감독의 남동생.[2] 아톰의 공식 생일인 2003년 4월 7일을 기념으로 공개된 작품이다.

1. 개요
2. 특징
4. 주제가
5. 회차 목록
6. 한국 방영
7. 미디어 믹스
7.1. 만화
7.2. 극장판
8. 여담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철완 아톰을 원작으로 하는 세 번째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2. 특징[편집]


세부 줄거리는 다르긴 해도 기본적인 틀은 비슷했던 1963년도/1980년도 판과는 다르게 아예 세계관·설정·스토리·캐릭터를 거의 리부트 수준으로 갈아엎고 만든 애니메이션이며, 미래의 도쿄가 배경인 이전 작들과는 다르게 연방 정부라는 일종의 통합 정부에 소속된 '메트로 시티'라는 가공의 자치권을 보유한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감독 코나카 카즈야가 울트라맨 다이나를 담당한 적이 있어 헤이세이 울트라맨 시리즈의 각본가가 많이 참가했으며 그래서 호러색이 강하고 우울한 에피소드가 많이 들어갔다. 아톰의 탈을 쓴 울트라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코나카 카즈야 감독은 자신은 애니메이션 연출가가 아니므로 연출은 다른 사람들에게 맡기고 스토리에 신경을 많이 썼다고 한다. 이렇게 제작해서 데즈카 오사무 작품 같지 않다는 비판도 있지만 독립된 작품으로서 괜찮게 만든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비주얼이 굉장히 뛰어나다는 것. 해상도만 HD로 맞추면 보정 같은 후작업 필요없이 생으로 지금 방영해도 먹힐 수준이다. 특히 전투씬의 퀄리티가 매우 좋다. 심지어 군데군데 CG도 쓰였다. 아톰의 공식 생일에 내놓은 작품이라는 상징성 때문인지 아주 작정을 하고 만들었다는 티가 난다. 그러나 드라마적 연출에 있어서는 1980년판보다 못하다는 평도 많다. 더불어, 아톰의 얼굴 작화에 있어서는 위의 80년판에서도 서술하였듯 다소 호불호가 갈리기도 한다.


3.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철완 아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등장인물@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편집]


  • 1기 OP
2003년 일본판 오프닝(ZONE - True blue) 풀버전
2003년 SBS판 오프닝
가수는 Som2. 참고로 공식 OST(국내판)에서도 수록되어 있다. 풀버전

  • 2기 OP
오프닝.ver
소니 뮤직 공식 웹사이트에서 공개된 공식 뮤비 .ver (풀버전)[1]
25화부터 바뀐[2] 오프닝. (CHEMISTRY meets m-flo - 『Now or Never』) 앞선 희망에 찬 분위기인 True Blue와는 정반대로 분위기가 상당히 어둡고 다소 힙한 감성인 게 특징. 동시에 더빙판의 DVD 정발이 중단된 부분이기도 해서 SBS 더빙 버전은 없다.[3]

  • 1기 ED

일본판 엔딩. (후지이 후미야 - BOY'S HEART) 한국판 보컬은 최승민이 맡았다.[4]

  • 2기 ED
1963년, 1980년도판 아톰의 주제가를 리메이크했다.
경쾌한 버전
느린 버전[5]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1パワーアップ!
파워 업!
코나카 치아키모치즈키 케이이치로
(望月敬一郎)
세야 신지
(瀬谷新二)
2003.4.6.
2ロボットボール
로봇 볼
마에조노 후미오
(前園文夫)
2003.4.13.
3アトム宇宙に行く
아톰 우주에 가다
모리타 히로미츠
(森田浩光)
스즈키 유키오
(鈴木幸雄)
시시쿠라 사토시
(宍倉 敏)
2003.4.20.
4電光
전광
오오타 아이
(太田 愛)
요시무라 후미히로
(吉村文宏)
모치즈키 케이이치로세야 신지2003.4.27.
5ロボット農場を救え!
로봇 농장을 구해라!
후루세 노보루
(古瀬登)
스즈키 유키오2003.5.4.
6アトラス誕生
아틀라스 탄생
하세가와 케이이치쿠와바라 사토시니시타 마사요시2003.5.11.
7アトムVSアトラス
아톰vs아틀라스
2003.5.18.
8ロボット超特急
로봇 초특급
무라이 사다유키모리타 히로미츠스즈키 유키오시시쿠라 사토시2003.5.25.
9フランケン
프랑켄
데자키 오사무요시무라 후미히로우치다 히로시
(内田 裕)
2003.6.1.
10金星ロボット襲来!
금성 로봇 습격!
하세가와 케이이치스즈키 유키오시시쿠라 사토시2003.6.8.
11ロボットサーカスがやって来た!
로봇 서커스가 왔다!
오오타 아이야마자키 카즈오세야 신지2003.6.15.
12よみがえったジャンボ
되살아난 점보
코누타 켄지니시타 마사요시타카하시 시게하루
(高橋滋春)
시미즈 케이조
(清水恵蔵)
스즈키 신이치
(鈴木伸一)
2003.6.22.
13ウラン誕生
우란 탄생
오오타 아이스즈키 유키오시시쿠라 사토시2003. 7.6.
14ミクロの大冒険
마이크로 대모험
코나카 치아키야마자키 카즈오세야 신지2003. 7.13.
15人工知能を守れ!
인공지능을 지켜라!
パメラ・ヒッケイ
デニー・マッコイ
[6]
니시타 마사요시스즈키 타쿠오
(鈴木卓夫)
니시타 마사요시2003. 7.20.
16闇のロボットハンター
어둠의 로봇 헌터
오오타 아이쿠와바라 사토시시노 유키히로
(しのゆきひろ)
세야 신지2003. 7.27.
17地上最強のロボット
지상 최강의 로봇
하세가와 케이이치니시타 마사요시니시타 마사요시2003.8.3.
18プルートゥは死なず
플루토는 죽지 않는다
2003.8.10.
19ロボットボーイ
로봇 보이
マーク・ハンドラー[7]시노 유키히로스기노 아키오2003.8.17.
20永遠の少年
영원한 소년
코바야시 히로토시
(小林弘利)
쿠와바라 사토시히라타 토시오吉村昌輝2003.8.24.
21湖の怪物
호수의 괴물
하세가와 케이이치이시오도리 히로시
(石踊 宏)
카나자와 히로시
(金沢比呂司)
2003.8.31.
22さよならプリンセス
안녕 프린세스
오오타 아이스즈키 유키오시시쿠라 사토시2003.9.7.
23失われた記憶
잃어버린 기억
코바야시 히로토시야마자키 카즈오후루세 노보루2003.9.14.
24ベアちゃん
베어쨩
하세가와 케이이치스즈키 유키오시시쿠라 사토시2003.9.21.
25もしも涙を流せたら
만약 눈물을 흘릴 수 있다면
코바야시 히로토시니시타 마사요시야마자키 카즈오니시타 마사요시2003.9.28.
26青騎士登場
청기사 등장
오오타 아이쿠와바라 사토시카토 시게루
(加藤 茂)
2003.10.5.
27名探偵ヒゲオヤジ
명탐정 수염아저씨
하세가와 케이이치스즈키 유키오宍戸敏2003.10.12.
28宇宙プラントの危機
우주 플랜트의 위기
오오타 아이쿠와바라 사토시요시무라 후미히로세야 신지2003.10.19.
29ウランと名探偵
우란과 명탐정
하세가와 케이이치스즈키 타쿠오하타 마사미
(波多正美)
테라사와 신스케
(寺沢伸介)
2003.10.26.
30地底探検
지저 탐험
코바야시 히로토시니시타 마사요시타카하시 시게하루시미즈 케이조2003.11.2.
31グーノンの大冒険
구논의 대모험
오오타 아이히라타 토시오나리카와 타케치카
(成川武千嘉)
야나세 조지
(柳瀬譲二)
2003.11.9.
32青騎士の秘密
청기사의 비밀
하세가와 케이이치니시타 마사요시스즈키 유키오시시쿠라 사토시2003.11.16.
33妖精物語
요정 이야기
코바야시 히로토시타케우치 요시오
(竹内啓雄)
우치다 히로시2003.11.23.
34変形生命ムーピー
변형 생명 무피
무라이 사다유키모리타 히로미츠츠다 요시조
(津田義三)
사이죠 타카시
(西城隆詞)
2003.11.30.
35アトムVSロック
아톰vs로크
미카모토 야스미
(三家本泰美)
2003.12.7.
36恋するロボット
사랑하는 로봇
코바야시 히로토시야마자키 카즈오후루세 노보루2003.12.14.
37アトラス逆襲
아틀라스 역습
하세가와 케이이치니시타 마사요시타나하시 카즈노리
(棚橋一徳)
시미즈 케이조2003.12.21.
38エミリーの願い
에밀리의 소원
マーク・ハンドラー[8]후치가미 마토코
(渕上 真)
코사코 요시시게
(古佐小吉重)
2003.12.28.
39タイムハンター
타임 헌터
ラリー・ビスコフ[9]모리타 히로미츠타케우치 요시오스기노 아키오2004.1.11.
40ロボット嫌い
로봇 혐오증
하세가와 케이이치쿠와바라 사토시吉村昌輝1.18.
41巨人の記憶
거인의 기억
오오타 아이모치즈키 토모미미즈노 켄타로
(水野健太郎)
코사코 요시시게2004.1.25.
42鋼鉄島の戦い
강철 섬의 전투
하세가와 케이이치요시무라 후미히로츠다 요시조사이죠 타카시2004.2.1.
43人間に憧れたロボット
인간을 동경한 로봇
오오타 아이야마자키 카즈오후루세 노보루2004.2.8.
44龍の森へ
용의 숲으로
히라타 토시오하시모토 사부로
(橋本三郎)
사이죠 타카시2004.2.15.
45革命前夜
혁명 전야
요시무라 후미히로스기노 아키오2004.2.22.
46ロボタニア建国
로보타니아 건국
하세가와 케이이치니시타 마사요시스즈키 타쿠오니시타 마사요시2004.2.29.
47決戦! 南極大陸
결전! 남극 대륙
타키자와 준
(滝沢 潤)
야나세 조지2004.3.7.
48明日への旅立ち
내일로의 여행
니시타 마사요시스즈키 타쿠오2004.3.14.
49アトム復活
아톰 부활
야마자키 카즈오세야 신지2004.3.21.
50最後の対決
최후의 대결
코나카 카즈야
(小中和哉)
모치즈키 케이이치로
세야 신지
모치즈키 케이이치로2004.3.28.


6. 한국 방영[편집]


한국에서도 수입되어 우주소년 아톰이라는 제목으로 2003년 11월 19일부터[10] 2004년 6월 9일까지 SBS 및 9개 지역민방[11]을 통해 매주 수~목 오후 5시마다 더빙 방영을 했으며, TV로 아톰을 본 사람 중 대부분의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작품이다.[12] 그러나 국내 더빙 DVD는 24화를 마지막으로 발매되지 않았으며, 이 때문에 50화 완결까지 전부 더빙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으로는 25화 이후의 더빙을 찾을 수가 없다.

종영 후에는 콜럼비아트라이스타영화(주)가 DVD비디오테이프로 냈고, 비디오테이프 제작은 동우영상이 맡았다. 2006년에는 채널 CGV를 통해 원음에 한글자막을 입힌 상태로 방영되기도 했다. 재방송이 자주 되어 한국에서 아톰이라고 하면 거의 이걸 말한다.

한국 방영 당시 캐릭터 사업 판권은 지앤지엔터테인먼트가 소유했으며, 한빛소프트가 2004년 7월 13일까지 이 회사와 계약을 맺어 인형과 모바일 게임 등을 출시한 바 있었다. 단행본은 학산문화사를 통해 3권 모두 정발되었으며 번역은 설은미가 맡았다.

다만 해당 도서는 세월이 흘러 절판됐고, 부천시에 위치한 한국만화박물관 만화도서관에선 보존중이지만 열람불가 상태다. 반면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는 전권 소장중이다.


7. 미디어 믹스[편집]



7.1. 만화[편집]


히메카와 아키라 작가가 이 작품의 만화판을 맡았다. 전 3권이며, 50부작이나 되는 애니메이션을 고작 3권 안에 구겨넣다 보니 스토리 전개가 애니메이션에 비해 매우 빠르고 다수의 빌런 및 캐릭터들이 삭제되었으며, 본작의 메인 빌런이었던 청기사는 아예 마지막 권에 단 한 컷 등장했다.[13] 그 대신 메인 빌런 자리는 아틀라스가 가져갔다. 여담으로 애니메이션에 비해 수위가 살짝 높다.[14]


7.2. 극장판[편집]


ASTROBOY 철완 아톰 ~ 10만 광년의 방문자·IGZA (2005)
ASTROBOY 鉄腕アトム ~ 10万光年の来訪者・IGZA
파일:97db340eb10cbce528422dfbd7e7fe1c.jpg
장르SF, 로봇, 모험, 액션
감독타케우치 요시오
기획시미즈 요시히로
쿠스미 타다시
각본노자키 토오루
원작데즈카 오사무
출연츠무라 마코토
마루야마 마키
코시미즈 아미[15]
오오츠카 히데오
이시즈카 운쇼[16]
쿠마이 모토코
치바 스스무
사토 유우코
소노베 케이이치
나카지마 토시히코
카와세 아키코
미야시타 에이지
카츠타 히사시
촬영나카야마 케이스케
캐릭터 디자인, 작화 감독세타니 신지
메카닉 디자인무라타 고로
나카카와 와타루
음악요시마츠 타카시
제작사파일:일본 국기.svg 데즈카 프로덕션, 파일:미국 국기.svg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수입사-
배급사파일:일본 국기.svg 주식회사 사라이
개봉일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9월 1일
상영 시간40분
제작비-
홈페이지데즈카 프로덕션 공식 소개 페이지

데즈카 프로덕션 공식 3분 유튜브 클립
예고편

시놉시스

행성간 우주선, 갈릴레오 II세 호에 탑승해 토성위성 타이탄으로 가게 된 아톰과 친구들. 그러나, 아무도 없을 타이탄에서 갑자기 정체불명의 존재에게 공격받게 된다.

그 정체는 외계에서 온 기계 생명체 IGZA로, 인류를 배제한 기계만의 세상을 만들고자 200만 년 동안 타이탄에서 로봇의 진화를 기다리며 은둔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큰 문제가 있었는데, 바로 IGZA의 몸에는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심겨져 있었고, 그 바이러스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열쇠는 다름 아닌 아톰의 몸. IGZA는 자신의 바이러스를 해독하기 위해 아톰을 노린다. 아톰은 과연 IGZA와의 싸움에서 인류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인가.

위의 2003년판 아톰으로부터 이어지는 공식 후속편 극장판.[17] 이 외에도 또 다른 극장판이 있을 수 있지만 확실한 기록이 남은 극장판은 이 작품밖에 없다. 일본 최초의 풀 장편 IMAX 애니메이션이며, 해외에 수출되지 않고 일본 한정[18]으로 개봉했기에 해외의 아톰 팬들에겐 알 사람만 아는 극장판이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딱 개봉만 했다는 것. DVD블루레이 같은 광매체 상품조차도 일절 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개봉 당시 몇몇 블로거의 리뷰 글과 예고편, 위의 3분 클립을 제외하고는 현재 이 영화의 풀버전을 볼 수 있는 방법이 아예 없다. 덕분에 해외의 아톰 팬들은 물론이고, 2005년에 본방사수를 놓친 현지 아톰 팬들마저도 DVD나 OTT 서비스 등을 해달라고 성화이다.[19] 너무 오래 전에 개봉해 필름이 유실된 게 아니냐는 설도 있지만, 개봉 이후 6년이나 지난 2011년에 갑자기 데즈카 프로덕션이 뜬금 없이 유튜브에 초반 3분 클립을 업로드해 놓은 걸 보면 그냥 데즈카 프로덕션 측에서 의도적으로 풀버전을 시중에 풀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


8. 여담[편집]


  • TV판 말고도 데즈카 오사무 애니메이션 시어터 한정 상영용으로 제작된 특별편이 3편이 있다. 이 특별편은 데자키 오사무가 감독했다. TV 방송용이 아니라 굉장히 어둡고 심각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쪽 결말은 원작에 가깝다.

  • 1980년대 판이 중화권에서 성공했다면 이 작품은 서양에서 히트해서 서양에서 아톰이라고 하면 보통 이 2003년 판을 말하는 것이다. 일본서도 소니 픽처스라는 거대 스폰서의 뒷배경에 힘 입어 당대 잘 나가던 가수들 위주로 짜여진 빵빵한 타이업과 함께 당시 끝물이던 셀 애니메이션의 절정를 보여주며 상당히 히트했다.
[1] 웹사이트에서 36시간 동안만 한정 공개되었으며, 기본적으로 본편의 장면들을 편집했지만 중간중간에 본편에 나오지 않은 추가 뮤비용 애니메이션 씬이 삽입되어 있다. 이 영상은 팬이 해당 뮤비를 내려받아서 화질을 업스케일링한 것.[2] 왜냐하면 청기사와 텐마 박사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동시에 스토리가 극도로 험악해지는 부분이 딱 25화부터이기 때문. 이를 통해 분위기 전환을 노렸을 것으로 추측된다. 청기사와의 갈등이 해소되고 마지막 3화를 남긴 시점에서는 오프닝이 다시 위의 True blue로 바뀐다.[3] 여담으로 지금 봐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OST와 연출, 퀄리티이다.[4] 해당 엔딩의 장면은 마지막 화의 마지막 장면과 이어진다.[5] 아톰이 로보타니아에 날아가던 미사일을 막다 사망한 48화에서 잠시 바뀐 ED.[6] 파멜라 히키, 대니 맥코이. 2003년판 아톰이 미.일 합작이기 때문에 미국인이 각본을 쓴 회차가 존재한다.[7] 마크 핸들러[8] 마크 핸들러[9] 래리 비스코프[10] 그 이전에는 《짱구는 못말려》가 편성됐으며, 11월 12일 종영 후 다음날엔 창사 특선만화 《생쥐와 야옹이》로 때웠다.[11] PSB 부산방송(현 KNN), TBC 대구방송(현 TBC), KBC, TJB, ubc, JTV, CJB, GTB 강원민방(현 G1방송), JIBS.[12] 아쉽게도 HD 방영은 아니다.[13] 히메카와 아키라 역시 그 점에 매우 아쉬움을 표했으며, 결국 후에 《PLUTO》와 비슷한 형식의 철완 아톰의 외전 만화인 《청기사》의 작가를 다시 한 번 맡게 되었으니 소원은 성취한 셈. 작가에 의하면 같은 만화를 두 번이나 맡을 순 없다고 거절했지만 결국 맡게 되었다고 한다.[14] 대놓고 등장인물이 칼빵을 맞아 피를 철철 흘리는 장면이라던가, 원작 애니메이션에서는 로봇 경비원이 괴한에게 공격당해 부서졌던 장면에 인간 경비원을 넣어버린다던가, 어린아이가 머리에 잔해를 맞고 피를 흘린 채로 기절한 장면이라던지, 유혈조차 등장하지 않았던 원작에 비하면 묘사에 거리낌 없는 편이다.[15] 극장판 오리지널 캐릭터 유나 역을 맡았다[16] IGZA역[17] 데자키 오사무가 제작한 외전 3편이 있지만 묘하게 2003년 본편과는 몇몇 캐릭터의 외견이나 스토리, 그 외에도 각종 디테일이 달라 이것이 2003년판 아톰과 완전히 동일한 세계관이라고 보기엔 어려운 점이 있다.[18] IMAX 계열의 상영 시설에서만 개봉하였다.[19] 당장 위에 올려진 3분 클립의 댓글창만 가봐도 영화 풀버전을 달라고 애걸하는 다양한 국적의 팬들을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04:25:16에 나무위키 ASTRO BOY 철완 아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