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O

덤프버전 :


THE WORLD NEEDS MORE ENTREPRENEURS[1]
이 행성에는 더 많은 주인공이 필요하다[2]
EO
파일:EO 리뉴얼 로고.jpg
회사명주식회사 이오스튜디오
창업자김태용 (CEO 겸 PD)
설립일2020년 4월 27일[3]
업종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유통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167길 12 송전빌딩 지하 1층
웹사이트
홈페이지파일:EO 글로벌 로고.jpg eoPLANET 파일:EO 글로벌 로고.jpg 홈페이지
소셜미디어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eo
플랫폼 현황파일:유튜브 아이콘.svg EO[GLOBAL]
구독자: 11.6만 명[기준]
조회수: 6,617,721회[기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EO 이오[KOREA]
구독자: 55만 명[기준]
조회수: 68,264,318회[기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EO Station[잠정중단]
구독자: 7.54천명[기준][4]
조회수: 168,171회[기준]
창업자 관련 링크
소셜미디어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3. 채널 및 콘텐츠
3.1. EO
3.1.1. Startup Entrepreneurs
3.1.2. 기타
3.2. EO 이오
3.2.1. 리얼밸리
3.2.2. Voyage: 혁신을 찾아 떠나는 항해
3.2.3. 글로벌 스타트업 인터뷰 (잠정 종료)
3.2.4. 태용의 the Real
3.2.5. Builders
3.2.6. Hyper Growth(초고속 성장 기업의 비밀)
3.2.6.1. 퓨처플레이 더 다큐멘터리
3.2.7. 나와 우리의 미래(나우미래)
3.2.8. MYSIDER(내 멋대로 사는 사람들)
3.2.9. 좋아하는 일이 업(業)이 된 사람들
3.2.10. 스타트업 드라마 리뷰
3.2.11. 비즈니스 퀘스트(공짜로 배우는 꿀잼 경영학)
3.2.12. 지미의 원스텝
3.2.13. 창업가 Peer Learning
3.2.14. 유니콘하우스
3.2.14.1. 진행 방식
3.2.14.2. 방영 목록
3.2.15. 워키토키(일에 진심인 사람들의 일 이야기)
3.2.16. 신일류: 새롭게 일하는 사람들👽
3.2.17. 🎬NOCUT: 무삭제 IR 시리즈
3.2.18. 기타
4. 여담



1. 개요[편집]


미디어 콘텐츠 스타트업 EO스튜디오가 운영하는 스타트업·벤처투자·미래 기술 혁신 전문 뉴미디어 채널. 글로벌 콘텐츠 채널 EO와 한국 콘텐츠 채널 EO 이오 두 채널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5]

'EO'는 'Entrepreneurship & Opportunities(기업가정신과 기회)'의 약자이며, 콘텐츠 제작과 운영을 총괄하고 있는 김태용 EO스튜디오 CEO의 이름 초성(ㅌㅇ)과 모양이 같다.[6]


2. 상세[편집]


창업자 김태용 CEO는 동국대학교 회계학과에 재학 도중 스타트업에 흥미를 느끼고 유아 가구 전문점 '몰리볼리', 휴대폰 케이스 전문점 'artShare', 대학생 정보·콘텐츠 앱 '트웬티', 미디어 스타트업 'ALT'[7] 등을 창업하였다. 그러나 네 차례 모두 사업 성장이 원활하지 않았고 결국 중단하였다.

창업 중단 이후 절치부심하여, 배낭 하나와 350만 원을 들고 2016년 여름경 무작정 미국 실리콘밸리에 가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 실리콘밸리에 가기 전 친형의 거주지인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2주 생활하는 동안, 실리콘밸리에서 활동하는 한국인들과 접촉하여 촬영 계획을 잡았다. 그 후 실리콘밸리로 날아가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을 생생하게 전하는 스토리를 영상으로 촬영했고, 이를 다듬어 <리얼밸리>라는 콘텐츠 시리즈를 2017년 9월 14일 개설한 '태용' 유튜브·페이스북 계정에 올리기 시작하였다. 이 시리즈 영상들은 두 달만에 400만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였으며, 메이저급 언론사에서도 흥미롭게 다룰 만큼 주목을 받았다. #.

이를 계기로 '스타트업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거듭났으며, 대한민국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다루는 <Voyage> 시리즈를 연이어 제작했다.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을 시작으로 한국 사회의 다양한 분야를 혁신하고 있는 창업가들의 인터뷰를 진행하여 영상을 올리고 있다. 수익 모델은 정부기관의 외주 등 EO 채널 연계 광고라고 밝혔다. 미국의 작가 팀 페리스나 동기부여 전문가 토니 로빈스를 목표로 하는 듯하며, 영상은 국내 영상 콘텐츠 시리즈 채널 '셀레브'나 '세바시'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본인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세바시 제작을 총괄하는 구범준 대표PD를 존경한다고 한다.

연계 유튜브 채널로 'EO Station'을 운영 중이며, 신한금융그룹과 손잡고 '시리즈 영 : 스타트업 도전기'[8]라는 채널도 만들어 공동 운영 중이다.

한동안 1인 유튜브 채널 '태용'으로 활동하다가 2019년 8월 6일 리브랜딩을 단행하여 EO라는 채널로 재탄생했으며,[9] 2020년 4월 27일 미디어 스타트업 'EO스튜디오'라는 이름으로 창업하였다. 이후 네스트컴퍼니, 퓨처플레이, 데이터블 등 벤처 투자사로부터 투자도 유치했다. 그리고 누가 유튜버 아니랄까봐 신재식 네스트컴퍼니 대표, 류중희 퓨처플레이 대표, 이종대 데이터블 대표 세 명과 함께 투자 유치 기념 합동 방송 영상을 찍었다.

2020년 상반기에 틱톡(TikTok)을 기반으로 교육 MCN 사업을 하는 뉴미디어 스타트업 '뉴즈'에 엔젤 투자자로 합류하는 등[10] # # 미디어 스타트업 생태계에 다각화된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 개인 페이스북 계정 페이지에 따르면 반려동물 등록 및 데이터 수집 플랫폼 '페오펫'을 개발해 운영하는 스타트업 '코스모스이펙트'에도 앤젤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2021년에 다소 정체된 모습을 보였다. 상반기 3개월여 동안 업로드한 영상 중 조회수 10만 회가 넘는 영상이 거의 없는데, 구독자 37만여 명에 50만 조회수를 넘긴 영상을 숱하게 보유한 채널로서는 비교적 아쉬운 성적이다. 한편으로는 소재 고갈을 우려하는 구독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다만 구독자 수는 9월 말 전후로 39.7만 명을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증가 추세다. 더 나아가 오리지널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 제작 사업과 더불어, 공식 홈페이지 내 이벤트 서브페이지(#)를 기반으로 실시간 질의응답 'AMA(Ask Me Anything)', 채용설명회, 컨퍼런스, 클래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11]

2021년 6월에는 예비 창업가 및 초기 창업가들을 위한 '피어러닝(Peer Learning)'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런칭하여 4주 간의 교육과 상호 피드백 커리큘럼으로 완성도 높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 8월에는 창업팀과 벤처투자자가 한 팀이 되어 사업 검증과 고속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스타트업 육성 오디션 '유니콘하우스(Unicorn House)'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 스타트업 콘텐츠를 좀 더 다채롭게 구성하는 동시에 스타트업 창업가들을 위한 교육·인맥·홍보·콘텐츠 플랫폼으로 확장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다.[12]

2021년 10월에 구독자 40만 명을 달성했다.

2022년 9월 1일, EO 팀과 비전에 관한 소개 영상을 시작으로 글로벌 콘텐츠 채널 'EO'를 신규 론칭했다. 이후 해당 채널에 실리콘밸리를 비롯한 세계 각지의 글로벌 스타트업들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으며, 국내 스타트업 콘텐츠에 주력하던 기존 채널을 'EO 이오'로 변경했다. 글로벌 채널 'EO'를 메인으로 하고 한국 채널 'EO 이오'를 연계 운영하면서 양대 축으로 삼는 글로벌 스타트업 콘텐츠 전문 미디어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비전을 내세우고 있다.


3. 채널 및 콘텐츠[편집]



3.1. EO[편집]


2022년 9월 1일 신규 런칭한 EO의 글로벌 채널. 첫 영상으로 EO 팀의 비전과 팀원들의 포부를 담은 인터뷰를 업로드하였으며, 글로벌 스타트업 콘텐츠를 연이어 업로드하며 글로벌 콘텐츠 시장을 겨냥한 미디어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글로벌 채널답게 인터뷰와 답변은 모두 영어로 진행되며, 한국어와 영어를 포함한 자막을 제공한다.

3.1.1. Startup Entrepreneurs[편집]


글로벌 EO의 메인 콘텐츠. 글로벌 스타트업 업계의 창업가들, 창업팀원들, 벤처투자가(VC)들, 기술 혁신 관련 학자와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전한다.

순서기업명(브랜드)인터뷰 대상자(직책)업로드 일자사업 모델
1AllbirdsTim Brown[13] & Joey Zwillinger (Co-CEO)2022.09.09.친환경 운동화 제작 및 판매
2Y CombinatorMichael Seibel[14] (Managing Director & Group Partner)2022.09.14.벤처 투자 및 컴퍼니빌딩
3Enuma(Todo)이수인 (CEO)2022.09.19.학습이 어려운 아이들도 쉽게 사용 가능한 디지털 교육 도구 개발
4EvernotePhil Libin (Founder)2022.09.29.메모, 파일 첨부, 웹페이지 스크랩 등을 결합한 문서 생산 및 클라우드 동기화 서비스
5Mmhmm[15][16]Phil Libin (Founder)2022.10.08.화면 속 사람, 발표자료, 채팅창 등을 자유자재로 배치하며 '재미난 소통'을 가능케 하는 화상회의 솔루션 플랫폼[17]
6Nas DailyNuseir Yassin (Founder and CEO)2022.10.10.전 세계인 인터뷰 및 문화 촬영 영상을 게시·공유하며 동기부여 영상을 제작하는 소셜미디어 기반 콘텐츠 스튜디오
7More Labs이시선 (Founder)2022.11.02.숙취 해소 음료 생산 및 유통
8Ramper이시선[18] (Founder)2022.11.11.웹3.0 기반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 및 판매
9DeelAlex Bouaziz & Shuo Wang (Co-Founder)2022.11.18.기업의 해외 지사 설립, 직원 채용, 계약, 비용 지급 등 글로벌 진출에 관한 통합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SaaS 서비스
10Poul Kim (Associate Dean and CTO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tanford University)2022.11.23.[19]
11~12Noom정세주 (Co-Founder and CEO)2022.12.04.
2022.12.08.
사용자의 행동 양식 변화를 유도하여 개인 건강 관리를 돕는 헬스케어 앱 서비스
13Troy Malone (Company Building Mentor)2022.12.12.[20]
14Business Canvas(Typed)[21]김우진 (Co-founder and CEO)[22]2022.12.13.파일과 문서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찾아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문서 협업 툴
15Joshua Zerkel (Head of Global Engagement Marketing)2022.12.21.[23]
16~17FiscalNoteTim Hwang (Founder and CEO)2023.02.03.
2023.02.08.
법률·정책·판례 데이터 수집 후 AI로 분석·가공해 기업·정부기관에게 공급하는 규제 예측 및 법적 영향 대응 솔루션
18Notion Labs(Notion)Ivan Zhao (CEO) & Akshay Kothari (COO) (Co-Founder)2023.02.14.메모, 문서, 지식 정리, 프로젝트 관리, 데이터베이스, 공개 웹사이트 기능을 제공하는 올인원 생산성 소프트웨어 및 협업툴
19Speakeasy Labs(Speak)Connor Zwick (CEO) & Andrew Hsu (CTO) & Sean Cha (VP of Operations) (Co-Founder)2023.02.15.AI 음성 인식 기술 기반 대화형 영어 학습 앱
20IYUNODavid Lee[24] (Founder and CEO)2023.02.22.영상 언어 번역 및 자막 제작 기반 영상 스트리밍 미디어 콘텐츠 현지화(localization) 서비스
21Li Jiang (Director of AIRE of Stanford University)2023.03.02.[25]
22Plug and PlaySaeed Amidi (Founder and CEO) & Alireza Masrour (General Partner)2023.03.07.벤처 투자 및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26]
23TomeKeith Peiris (CEO) & Henri Liriani (CPO) (Co-Founder)2023.03.19.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인공지능(AI) 프리젠테이션 생성 툴[27]
24~25Jina Kim (Former Operation Manager of Carta[28])2023.03.30.
2023.04.07.
[29][30]
26SnowflakeFrank Slootman[31] (Chairman and CEO)2023.04.12.기업 빅데이터를 분석해 제품 및 서비스 관련 예측과 수익화 등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32]
27Partly[33]Levi Fawcett (CEO) & Nathan Taylor (COO) (Co-Founder)2023.04.27.자동차 부품 매매 전문 전자상거래 플랫폼
28WhisperAndrew Song (Co-Founder and CEO)2023.05.09.AI 기반 소리 증폭 및 인지 특화 보청기 제조
29K9 VenturesManu Kumar[34] (Founder and Chief Firestarter)2023.05.18.벤처 투자[35]
30FountainSean Behr[36] (CEO) & Keith Ryu[37] (Co-Founder)2023.05.22.자동화 HR 기술 기반 시간제 일자리 고용 중개 플랫폼
31MarqVision(MarqCommerce, MarqContents)Mark Lee[38] (CEO) & DK Lee[39] (CBO) (Co-Founder)2023.05.31.AI 기반 위조 상품 및 불법 복제 콘텐츠 감별·차단을 통한 브랜드·IP 보호 서비스
32Daniel Chong (Animation Artist)[40]2023.06.07.[41]
33NAVER Z이정석[42] (CEO[43] and US CEO)2023.06.17.증강현실(AR) 기반 메타버스 아바타 플랫폼 개발 및 운영[44]


3.1.2. 기타[편집]


  • Entrepreneurs Shorts
영상에서 담지 못한 글로벌 스타트업 창업가 인터뷰 이야기를 Shorts 영상으로 전달한다.
  • Team EO
글로벌 채널을 런칭하면서 업로드한 첫 영상. EO 팀의 비전과 팀원들의 자기소개 및 포부를 담고 있다.


3.2. EO 이오[편집]


2017년에 스타트업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1인 미디어 채널 '태용'으로 시작한, EO의 시초 격인 채널. '리얼밸리(Real Valley)'라는 이름의 실리콘밸리 인터뷰 시리즈로 시작해 한국 스타트업 인터뷰 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있다. 현재 EO의 국내 메인 채널.

3.2.1. 리얼밸리[편집]


2017년 9월 14일 1인 미디어 '태용'으로 시작한 EO의 첫 콘텐츠 시리즈.
혁신의 중심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활동하는 글로벌 기업 직원, 대학 교수, 창업자들이 들려주는 리얼 실리콘밸리 이야기.


순서기업명인터뷰 대상자업로드 일자비고
리얼밸리 시즌1
1~2픽사김성영 촬영감독2017.09.15.
2017.09.19.
유튜브 채널 'Skim On West' 운영자
382Labs[A]이시선 대표2017.09.22.페이스북, 우버, 테슬라에서 근무
4리프트김영교 디자이너2017.09.28.
5우버김형진 머신러닝 엔지니어2017.10.10.
2017.10.13.
6(A사)[45]권재명 데이터과학자2017.10.17.
7구글박선경 UX 디자이너2017.10.24.
8삼성전자장현석 UX 디자이너2017.11.02.실리콘밸리에 있는 삼성전자 미국지사에서 근무
9이베이최영재 엔지니어2017.11.02.
102K Sports지민웅 엔지니어2017.11.26.
11Off2윤일원 UX 디자이너2017.11.26.
12Go Pro서준용 엔지니어2017.12.28.
13Tapas Tokki정진구 사장2017.12.17.
14알카크루즈배정융 창업자2018.01.11.
15PWC이해성 IT컨설턴트2018.01.27.한인 테크 커뮤니티 'K-Group' 공동부회장
리얼밸리 시즌2
16아마존방호남 엔지니어2018.08.21.
17이베이강경구·조유준 개발자2018.08.21.
18폴 킴 교육대학원 부학장 겸 CTO2018.09.06.스탠퍼드대학교 재직 중
19에어비앤비유호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2018.09.13.'실리콘밸리를 그리다' 저자
트위터 엔지니어
옥소폴리틱스 대표
20오라클송창걸 PM 겸 엔지니어2018.09.17.
21코너그룹박정리 IPO전문컨설턴트2018.09.19.
22페이스북이근배 디자이너2018.10.15.
23디즈니한승헌 프로덕트 디자이너2018.10.16.
24SAP[46]김희준 디자이너2018.10.29.실리콘밸리에 있는 SAP 미국지사에서 근무
25~26정은진 부교수2018.11.07.
2018.11.14.
블록체인 전문가
샌프란시스코대학교 재직 중
27파운틴류기백 대표2018.12.06.
28우버강태훈 엔지니어2019.01.15.
29카운실김혜진 경영진 비서2019.01.16.前 카운실 경영진 비서
로블록스 경영진 비서
30TGC유재현 게임제작자2019.01.22.
31ILM장유진 R&D 엔지니어2019.02.12.
32센드버드김동신 대표2019.02.25.
33에디캣김민규 대표2019.03.05.
34어웨어백산 부사장2019.03.06.행정고시 재경직 수석
35타파스미디어[47]김창원 대표2019.03.13.
36나이키정욱진 머천다이징 디렉터2019.04.02.
37스냅김진영 데이터과학자2019.04.09.
리얼밸리 시즌3[48]
38김씨마켓라이언 킴(김대용) 대표2022.06.30.뉴욕 지역 기반 아시아계 신선식품 전자상거래·유통 스타트업
39한기용 엔지니어2022.07.06.삼성전자, 야후!, 유데미에서 근무
야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및 디렉터
40로이스 킴(정김경숙) 디렉터2022.07.28.구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디렉터[49]


3.2.2. Voyage: 혁신을 찾아 떠나는 항해[편집]


EO의 현 메인 콘텐츠 시리즈.[50]
한국에서 스타트업을 일군 창업자들과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힘써온 벤처투자자들, 프리랜서들, 연구자들이 들려주는 인생 경험, 가치관, 비전 이야기.
한국에서 창업한 외국인, 해외에서 창업한 한국인,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은 제품·서비스를 창업한 외국인이 등장하기도 한다.

순서기업명(브랜드)인터뷰 대상자업로드 일자사업 모델
1크래프톤[51](배틀그라운드)장병규 의장2018.01.29.게임 제작 및 유통
2보이저엑스남세동 대표2018.02.02.딥러닝 및 AI 기술 개발
3리얼리티 리플렉션노정석 창업자2018.02.22.VR 게임 및 디지털 휴먼 기술 개발
482Labs[A]이시선 대표2018.03.08.숙취 해소 음료 생산 및 유통
5와디즈신혜성 대표2018.05.11.크라우드펀딩 플랫폼
6카카오임지훈 前 CEO2018.04.12.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기반 모빌리티, 포털, 간편 결제, 인터넷뱅킹, 엔터테인먼트
7이미나 홍보이사2018.04.24.[52]
8팀블라인드(블라인드)김성겸 공동창업자2018.05.19.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사이트
9럭스로보오상훈 대표2018.05.20.교육용 로봇, 소프트웨어 교구 및 마이크로OS 개발
10이노마드박혜린 대표2018.05.21.휴대용 소형 수력발전기 개발
11~12비바리퍼블리카(토스)이승건 대표2018.05.21.
2018.05.29.
간편 송금 서비스 기반 은행, 증권, 간편 결제 등 종합 핀테크 서비스
13알토스벤처스한 킴 대표2018.06.13.벤처 투자
14보이저엑스남세동 대표2018.06.21.딥러닝 및 AI 기술 개발
15리얼리티 리플렉션노정석 대표2018.07.30.VR 게임 및 디지털 휴먼 기술 개발
16이은지 마케터2018.09.27.[53]
17AFI(뒤끝)권오현 대표2018.11.19.게임 서버를 위한 백엔드 개발 서비스[54]
18스파크랩김유진 대표2018.11.26.글로벌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19얼라이트 크리에이티브(얼라이트모션)매튜 파인버그 대표2018.12.13.모바일 모션 그래픽 앱
20집닥박성민 대표2018.12.26.인테리어 비교 견적 플랫폼
21룬랩황룡 대표2019.01.04.스마트 생리컵 개발
22비바리퍼블리카(토스)이승건 대표2019.01.09.간편 송금 서비스 기반 은행, 증권, 간편 결제 등 종합 핀테크 서비스
23렌딧김성준 대표2019.01.11.P2P 금융 서비스
24뤼이드(산타토익)장영준 대표2019.01.18.학습의 취약점을 찾아 집중적으로 공부하게 해주는 AI 기반 교육 솔루션
25엔씽김혜연 대표2019.01.23.1인용 농업 용구 및 푸드테크 기술 개발
26플래너리(헤이조이스)이나리 대표2019.01.25.여성 직장인들 위한 커리어 교육 멤버십 커뮤니티
27최성진 대표2019.01.30.[55]
28벤디스(식권대장)조정호 대표2019.01.31.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식권 서비스
29코노랩스민윤정 대표2019.02.11.일정 관리 전문 AI 비서 툴 개발
30삼분의일전주훈 대표2019.02.16.편안한 수면을 위한 침대 매트리스 생산 및 판매
31왓챠원지현 공동창업자[56]2019.02.18.영화·드라마·다큐멘터리·애니메이션 OTT 서비스
32열정에기름붓기표시형 대표2019.02.18.SNS 기반 모바일 콘텐츠 및 다이어리 제작, 소셜 살롱 '크리에이터클럽' 운영
33문용식 원장2019.02.21.[57]
34콜버스박병종 대표2019.03.11.전세버스 대절 가격 비교 및 중개 서비스[58]
35이유미 에디터2019.04.02.[59]
36플레이리스트박태원 대표2019.04.20.웹드라마 시리즈 제작 및 유통
37삼진어묵박용준 대표2019.04.26.어묵 생산 및 판매
38웰트노혜강 공동창업자2019.04.29.건강 관리용 스마트 벨트 개발
39링크하우스(홈버튼)김태이 대표2019.05.15.부동산 임대 관련 자산 관리 솔루션
40더브레드블루문동진 대표2019.06.04.비건 빵 생산 및 판매
41슈피겐김대영 대표2019.08.07.IT 액세서리 제작 및 판매
42임정욱 센터장2019.08.27.[60][61][62]
43ING스토리(작심독서실)강남구 대표2019.08.28.프리미엄 독서실 프랜차이즈
44스푼 라디오[63]최혁재 대표2019.09.04.모바일 라디오 콘텐츠 앱
45카카오벤처스정신아 대표2019.09.10.벤처 투자
46클래스101[64]고지연 대표2019.09.11.준비물을 챙겨주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
47링크샵스서경미 대표2019.09.18.동대문시장 기반 패션 B2B 플랫폼
48퓨처플레이류중희 대표2019.09.30.벤처 투자 및 컴퍼니빌딩[65]
49단추로끓인수프(고스트키친)최정이 대표2019.10.05.공유 주방 서비스
50꽃을담다이인표 대표2019.10.11.프리미엄 꽃차 브랜드
51매쉬업엔젤스이택경 대표2019.10.24.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52핏펫(어헤드, 디텍트)고정욱 대표2019.10.30.스마트폰 기반 반려동물 관리 기술 개발
53LBS테크(G-MOC, G-EYE)이시완 대표2019.11.05.시각장애인을 위한 위치 기반 검색엔진
54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66]김봉진 창업자2019.11.06.음식 배달 대행 서비스
55오이스터에이블(오늘의분리수거)배태관·염주용·이창희 공동창업자2019.11.14.재활용 데이터 기반 쓰레기 분리수거 솔루션
56포인핸드이환희 대표2019.11.16.유기동물 입양 및 실종동물 찾기 서비스
57디스에이블드김현일 대표2019.11.21.발달장애인 예술가 작품 전시 및 판매
58지속가능발전소윤덕찬 대표2019.11.22.ESG 기반 기업 평가 서비스
59장병규 위원장2019.11.28.[67]
60엔코드(디코드)정준영 대표2019.12.30.패션 명품 해외 직구 서비스
61어메이징 브루잉 컴퍼니김태경 대표2020.01.02.수제 맥주 양조장 펍
62~63퓨처플레이류중희 대표2020.01.06.
2020.01.07.
벤처 투자 및 컴퍼니빌딩
64곳장허지연 대표2020.01.14.광주 지역 기반 로컬 브랜드 플리마켓
65에누마(토도수학)이수인 공동창업자2020.01.21.학습이 어려운 아이들도 쉽게 사용 가능한 디지털 교육 도구 개발
66옐로우독제현주 대표[68]2020.01.30.소셜 임팩트 전문 벤처 투자
67VCNC(타다)[69]박재욱 대표[70]2020.02.25.승차 거부 없는 카풀 서비스
68김성준 박사2020.03.02.[71]
69데일리(데일리호텔)[72]신재식 공동창업자2020.03.03.호텔 빈방 및 레스토랑 빈자리 당일 할인 예약 서비스
70거북선컴퍼니(터틀체인)염승헌 대표2020.03.11.동대문시장 도매 및 소매 주문 정산 서비스
71이상인 디자이너2020.03.12.[73]
72키튼플래닛(브러쉬몬스터)최종호 대표2020.03.16.어린이를 위한 스마트 양치 가이드 서비스
73나우픽[74]송재철 대표2020.03.19.도심형 생필품 창고를 이용한 온라인 주문 물품 30분 내 빠른 배달 서비스
74한국신용데이터(캐시노트)김동호 대표2020.03.30.자영업자 대상 경영 관리 솔루션
75캐치잇플레이(캐치잇 잉글리시)최원규 대표2020.03.31.게임 형태의 영어 학습 앱
76스티키핸즈김민우 대표2020.04.02.솔리테어 시리즈 게임 개발 및 유통
77제주맥주문혁기 대표2020.04.06.수제 맥주 생산 및 판매
78버드레터(매드 포 댄스)양선우 대표2020.04.09.캐릭터 기반 방치형 클릭커[75] 모바일 댄스클럽 확장 게임 개발·운영
79클라썸이채린 대표2020.04.13.강의별 소통 및 온라인 교육 환경 지원 플랫폼
80왓챠박태훈 대표2020.04.20.영화·드라마·다큐멘터리·애니메이션 OTT 서비스
81비주얼(아몬즈)허세일 대표2020.04.22.쥬얼리 제품 전자상거래 플랫폼
82디자이노블신기영 대표2020.05.07.AI 기반 패션 디자인 생성 서비스
83패스트트랙아시아박지웅 대표2020.05.11.패스트캠퍼스(성인교육)[B], 패스트파이브(공유 오피스), 패스트인베스트먼트/패스트벤처스(벤처 투자) 운영
84마린이노베이션차완영 대표2020.05.19.플라스틱 및 목재 대체를 위한 친환경 신소재 개발
85코드스테이츠김인기 대표2020.05.26.후불제 소득 공유 모델 기반 코딩 교육 부트캠프
86패스트트랙아시아박지웅 대표2020.05.28.패스트캠퍼스(성인교육)[B], 패스트파이브(공유 오피스), 패스트인베스트먼트/패스트벤처스(벤처 투자) 운영
87캡스톤파트너스송은강 대표2020.06.08.벤처 투자
88플랜즈커피최준혁 대표2020.06.16.무인 커피 카페
89메이아이박준혁 대표2020.06.23.오프라인 매장에 영상 인식 AI 기반 솔루션 제공
90동강오리강호순 사장2020.06.24.오리고기 식당
91거꾸로캠퍼스이성원(에코) 대표,
이정백(쩜백) 사회과 교사,
이상수(콜라) 학생,
김혜린(메롱) 학생
2020.06.25.미래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실험 학교
92로컬스티치김수민 대표2020.06.26.코리빙 및 코워킹 공유 공간 제공
93매일봄최용기 대표2020.07.08.감자떡, 옹심이 생산 및 판매
94매스프레소(콴다)이종흔·이용재 공동대표2020.07.14.학습문제를 촬영해 업로드하면 풀이해주는 AI 기반 자기주도학습 솔루션 제공
95서울로보틱스이한빈 대표2020.07.21.자율주행 라이다 기술 개발
96육아대장엄명섭 대표2020.07.22.육아용품 판매 및 유통
97EO스튜디오(EO)김태용 대표[76]2020.07.27.스타트업 콘텐츠 제작 및 미디어 유통
98다자요남성준 대표2020.07.28.시골집 보수공사를 통한 여행객 대상 로컬 숙박시설 장기 임대 서비스
99드림앤퓨처랩스이용덕 대표2020.07.30.창업을 꿈꾸는 직장인 대상 기업인 사관학교 프로그램
100파운트김영빈 대표2020.08.03.AI 투자 솔루션(로보어드바이저)에 따른 자산 투자 관리
101용현산업윤은현 대표2020.08.05.몰드(건축자재 제작을 위한 틀) 제작 및 판매
102업사이클리스트김경준 대표2020.08.10.친환경 브랜드 소개 편집샵
103인코테크곽일영 대표2020.08.19.특수 소재 인코넬 가공 및 공급
104어썸FNC(쓰담슈즈)백승민 대표2020.08.20.운동화처럼 편한 구두 제작 및 판매
105스타스테크양승찬 대표2020.08.25.불가사리로 만든 친환경 제설제 생산 및 판매
106누비랩김대훈 대표2020.08.30.AI 푸드 스캐너 기반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솔루션 제공
107대산보리밥이문규 대표2020.09.02.보리밥 식당
108마이리얼트립이동건 대표2020.09.09.여행객 - 여행 상품 - 현지 가이드 매칭 플랫폼
109금산진생협동조합정원식 대표2020.09.16.인삼 제품 판매 및 유통
110김성모 만화작가2020.09.17.[77]
111APR(에이프릴스킨, 메디큐브)김병훈 대표2020.09.24.화장품 제조 및 판매, 유통
112프라이머권도균 대표2020.09.28.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113플라잎정태영 대표2020.09.29.물건 식별 및 분류 전문 로봇팔 AI 소프트웨어 개발
114로덱은병선 대표2020.09.30.안과 진료용 장치, 의자 생산 및 공급
1153W최재원 대표2020.10.05.택배 로봇을 통한 단지 내 물류 배송 인프라 제공
116코봇민중후 대표2020.10.07.비대면 배식 로봇, 간호사 간호 보조 로봇, 실내 자율주행 열감지 로봇 기술 개발
117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
이재은 비트센싱 대표,
김재승 모빌테크 대표
2020.10.12.(경기도자율주행센터 입주 기업 소개 1부)
118황토코리아협동조합배종문 대표2020.10.14.흙침대 및 매트리스 생산, 판매
119뱅크샐러드김태훈 대표2020.10.16.자신이 쓴 돈 내역을 분석해주는 금융 생활 관리 앱
120로앤굿민명기 대표2020.10.17.변호사 매칭 법률 플랫폼
121문용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2020.10.18.[78]
122코니바이에린(코니아기띠)임이랑 대표2020.10.20.아기띠 전문 제작 및 판매
123하정우 리더2020.10.22.[79]
124밀알김면식 대표2020.10.24.시니어를 채용해 만든 모션베드 판매 및 유통
125레페리[80]최인석 대표2020.10.25.뷰티 콘텐츠 크리에이터 MCN 및 뷰티 제품 전자상거래
126카찹이원재 공동창업자2020.10.26.국내 모빌리티 서비스를 한눈에 보여주는 모빌리티 통합 정보 제공 플랫폼
127꽃을닮다정윤희 대표2020.10.28.꽃집 운영 및 꽃 배달 서비스
128슈퍼브AI김현수 대표2020.10.29.AI 개발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데이터 라벨링 및 가공, 관리 솔루션 제공
129정지성 SOSLAB 대표,
홍준 모라이 공동대표
2020.11.01.(경기도자율주행센터 입주 기업 소개 2부)
130더존비즈온송호철 상무2020.11.05.ERP 솔루션 중심 빅데이터 등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131머스트잇조용민 대표2020.11.11.해외 명품 병행수입을 통한 명품 유통 전자상거래 플랫폼
132오피니언라이브차지윤 빅데이터센터 연구원2020.11.12.실시간 모니터링 및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133윤석재 컨택모빌리티 대표,
정홍종 웨이티즈 CTO,
오승택 에이모 대표,
통합관제센터 직원
2020.11.13.(경기도자율주행센터 입주 기업 소개 3부)
13448 Hour Discovery
K-magazine,
INNOPLEXUS,
Zephframe,
Mushlabs,
Nanolog Audio,
Octeria,
VECHNOLOGY
Ratmir Derda 대표,
Lucero Santiago 대표,
Jacob Semmler 마케팅 매니저,
Joseph Hill 대표,
Mauro Guercia 대표,
Adam Wilson Brown 대표,
Mustapha Gharbi 대표,
Wai Yan 대표
2020.11.15.(국내 글로벌창업경진대회 'K-Startup 그랜드챌린지'에 참여한 외국인 스타트업들)
135디자인스펙트럼김지홍 대표2020.11.21.UX 디자인 및 프로덕트 디자인 커뮤니티
136노타채명수 대표2020.12.02.딥러닝 모델 압축 솔루션 제공
137별따러가자김경목 공동창업자2020.12.07.모션 센서 블랙박스를 통한 이륜차 안전사고 예방 라이더 로그 솔루션 제공
138어썸레이김세훈 대표2020.12.08.엑스레이 재료 분석 기술 기반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제거 스마트 환기 장치 개발
139리하베스트민명준 대표2020.12.11.버려지는 맥주 부산물, 식혜 부산물 등을 활용한 푸드업사이클링 기술 개발 및 공급
140이유 사회적협동조합최재영 이사2020.12.16.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승차 공유 플랫폼 서비스
141소리를보는통로(소보로)윤지현 대표2020.12.22.청각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음성-텍스트 변환 소프트웨어(STT) 개발
142딱따구리유지은 대표2020.12.23.영유아의 성인지감수성을 키워주는 성교육 콘텐츠 개발
143코코넛사일로김승용 대표2020.12.26.동남아시아 지역 기반 화물차 물류 플랫폼
1443J(체킷)박지현 대표2020.12.28.비대면 성병 검사 서비스
145Seekrtech[81](Forest: 집중하기)Shaokan Pi 대표2021.01.04.집중 유형 분석 심리테스트 기반 스마트폰 사용 시간 자가관리 앱[82]
146모션케어컴퍼니지용진 대표2021.01.06.목재를 활용한 필라테스 기구 제작 및 판매
147칠명바이오[83]공희준 대표2021.01.07.곤충으로 만든 반려동물 사료, 곤충이 먹는 사료, 식용곤충 식품 등 생산 및 판매
148헤이스타즈송진주 대표2021.01.11.K-Culture 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대상 한국어 학습 앱
149플라네타리움김재석 대표2021.01.13.오픈소스 블록체인 기반 게임 엔진 개발
150스타스테크양승찬 대표2021.01.19.불가사리로 만든 친환경 제설제 생산 및 판매
151텐디김찬웅 대표2021.01.25.데이터 분석 기반 고객의 미래 행동 예측 및 마케팅 솔루션 제공
152싸이츠백창기 대표2021.01.26.폐열 에너지 회수에 쓰이는 실리콘 열전 소자 개발
153스트라드비젼김준환 대표2021.01.27.카메라 센서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영상 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154스켈터랩스조원규 대표2021.01.29.AI 핵심 기술 기반 대화 기술 및 사용자 행동 예측 기술 개발
155띵스플로우(헬로우봇)[84]이수지 대표2021.02.03.AI 챗봇 캐릭터 '라마마와 친구들'을 통한 운세, 타로, 심리진단, 채팅 앱 서비스
156와이낫미디어(콬TV, 와다닷)이민석 대표2021.02.08.웹드라마 시리즈 제작 등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유통, 연예 매니지먼트
157페이얍,
리플라,
디보션푸드
[85]
허경석 대표,
서동은 대표,
박형수 대표
2021.03.10.(제9회 정주영창업경진대회 수상 스타트업들)
158프렌트립(프립)임수열 대표2021.03.10.여가 액티비티 플랫폼
159플림스이수경 대표2021.03.12.친환경 운동화 브랜드
160제브라앤시퀀스오동근 대표2021.03.13.스마트시티에 최적화된 스마트 횡단보도, 철주 및 단속, 수색, 사고 예방을 위한 ICT 융합 폴 제작 및 공급
161더쎄를라잇브루잉(유동골뱅이맥주, 쥬시후레쉬맥주)전동근 대표2021.03.18.창업자가 직접 레시피를 기획해 만든 수제 맥주 판매 및 유통
162스타코프(차지콘)안태효 대표2021.03.24.전기차 충전용 지능형 콘센트 개발 및 공급
163딜리셔스(신상마켓)장홍석 부대표2021.03.25.동대문시장 의류 도매상 및 소매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164버킷플레이스(오늘의집)이승재 대표2021.03.31.인테리어 정보 공유, 구매, 설치 플랫폼
165맘편한세상(맘시터)정지예 대표2021.04.12.베이비시터와 부모를 연결하는 아이 돌봄 플랫폼
166메디블록 (메디패스, 닥터팔레트)고우균 공동대표2021.05.03.블록체인 기반 의료 정보 유통 플랫폼
167마켓핏랩(해킹그로스[86])정성영[87] 대표 겸 길드마스터2021.05.16.스타트업 및 기업 내 신사업팀 대상 그로스해킹 컨설팅
168모빌스그룹(모베러웍스)모춘(대표 겸 유튜버),
대오(브랜드 디자이너)
2021.05.20.테마형 메시지를 담아 의류, 제품, 디자인을 제작 및 판매하는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169인스팅터스(이브)박진아 대표2021.05.20.비건 소재의 콘돔, 유기농 러브젤 등 제작 및 판매
170비트바이트(플레이키보드)안서형 대표,
김현곤 개발자, 구형모 개발자
2021.05.26.단어와 표현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반응하는 모바일 키보드 캐릭터 테마 앱
171윤지우 쇼호스트2021.05.27.[88]
172원스토어이재환 대표[89]2021.06.03.모바일 앱, 게임, e-Book, 모바일 기기 등을 판매, 유통하는 국내 앱마켓
173SNP랩이재영 대표2021.06.08.다수의 웹과 앱에 분산된 개인 데이터 현황을 한번에 보여주는 마이데이터 권리 보호 '데이터 지갑' 서비스
174심플프로젝트컴퍼니(위쿡)김기웅 대표2021.06.13.요식업자들에게 공유주방, 브랜딩, 메뉴 인큐베이팅 등 창업 전반에 걸쳐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
175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김범준 대표[90]2021.06.14.음식 배달 대행 서비스
176모두의연구소김승일 소장[91]2021.06.16.누구나 자신이 하고 싶은 연구를 마음껏 실행할 수 있는 연구 공간
177알체라황영규 대표2021.06.21.카메라에 들어가는 얼굴 인식 AI 알고리즘 기술 개발
178아임포트[92]장지윤 창업자2021.07.04.개발자들을 위한 무료 전자 결제 연동 서비스
179세이프웨어신환철 연구소장2021.07.07.추락사고 시 생존율을 높여주는 스마트 웨어러블 낙상보호복 개발
180마드라스체크(플로우)이학준 대표2021.07.15.메신저의 업무 프로젝트 관리 기능을 결합한 올인원 협업툴 개발
181몰로코[93]안익진 대표2021.07.20.머신러닝과 클라우드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효율화 솔루션 개발
182래디쉬미디어(래디쉬)[94]이승윤 대표2021.07.30.웹소설 집단창작 및 유통 플랫폼
183SOAP건축사사무소권순엽 대표2021.08.10.디자인 건축 스튜디오
184지오로직심유진 대표2021.08.18.공간 디자인 및 인테리어 설계를 다루는 건축 사무소
185퍼밋박선기 대표[95]2021.08.22.도시 농업 및 시설 원예를 ICT로 해결하는 스마트팜
186트리플김연정 공동대표2021.08.23.개인의 여행 계획, 예약, 기록을 간편하게 해주는 초개인화 여행 가이드 플랫폼
187펫박스(스트롱독)[96][97]이현석 대표[98]2021.09.05.반려동물 용품 정기배송 서비스 및 견사 제작 공급
188그린랩스(팜모닝)신상훈 대표[99][100]2021.09.14.데이터 기반의 농업 기술 자동화 스마트팜 및 농업 경영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 서비스
189센드버드[101]김동신 대표2021.09.15.메시징 API를 이용한 채팅 기능 탑재 솔루션
190조용민 매니저2021.09.16.[102]
191마이리얼트립[103]이동건 대표2021.09.22.여행객 - 여행 상품 - 현지 가이드 매칭 플랫폼
192자비스앤빌런즈(삼쩜삼)김범섭 대표2021.09.30.종합소득세 신고, 환급 정보 알림 및 환급 서비스
193권명국 감독2021.10.06.[104]
194매쉬업엔젤스이택경 대표2021.10.18.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195미소빅터 칭 대표2021.10.20.O2O 홈클리닝 기반 종합 홈서비스 플랫폼
196지그재그[105]서정훈 대표[106][107]2021.10.27.여성 패션 쇼핑몰 큐레이션 앱[숏다큐멘터리]
197시디즈[108]나창명 글로벌이커머스팀장[109]2021.10.29.의자 제조 및 디자인, 연구·개발[110]
198대풍EV자동차백옥희 대표2021.11.03.농업용 소형 전기차 제조 및 판매
199브랜드X코퍼레이션(젝시믹스)박희종 부대표[111][112]2021.11.05.D2C 애슬레저 패션 브랜드 등을 운영하는 미디어 커머스 플랫폼
200더커머스(원셀)문성환 대표2021.11.09.셀러를 위한 쇼핑몰 통합 관리 솔루션
201모델솔루션우병일 대표,
이나라 선임연구원
2021.11.10.글로벌 대기업들의 신제품 시뮬레이션을 돕는 하이피델리티 목업 제작
202딥인사이트(딥인미러)오은송 대표2021.11.12.AI 기반 3D 센싱 카메라 개발
203뉴즈(메이저스 네트워크)김가현 대표2021.11.13.틱톡 기반 지식·교육 숏폼 콘텐츠를 만드는 MCN
204위대한상상(요기요)[113]강신봉 대표2021.11.15.음식 배달 대행 서비스[114]
205에타일렉트로닉스(Eta-ON)남정용 대표2021.11.18.차세대 무선 전력 전송·충전 솔루션 개발
206돌봄드림(HUGgy)김지훈 대표2021.11.22.발달장애인용 공기 주입식 스마트 조끼 개발
207의식주컴퍼니(런드리고)조성우 대표[115]2021.11.24.모바일 기반 비대면 세탁 서비스
208TBU(일렉베리)백상진 대표2021.11.25.찾아가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209라이트브라더스김희수 대표[116]2021.11.27.자전거 전문 중고 거래 플랫폼
210테스트웍스(AI웍스, 에지AI, 블랙올리브)윤석원 대표2021.11.29.데이터 라벨링 기반 AI 데이터 수집·가공 원스톱 솔루션[117]
211프리윌린(매쓰플랫)권기성 대표[118]2021.12.04.학생들의 강점·약점을 분석해 맞춤형 문제집을 제작해주는 수학강사용 문제은행 서비스
212엔젤스윙박원녕 대표2021.12.06.건설 현장을 드론 촬영으로 데이터화하는 가상화 맵핑 솔루션
213알파서클(알파뷰)신의현 대표[119]2021.12.23.실사 가상현실(VR) 영상 화질 개선 솔루션
214프로젝트 렌트최원석 대표2021.12.25.팝업 스토어 형식으로 브랜드 스토리를 전달하도록 돕는 오프라인 공간 대여 플랫폼
215크래프톤(배틀그라운드)김창한 대표2021.12.27.게임 제작 및 유통[120]
216빅픽처인터렉티브(게임코치온라인, GCL 지씨엘)송광준 대표[121]2021.12.29.온라인 게임 교육 학원 기반 e스포츠 종합 서비스 플랫폼[숏다큐멘터리]
217김태훈 소프트웨어 엔지니어2022.01.04.[122][123]
218천인우 前 엔지니어2022.01.10.[124]
219나인와트,
왓섭,
스탁키퍼(뱅카우)
김영록 대표,
김준태 대표,
안재현 대표
2022.01.12.(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주관 '데이터스타즈' 프로그램 우수 스타트업들)
220데브시스터즈(쿠키런: 킹덤)김령 CMO2022.01.13.모바일 게임 개발 및 유통[125]
221비바리퍼블리카(토스)강수영 디자인플랫폼팀 리드2022.02.11.간편 송금 서비스 기반 은행, 증권, 간편 결제 등 종합 핀테크 서비스
222웰니스강태순 대표2022.02.25.친환경 세라믹 충진재 및 충격 흡수용 배수 패드 기술 기반 기능성 인조 잔디 개발
223발란최형록 대표2022.03.15.현지 명품 부티크를 온라인화하여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명품 유통 전자상거래 플랫폼
224드라마앤컴퍼니(리멤버)최재호 대표2022.03.17.온라인 명함 관리 앱서비스 기반 비즈니스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225에이블랩스[126]신상 대표2022.03.21.바이오 실험용 보급형 자동화 로봇 개발
226두들린(그리팅)이태규 대표2022.03.23.기업용 채용 관리 솔루션 및 구직자-채용담당자 중개 플랫폼
227비프로컴퍼니(비프로일레븐)강현욱 대표2022.03.24.인공지능 기반 축구 경기 분석 및 데이터 공유 플랫폼
228무신사김성겸(검색상품개발팀 리더),
이동녘(프로덕트성장팀),
한태영(전시개발팀),
심호진(인프라보안팀 SRE파트장)
2022.03.27.패션 커뮤니티 기반 온라인 패션 전자상거래 플랫폼[127]
229레브잇(올웨이즈)강재윤 대표2022.03.29.공동구매 매칭을 통해 최저가 구매를 실현하는 모바일 팀구매 전자상거래 플랫폼
230쉐코,
조인앤조인
권기성 대표,
진해수 대표
2022.03.31.(현대자동차와 현대차 정몽구재단이 소셜벤처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H-온드림 임팩트 스타트업 그라운드' 프로그램 우수 스타트업들)
231콘텐츠그룹 재주상회(iiin 매거진)고선영 대표2022.04.01.제주 지역 기반 콘텐츠 큐레이션 및 정기간행물 발행, 브랜딩, 디자인, 공간 개발·관리
232트레드앤그루브이온 대표2022.04.04.폐타이어 업사이클링을 통한 신발 생산 및 판매
233크레이빙콜렉터(콜렉티브),
내이루리(옹고잉),
세샤트(노팅)
이은비 대표,
정현강 대표,
이윤지 대표
2022.04.08.(정주영창업경진대회 출신 스타트업들)
234케일라(박주현)2022.04.13.[128]
235라포랩스(퀸잇)최희민·홍주영 공동대표2022.04.19.X세대 4050 여성들을 위한 패션 전자상거래 플랫폼
236클로버추얼패션부정혁·오승우 공동대표[129]2022.04.21.3D 의상 시뮬레이션 기술 기반 의상 디자인·제작·생산·유통·검색 전반에 관한 솔루션 제공
237CNT테크전화성 대표2022.06.07.벤처 투자[130]
238해녀의부엌김하원 대표2022.06.19.제주 해녀들이 잡은 해산물로 만든 요리를 해녀들의 연극 공연과 함께 즐기는 오프라인 체험 관광 공간
239힐링페이퍼(강남언니)홍승일 대표[131][132]2022.06.26.성형외과 병원 정보와 시술 후기를 공유하는 미용 의료 정보 플랫폼[숏다큐멘터리]
240비즈니스캔버스(타입드)김우진 대표2022.06.27.지식 관리에 중점을 둔 문서 협업 솔루션
241애자일소다최대우 대표2022.07.06.제조·물류·금융·설계·제어·에너지 등 기업 운영 전반에 걸친 의사결정을 자동화하여 최적의 결정을 돕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개발
242허브넷컴퍼니[133]권영식 대표2022.07.08.농산물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잔존 농산물 가격·물량 예측 및 판매·거래 서비스
243GDF랩장경익 대표2022.07.12.AI 기술 기반 동영상 화질 실시간 개선 서비스
244에어오더김영진 대표2022.07.14.F&B 브랜드 매장들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스마트 포스(POS) 솔루션
245한국자전거나라이용규 대표2022.07.15.내·외국인들을 위한 한국 투어 가이드 서비스 및 인문학 강연,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
246DB퍼스트(탱고)이동훈 대표2022.07.18.개인 화물트럭 사업자(트럭커) 전용 실시간 위치 기반 소셜미디어 및 광고·데이터 플랫폼
247씨메스이성호 대표2022.07.19.공장식 대량생산 시스템과 일상 속 허드렛일들을 전면 자동화하기 위한 AI 기술 기반 로봇 자동화 솔루션
248와이즈솔루션장성식 공동대표2022.07.20.AI 기반 웹 크롤링을 통해 웹페이지 데이터를 가공·시각화해 제공하는 데이터 솔루션
249재미있는연구소(21세컨즈)박재현 COO2022.07.21.상품 구매자들의 리뷰 콘텐츠로 만족감 높은 소비를 돕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250테크빌리지(리햅웨어)최동훈 대표2022.07.22.뇌질환 환자들의 운동력과 인지기능 회복을 돕는 VR 게임형 재활치료 솔루션


3.2.3. 글로벌 스타트업 인터뷰 (잠정 종료)[편집]


해외 스타트업 창업자들의 스토리를 다룬 콘텐츠 시리즈.

2021년 1월 코너 즈윅 대표 인터뷰 영상을 두 편에 걸쳐 업로드한 이후 한동안 새 콘텐츠가 없다가, 2022년 5월에야 새 영상이 올라왔다.

EO가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설정한 만큼 추후 많은 콘텐츠가 올라올 것으로 보였으나, 2022년 9월 1일 EO가 글로벌 채널을 아예 새로 개설하고 글로벌 스타트업 인터뷰 콘텐츠를 그 채널에 업로드하기 시작하면서 후속 콘텐츠는 사실상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순서기업명(브랜드)인터뷰 대상자업로드 일자사업 모델
1~2Speakeasy Labs(스픽)코너 즈윅(Connor Zwick) 대표2021.01.12.
2021.01.14.
AI 음성인식기술 기반 영어 스피킹 학습 앱
3THE SANDBOX세바스티앙 보르제(Sebastien Borget) 공동창업자[134]2022.05.06.NFT와 블록체인을 통해 창작물을 소유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4Riot Games제러미 리(Jeremy Lee) 리그 오브 레전드 제작 총괄2022.07.24.게임 개발·유통 및 e스포츠 대회 주최·운영


3.2.4. 태용의 the Real[편집]


스타트업 이벤트 'the Real'[135]에 출연하는 사람들의 인사이트를 미리 소개하는 콘텐츠.
영상 시청 후 출연자들과 김태용 대표가 주최하는 오프라인 토크쇼를 신청한 후 참석해 '최대한 짧은 강연 + 솔직한 Q&A'를 번갈아 하면서 피상적이지 않은, 아주 깊이 있고 쉽게 들을 수 없는 이야기까지 다가가는 것이 컨셉이다.


순서인터뷰 대상자업로드 일자비고
1표시형 열정에기름붓기 대표2019.03.18.
2~3박정준 이지온글로벌 대표2019.03.27.
2019.04.22.
- 아마존에서 12년간 근무
- '나는 아마존에서 미래를 다녔다' 저자
4유호현 에어비앤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2019.05.06.- '실리콘밸리를 그리다' 공저자
- '이기적 직원들이 만드는 최고의 회사' 저자
- 前 트위터 엔지니어
- 現 옥소폴리틱스 대표
5신현성 테라폼랩스 공동창업자2019.05.16.- 티몬 공동창업자
- 現 차이코퍼레이션 대표
6박태원 플레이리스트 대표2019.06.10.
7유호현 에어비앤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2019.06.25.- '실리콘밸리를 그리다' 공저자
- '이기적 직원들이 만드는 최고의 회사' 저자
- 前 트위터 엔지니어
- 現 옥소폴리틱스 대표
8주영민 구글 마케터(그로스 매니저)2019.07.15.- '가상은 현실이다' 저자


3.2.5. Builders[편집]


해당 산업 분야에서 창업을 통해 새로운 길을 열어가는 건설자들의 이야기.

순서기업명(브랜드)인터뷰 대상자업로드 일자사업 모델
1글로벌네트웍스[136](미트박스)서영직 공동창업자2019.12.04.육류 거래 중개 플랫폼
2크리에이트립임혜민 대표2019.12.20.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여행 콘텐츠 및 커머스 제공
3와이즐리김동욱 대표2020.05.21.면도기 구독 서비스
4앨리스김재원·김수인 공동창업자2020.05.31.온라인 코딩 교육 플랫폼
5스터디파이김태우 대표2020.06.15.온라인 교육 서비스
6화이트큐브(챌린저스)최혁준 대표2020.07.01.돈을 걸고 계획한 바를 이루도록 돕는 목표 달성 서비스


3.2.6. Hyper Growth(초고속 성장 기업의 비밀)[편집]


EO의 Short 다큐멘터리 시리즈. 단기간에 고속으로 성장하고 있는 스타트업들을 짧은 다큐 형식으로 소개.

순서기업명(브랜드)인터뷰 대상자업로드 일자사업 모델
1백패커(아이디어스)김동환 대표2020.05.14.수공예품 및 수제 먹거리 전자상거래 플랫폼
2파운트김영빈 대표2021.03.14.AI 투자 솔루션(로보어드바이저)에 따른 자산 투자 관리
3레페리최인석 대표2021.05.07.뷰티 콘텐츠 크리에이터 MCN 및 뷰티 제품 전자상거래
4지놈앤컴퍼니배지수 대표2021.07.12.몸 속 미생물을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3.2.6.1. 퓨처플레이 더 다큐멘터리[편집]

Hyper Growth 시리즈 제작진이 벤처 투자사 '퓨처플레이'와 협업하여 만든 70여 분 가량의 장편 다큐멘터리. # 해당 영상은 2021년 5월 24일에 EO 채널에 게시되었다. 벤처 투자와 컴퍼니 빌딩을 통해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퓨처플레이의 미션과 비전, 그리고 퓨처플레이로부터 투자를 받은 '10년 뒤의 뉴노멀을 만들'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출연한 인터뷰 대상자는 다음과 같다(출연 순서대로 기재).


순서인터뷰 대상자직책사업 모델
1류중희퓨처플레이 대표
2한재선그라운드X 대표 (퓨처플레이 공동창업자)
3황성재라운지랩 대표 (퓨처플레이 공동창업자)
4이예하뷰노 이사회 의장AI를 활용한 의료기기 개발
5김수종이노스페이스 대표소형 위성 발사체 개발
6정예솔퓨처플레이 투자심사역
7최재웅퓨처플레이 디렉터
8이한빈서울로보틱스 대표자율주행 라이다에 쓰이는 AI 소프트웨어 개발
9정인혜퓨처플레이 커뮤니케이션 담당 리드
10이윤행에이딘로보틱스 대표로봇용 안전 센서 개발
11이진하스페이셜 CPO (스페이셜 공동창업자)VR/AR 기술을 활용한 오프라인 공간 협업 미팅 플랫폼
12유호현옥소폴리틱스 대표정치 성향 테스트 기반 정치 SNS 데이터 플랫폼
13김태용EO스튜디오 대표스타트업 콘텐츠 제작 전문 미디어
14길영준휴이노 대표웨어러블 의료기기(심전도 측정 워치 등) 개발
15권오형퓨처플레이 투자 파트너
16강현진·이승미EDWO 공동창업자개인의 체형에 맞는 옷 추천·구매 서비스 '히든피터'
17이원규퓨처플레이 대외협력 파트너


3.2.7. 나와 우리의 미래(나우미래)[편집]


EO와 교육부의 콜라보 콘텐츠 시리즈.
미래를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해 창업가, 전문직 종사자, 연구자, 시민운동가, 투자자 등 다양한 진로 선택을 한 사람들이 주는 인사이트.

순서인터뷰 대상자업로드 일자비고
나우미래 시즌1
1공희준 칠명바이오 대표[137]2019.05.09.고등학생 창업자[138]
2한재권 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2019.05.14.
3박찬재 두손컴퍼니[139] 대표2019.05.16.소셜벤처 기업가, 성균관대 인액터스[140] 출신
4전채원 프로그래머2019.05.21.나우버스킹[141] 사업개발팀 소속
5장영화 OEC랩 CEO2019.05.23.前 변호사
6지한별 화이트해커2019.05.28.라온화이트햇 소속
7오상훈 럭스로보 대표2019.05.30.
8김승직 대목수2019.06.04.
9김물길 작가2019.06.11.여행작가 겸 화가
10박종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2019.06.13.
11임승혁 밸류컴포짓 대표2019.06.27.
12김옥현 셰프2019.07.02.우송대 외식조리전공
13김헌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2019.07.04.
14김하늬 유쓰망고 대표2019.07.11.
15안서형 비트바이트 대표2019.07.23.
16폴 킴 미국 스탠퍼드대 교육대학원 부학장 겸 CTO2019.07.25.
17조동인 미텔슈탄트 대표2019.08.01.
18최재붕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2019.08.13.
19김유민 녹색도시연구소 소장2019.08.22.
20김서준 해시드 대표2019.09.03.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21박영민·권민수 록야 공동대표2019.09.05.
나우미래 시즌2
22한재권 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
박혜린 이노마드 대표,
공희준 칠명바이오 대표
2020.12.01.
23고산 에이팀벤처스 대표2020.12.27.한국우주인배출사업 예비 우주인[142]


3.2.8. MYSIDER(내 멋대로 사는 사람들)[편집]


My(나의) + Side(~을 중심으로 한) + er(사람). 외부의 기준에 따라 나뉘는 ‘인싸’와 ‘아싸’를 넘어, 나만의 기준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마싸’들의 이야기.

순서인터뷰 대상자업로드 일자비고
1이광희(롯데주류 광고마케팅팀)2019.06.12.청하 SNS 담당자(일명 '청하 오빠')
2박종원 디자이너2019.06.19.크리에이티브 디렉터
3이지수 다노 대표2019.07.03.유튜브 채널 'DanoTV' 운영 중(다노언니 제시)
4박남주 크리에이터2019.07.17.유튜브 채널 '법알못 가이드' 운영 중
5이신혁 크리에이터2019.07.31.유튜브 채널 '티키틱' 운영 중


3.2.9. 좋아하는 일이 업(業)이 된 사람들[편집]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몰입하다가 그 일을 평생의 업으로 삼아 행복하게 땀 흘리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순서기업명(브랜드)인터뷰 대상자업로드 일자사업 모델비고
1알알이거둠터송예슬 대표2020.03.31.유기농 주스 생산 및 판매
2밸런스독이근형 대표2020.04.17.애완견 심리치료 스쿨
3게리킴게임즈김건희 작가2020.04.23.보드게임 제작 및 판매- 보드게임 전문 작가
4황석희 영화번역가2020.05.13.- '보헤미안 랩소디', '데드풀', '스파이더맨' 등 번역
5김나이 액셀러레이터2020.06.03.- 커리어 액셀러레이터
6유포리아안진영 대표2020.06.14.성인용품 판매 및 유통
7문경수 탐험가2020.06.28.- 과학탐험가
8두낫띵클럽(이승희·김규림)2020.07.19.- 現 무소속 백수 듀오
- 前 우아한형제들 마케터
9김도윤 만화가2020.08.18.- 과학만화가
10신예희 프리랜서2020.11.16.- 22년차 프리랜서
- 前 만화가·작가·번역가
- 前 팟캐스트 진행자
- 前 내레이션 녹음 담당자
11김나이 액셀러레이터2021.02.01.- 커리어 액셀러레이터


3.2.10. 스타트업 드라마 리뷰[편집]


tvN 드라마 '스타트업'의 스토리와 현실 스타트업, 벤처 투자 업계를 비교 분석하는 리뷰 콘텐츠.
MC인 김태용 대표를 비롯해 벤처 투자자인 류중희 퓨처플레이 대표와 조가연 슈미트 투자팀장, AI 스타트업 창업자인 이수지 띵스플로우 대표와 장영준 뤼이드 대표가 패널로 출연했다.

순서영상 제목업로드 일자
1드라마 스타트업 속 '서달미' 리뷰2020.12.06.
2스타트업 드라마 속 '한지평' 리뷰2020.12.09.
3퀴즈 시험으로 CEO 뽑은 회사, 입사하고 싶은가요?2020.12.12.
4드라마 속 회사 '삼산텍' 지분율 리뷰2020.12.14.
5개발자 1명 인수에 10억 원, 남는 장사일까?2020.12.29.


3.2.11. 비즈니스 퀘스트(공짜로 배우는 꿀잼 경영학)[편집]


2021년 4월에 새로 시작한 비즈니스 지식 콘텐츠 시리즈.
EO스튜디오의 김태일 PD와 노지은 디자이너가 제작했으며, 김태일 PD가 내레이션을 맡아 진행한다.

순서영상 제목업로드 일자내용
1돈은 팀쿡이 다 버는데 왜 다들 잡스만 좋아할까?2021.04.07.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와 후임 CEO 팀 쿡을 비교하며 알아보는 '기업가(Entrepreneur)'와 '사업가(Businessman)'의 차이
2쿠팡 100조 비결, 이 단어 하나로 종결한다.2021.04.29.누적 적자 4조인 쿠팡이 기업가치 100조? 이익에 연연하지 않고 규모의 고속성장을 추구하는 경영 방법, '영업 레버리지'
3커다란 성공은 반드시 이 모양으로 찾아옵니다, 그러니까...2021.05.13.최고의 성공을 이룬 CEO들의 인생에서 한번쯤 꼭 보이는 가혹한 시련의 계곡과 극복의 순간, J-curve와 손익분기점(BEP)
4우리 회사는 싫지만 김갑생할머니김은 좋은 이유2021.06.08.김갑생할머니김 미래전략실 이호창 본부장[143]을 통해 새삼 깨닫는 기업가들의 미션, 비전, 세계관에 대한 몰입의 혁신적 가치


3.2.12. 지미의 원스텝[편집]


2021년 5월에 시작한 콘텐츠 시리즈.
진행을 맡은 호스트 '지미'는 EO의 두 번째 크리에이터로, 벤처 투자자인 신재식 네스트컴퍼니 대표의 닉네임이다.[144]

매주 화요일에 업로드되며, 나머지 부분은 신재식 대표의 개인 유튜브 채널 '지미의원스텝'에 업로드된다.

순서기업명(브랜드)게스트업로드 일자사업 모델
1버즈빌이관우 대표2021.05.08.데이터 분석을 통한 리워드형 광고 플랫폼
2채널코퍼레이션(채널톡)최시원 대표2021.07.28.고객 전환율 및 재방문율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고객 응대 메신저 및 관리 서비스
3번개장터이재후 대표2021.08.04.취향 기반 중고 물품 거래 플랫폼


3.2.13. 창업가 Peer Learning[편집]


예비 창업가, 초기 창업가들이 완성도 높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2021년 6월 한 달간 진행한 교육&피드백 프로그램.
커리큘럼을 끝까지 완수한 참가자들 중 투표로 선정된 3인에게는 본 채널에 출연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는데, 현재까지 창업가 Peer Learning 참가자의 콘텐츠임을 명시적으로 밝힌 영상이 없는 것으로 볼 때 아직 업로드되지 않은 듯.
6월에 진행한 피어러닝 프로그램은 종료되었으나, EO 홈페이지에 8~9월 프로그램도 공지되어있는 것을 보면 피어러닝 프로그램 자체는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사업계획서 작성 프로그램', '비즈니스 모델(BM) 단기 집중 검증 프로그램', '원-스텝 MVP(최소기능제품) 개발 프로그램' 등이 올라와 있으며, 각각 김태용 대표, 류중희 퓨처플레이 대표, 신재식 네스트컴퍼니 대표가 '피어리더(Peer Leader)'가 되어 진행한다. 전체적으로 '앞서간 창업가의 이야기를 듣고, 동료 창업가와 함께 배운다'는 구조다.

3.2.14. 유니콘하우스[편집]


유니콘하우스
UNICORN HOUSE
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
시청 등급해당 없음
방영 플랫폼
파일:유튜브 로고.svg
방영 기간
ON AIR

2021년 10월 31일 ~
방영 시간매주 일요일 저녁 8시
장르웹예능, 스타트업, 서바이벌
제작EO Studio, 재믹스 스튜디오
공간 지원슈피겐
제작 투자코나인베스트먼트
상금 지원Google Play
제작 지원Google Play, 데스커, 모두싸인, 아산나눔재단
총 상금7,000만 원
참가 스타트업12팀
기간8주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국내 최초 육성형 스타트업 서바이벌 오디션 콘텐츠.

EO스튜디오와 재믹스스튜디오가 공동제작하고 코나인베스트먼트가 제작투자를, 구글 플레이가 상금 지원을, 구글 플레이와 모두싸인이 제작 지원을 한다. 스타트업 팀과 VC 멘토들이 한 팀을 이루어 2달에 걸친 집중 육성을 통해 고속성장 스타트업을 만든다는 것이 프로그램의 개요다. 4곳의 벤처캐피탈이 참여하며, 이 4곳을 대표해 나온 투자자들이 심사위원 겸 멘토로 활약할 예정이다.

3.2.14.1. 진행 방식[편집]


12개의 스타트업이 8주간 가장 빠르게 성장하기 위해 경쟁하는 과정을 담았으며, 누적 투자액 3억 원 이하인 초기 스타트업 400여 곳이 지원했다고 한다. 서류평가를 통해 예선 진출팀 34곳을 선발했고, 이 팀들은 사업계획 3분 발표와 질의응답을 통해 투자자(하우스) 4인 중 3인 이상으로부터 '유니콘'을 받아야[145]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다.

예선을 통해 12팀을 선발하여 본선에 진출시킨 후, 스타트업 팀이 투자자(하우스)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하우스 1곳당 스타트업 3곳을 매칭한다. 이들은 8주 동안 함께 성장하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하고, 가장 많이 성장한 상위 5팀이 파이널 무대에 진출한다. 이 중 1위 팀은 5,000만 원, 2위 팀은 1,500만 원, 3위 팀은 500만 원의 상금을 받으며, 사무용 가구를 지원받는 등 다양한 도움을 얻을 것이라고 한다.

2021년 10월 31일에 시작된 본방송에서 하우스 4곳에 1장씩 총 4장의 '와일드카드'를 부여하며, 탈락한 팀의 잠재력이 아깝다고 판단될 경우 하우스 마스터들의 재량으로 와일드카드를 사용해 각 1팀씩을 본선으로 진출시킬 수 있다는 규정이 추가로 밝혀졌다.

3.2.14.2. 방영 목록[편집]


첫 만남
순서참여 투자사참여 투자자업로드 일자비고
1패스트벤처스박지웅 대표2021.08.16.
퓨처플레이류중희 대표
네스트컴퍼니신재식 대표
소풍벤처스최경희 파트너
하우스[146] 마스터들의 이야기
순서하우스하우스 마스터[147]업로드 일자비고
1패스트벤처스[148]박지웅 대표[149]2021.09.01.패스트벤처스 홈페이지
2소풍벤처스[150]최경희 파트너2021.09.03.소풍벤처스 홈페이지
3퓨처플레이류중희 대표2021.09.03.퓨처플레이 홈페이지
4네스트컴퍼니신재식 대표2021.09.07.네스트컴퍼니 홈페이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Episode 1. 예선 (2021.10.31.)
순서참여 스타트업[151]하우스별 평가[152][153][154]결과
기업명(브랜드)대표자사업 모델패스트벤처스소풍벤처스네스트컴퍼니퓨처플레이
1코스모스이펙트(페오펫)최현일강아지 모바일 등록 및 생애주기 데이터 수집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탈락
2듀이(포이컵)임지원디스크형·탐폰형 월경 생리컵 제조 및 판매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탈락
3태성파트너스공희준반려동물용 친환경 알레르기 처방 사료 개발탈락
4팬시오렌지임예성친환경 플라스틱 라이프스타일 제품 제조?????[C]
5옐로우 워터(도넛레터)정재익보상형 Q&A 기반 경험 지식 커머스 플랫폼?????[C]
621도이승현결혼식 통합 관리 솔루션 개발?????[C]
7PGRD(프로그라운드)김태완보이스코칭 기반 비대면 달리기 앱?????[C]
8루트릭스안정록데이터 수집 기반 수목 유통 플랫폼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진출
9큐밋(케미진로)이소민청소년용 진로 설계 포트폴리오 플랫폼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탈락
10웜미들컴퍼니김재익만능 핫첩 소스 개발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
와일드카드
진출
11버닛(번핏)정학균운동 계획을 돕는 운동 매니저 앱?????[C]
12브루메타강재석?[D]?????[C]
13아이피랩 서울이해성?[D]?????[C]
14이노바이드(덴트링크)국진혁치과와 기공사를 중개하는 업무툴 개발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진출
15블랙탠저린(코콘)김상이퍼스널 컬러 및 신체 데이터 기반 패션 큐레이션·쇼핑 앱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진출
16이너시아김효이유기농 천연 생리대 개발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진출
17온더룩이대범데이터 기반 패션 검색·쇼핑 앱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진출
18이퀄노영조초소형 전기화물차 개발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탈락
19한달어스김준형실천 중심 커뮤니티 학습 앱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진출
20커버링(리클)강성진배달 쓰레기 수거 서비스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진출
21에이블랩스신상바이오 실험용 보급형 자동화 로봇 개발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진출
22아루(자기만의방)이명진여성을 위한 성 지식 공유 플랫폼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
와일드카드
진출
23제시키친제시 킴푸드 스타트업을 위한 위탁생산 공유 공장[155]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
(와일드카드)
탈락[진출]
24렙맥스이창규영상 기반 헬스 커뮤니티 앱탈락
25피치두김찬기노화 억제 전문 클렌징 제품 개발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탈락
26잉클(NAZARE)김재천공장 설비 제어용 데이터 융합 소프트웨어 솔루션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파일:유니콘하우스 로고 투명.png진출
예선 결과 총 12팀 본선 진출 확정[156]

예선 진출팀이 총 34팀이라고 했는데, 10월 31일 1회 방송에서는 26팀만 등장했다. 나머지 8팀이 2회 방송에 등장할 가능성도 있지만, 1회 말미에 잉클 팀이 마지막 합격자라고 밝힌 것으로 볼 때 이날 방송에 나오지 않은 8팀은 모두 탈락했으며, 분량이 통편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패스트벤처스 박지웅 멘토와 소풍벤처스 최경희 멘토는 심사 내내 와일드카드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이 중 박지웅 멘토는 와일드카드 사용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다만 최경희 멘토가 와일드카드를 사용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탈락한 팀들 중 1팀이 본선에 진출할 길이 열렸다. 본선에 총 12팀을 진출시켜야 하는데 심사 결과 11팀만 통과해서 그런 듯하며, 와일드카드 사용으로 생환할 1팀은 2회 방송에서 밝혀질 예정. 예고편 편집점을 잘 아는 EO 제작진


Episode 2. 하우스 매칭 (2021.11.07.)
순서본선 진출 스타트업[157]하우스별 영입 의사[158][159]매칭 결과
기업명(브랜드)대표자사전 선호 하우스패스트벤처스
박지웅 대표
박병열 파트너
소풍벤처스
최경희 파트너
한상엽 대표
퓨처플레이
류중희 대표
권오형 파트너
네스트컴퍼니
신재식 대표
1한달어스김준형패스트벤처스선택선택선택퓨처플레이
2온더룩이대범네스트컴퍼니(2차 매칭 확정)
3이너시아김효이패스트벤처스선택[160]선택패스트벤처스
4잉클김재천네스트컴퍼니선택네스트컴퍼니
5블랙탠저린(코콘)김상이패스트벤처스선택패스트벤처스
6커버링(리클)강성진패스트벤처스선택소풍벤처스
7에이블랩스신상퓨처플레이선택퓨처플레이
8웜미들컴퍼니김재익네스트컴퍼니선택네스트컴퍼니
9루트릭스안정록퓨처플레이선택선택선택퓨처플레이
10아루(자기만의방)이명진퓨처플레이[161]선택소풍벤처스
11이노바이드(덴트링크)국진혁패스트벤처스선택선택패스트벤처스
12제시키친제시 킴소풍벤처스선택소풍벤처스
2차 매칭온더룩이대범네스트컴퍼니[162]네스트컴퍼니
하우스 매칭 결과
패스트벤처스(박지웅 하우스) - 이너시아, 블랙탠저린, 이노바이드
소풍벤처스(최경희 하우스) - 커버링, 아루, 제시키친
퓨처플레이(류중희 하우스) - 한달어스, 에이블랩스, 루트릭스
네스트컴퍼니(신재식 하우스) - 잉클, 웜미들컴퍼니, 온더룩

11월 7일에 올라온 2회 방송에서 최경희 멘토의 와일드카드 사용 결정에 따라 본선에 진출하게 된 팀이 제시키친임이 밝혀졌다.

2회 방송은 '하우스 매칭'으로 진행됐으며, 각 하우스가 스타트업 팀들에게 어필하여 3팀씩 매칭되는 방식이다. 하우스들은 그린라이트를 밝혀 스타트업 팀에 대한 영입 의사를 밝히고, 스타트업 팀들은 이를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팀에 대해 둘 이상의 하우스가 동시에 영입 의사를 표할 경우 해당 팀은 하우스를 고를 수 있으나, 매칭을 희망하는 하우스가 없을 경우 2차 매칭으로 순번이 넘어가게 된다. 예선에서 하우스가 스타트업 팀의 합불을 선택했다면 하우스매칭에서는 거꾸로 된 셈(...)이라고 하지만, 하우스들이 모두 영입 의사를 표하지 않으면 스타트업 팀이 2차 매칭 후순위로 밀린다는 점에서 입장이 완전히 바뀌었다고 보긴 어렵다.
신재식 대표 홀로 나온 네스트컴퍼니를 제외하고 다른 3곳은 2인이 함께 나왔다. 하우스 대표자들과 스타트업 대표들이 자유롭게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어필할 수 있는 1:1 하우스 영업 시간이 10분간 주어졌고, 이후 곧바로 하우스 매칭이 진행되었다.


Episode 3. 하우스 육성 (2021.11.14.)
순서하우스스타트업 팀하우스별 미션
1네스트컴퍼니잉클, 웜미들컴퍼니, 온더룩회사의 7년 뒤를 구체적으로 생각해보기
2소풍벤처스커버링, 아루, 제시키친특정 고객 집단을 제대로 인터뷰하여 인사이트 도출하기
3패스트벤처스이너시아, 블랙탠저린, 이노바이드회사가 1년 안에 망할 수도 있는 이유 최대 10가지 찾기
4퓨처플레이한달어스, 에이블랩스, 루트릭스최대한 많은 고객을 만나 그들의 고통을 찾고 회사가 풀어야 할 고객의 문제를 제대로 정의하기
미션 수행 여부 평가에 따라 하우스별로 각 1팀씩 탈락
2팀씩 생존해 다음 라운드로 진출 예정

3회 방송부터는 상호 매칭된 스타트업 팀과 하우스 간에 본격적인 8주간의 성장 프로젝트가 펼쳐진다. 각 하우스의 멘토들은 자신들의 창업과 투자 경험을 바탕으로 스타트업 팀들에게 세세한 조언을 건네며, 스타트업 팀들은 이를 수용하여 고속성장을 하기 위한 시스템 만들기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하우스별로 제시한 미션을 각 스타트업 팀들이 수행하되, 이 수행 내용 평가에 따라 각 1팀씩 총 4팀이 탈락하고 8팀만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게 된다는 프로그램 규정이 전달됐다. 탈락은 이제 없으려니 했는데 결국 또 서바이벌임을 깨닫고 얼굴이 어두워지는 스타트업 대표님들 세 팀 다 붙는 방법은 없느냐는 류중희 대표의 질문에 단호하게 '없다'고 답하는 잔인한 제작진


Episode 4. 개별 미션 발표 (2021.11.21.)
순서하우스하우스별 미션생존 팀탈락 팀
1패스트벤처스회사가 1년 안에 망할 수도 있는 이유 최대 10가지 찾기블랙탠저린, 이너시아이노바이드
2네스트컴퍼니회사의 7년 뒤를 구체적으로 생각해보기잉클, 온더룩웜미들컴퍼니
3소풍벤처스특정 고객 집단을 제대로 인터뷰하여 인사이트 도출하기아루, 커버링제시키친
4퓨처플레이최대한 많은 고객을 만나 그들의 고통을 찾고 회사가 풀어야 할 고객의 문제를 제대로 정의하기한달어스, 에이블랩스루트릭스
미션 수행 결과에 따라 총 4팀(이노바이드, 웜미들컴퍼니, 제시키친, 루트릭스) 탈락
하우스별 2팀씩 총 8팀 다음 라운드(1대1 배틀) 진출
1대1 배틀 라운드 진행을 위해 서로 다른 하우스에 속한 스타트업 간 대진표 작성
순서스타트업 대진[163]승자 선정 기준 지표
1네스트컴퍼니 온더룩 vs. 블랙탠저린 패스트벤처스퍼널 지표와 리텐션[E]
2네스트컴퍼니 잉클 vs. 에이블랩스 퓨처플레이충성고객의 제품·서비스 만족도[164]
3퓨처플레이 한달어스 vs. 아루 소풍벤처스퍼널 지표와 리텐션[E]
4패스트벤처스 이너시아 vs. 커버링 소풍벤처스사업 검증 및 고도화 정도
심사위원단으로부터 낮은 점수를 받은 한쪽은 탈락하는 방식으로 1대1 배틀 라운드 진행 예정
1대1 배틀 라운드를 통해 총 4팀 탈락, 4팀만이 다음 라운드 진출 예정

4회 방송은 이전 회차에서 각 하우스 멘토들이 제시했던 미션을 스타트업 팀들이 수행하고, 그 결과를 스타트업 대표들이 발표한 후 탈락 팀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진행됐다. 미션 수행 결과 발표를 들은 하우스 멘토들의 평가 결과 이노바이드, 웜미들컴퍼니, 제시키친, 루트릭스가 각각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특히 웜미들컴퍼니와 제시키친의 탈락이 확정되면서, 예선 때 와일드카드를 받고 생존해 올라온 팀 중 아루만이 유일하게 살아남아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게 되었다.

4팀이 탈락하고 8팀만이 생존해 8강전으로 치러지는 다음 라운드는 1대1 배틀로, 공통된 성과 지표를 두고 두 스타트업 팀이 겨루어 패배한 쪽이 탈락하는 방식이다. 진행자인 김태용 대표와 하우스 멘토 4인의 논의 결과 대진표와 성과 지표 항목이 위와 같이 결정되었다. 온더룩 vs. 블랙탠저린은 패션 대첩, 잉클 vs. 에이블랩스는 공돌이 대첩(...) 5회 방송부터는 본격적인 1대1 배틀이 시작된다. 스타트업계의 쇼미더머니 디스 배틀이 되는 것 아닌가 했는데 그렇게까지는 안 한다고 한다


Episode 5~8. 1대1 배틀 (2021.11.28.~2021.12.09.)
순서대결 팀[165]특별 심사위원단 평가 결과[166][167]승리 팀(진출)패배 팀(탈락)
김일한정성영심규섭임정욱메이글 김전화성황희철
5회소풍 아루 vs. 한달어스 퓨플소풍소풍퓨플퓨플소풍퓨플퓨플한달어스아루[진출]
6회네스트 온더룩 vs. 블랙탠저린 패스트네스트네스트패스트네스트패스트네스트네스트온더룩블랙탠저린
7회소풍 커버링 vs. 이너시아 패스트패스트소풍소풍소풍패스트패스트패스트이너시아커버링[168]
8회네스트 잉클 vs. 에이블랩스 퓨플네스트퓨플네스트퓨플네스트퓨플퓨플에이블랩스잉클
1대1 배틀을 통해 총 4팀 탈락
한달어스, 온더룩, 이너시아, 에이블랩스 파이널 라운드 진출 확정
패자부활전을 통해 아루가 추가로 생환, 총 5팀이 파이널 라운드 진출

1대1 배틀데스매치은 파이널 라운드로 가기 위한 마지막 단계로 진행된다. 4회 방송에서 짠 대진표에 따라 서로 다른 하우스에 속한 스타트업 팀 2곳이 1대1로 대결하며, 심사위원단의 판정에 따라 승패를 가른다. 동일한 하우스에 속한 2팀이 모두 패배하면 해당 하우스의 멘토 역시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없다.[169]
먼저 각 하우스의 이름이 쓰인 공을 뽑고, 뽑힌 공에 적혀있는 하우스가 선공·후공 여부를 결정한다. 이 순서에 따라 스타트업 팀들은 각 하우스와 함께 수행해온 미션 관련 성장지표를 5분간 피칭한다. 이때 하우스의 멘토와 스타트업 팀 대표는 피칭 대결 상대인 스타트업 팀 대표에게 견제와 공격을 위한 질문(라이벌 질의응답)을 던질 수 있다. 이 공격형 질의응답은 3분간 진행된다.
심사위원단은 총 7명으로 구성되며[170] 이 7인은 1대1 배틀에 참여한 두 하우스의 카드를 각각 가진다. 피칭과 질의응답이 모두 끝나고 심사위원 7인의 선택에 따라 더 많은 선택[171]을 받은 스타트업 팀이 승리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특별 심사위원으로는 김일한 KB인베스트먼트 이사, 정성영 마켓핏랩 대표[172], 심규섭 자란다 그로스리드, 임정욱 TBT 공동대표[173], 메이글 김 크립톤 이사, 전화성 CNT테크 대표[174], 황희철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본부장이 출연했다.

5회 방송(2021.11.28.)은 아루와 한달어스의 1대1 배틀로 진행되었으며, 심사 결과 4:3 한 표 차이로 퓨처플레이(류중희 하우스)와 함께하는 한달어스 팀이 승리하였다. 아루의 패배가 확정되면서 와일드카드를 받아 본선에 진출한 3팀 모두가 탈락하게 되었다.

6회 방송(2021.12.02.)은 온더룩과 블랙탠저린의 1대1 배틀로 진행되었으며, 심사 결과 5:2로 네스트컴퍼니(신재식 하우스)와 함께하는 온더룩 팀이 승리하였다. 서로가 서로에 대한 인수합병을 꿈꾸는 라운드

7회 방송(2021.12.05.)은 커버링과 이너시아의 1대1 배틀로 진행되었다. 두 팀과 함께하는 소풍벤처스와 패스트벤처스는 이미 앞선 두 배틀에서 한 팀의 탈락이라는 고배를 마신 하우스이므로, 이번 배틀 결과에 따라 한쪽의 하우스는 스타트업 팀과 함께 탈락하게 된다. 그리고 심사 결과 4:3으로 패스트벤처스(박지웅 하우스)와 함께하는 이너시아가 승리하면서, 아루와 커버링 두 팀 모두의 패배라는 성적표를 받아든 소풍벤처스(최경희 하우스)는 최종적으로 탈락하게 되었다.

8회 방송(2021.12.09.)은 잉클과 에이블랩스의 1대1 배틀로 진행되어 '공돌이 대첩'으로 표현되면서 공학 기술 기업 간 대결로 주목받았다. 심사 결과 심사위원 6인의 선택이 3:3으로 갈렸으며, 카드 공개 타이밍이 늦어져 얼떨결에 캐스팅보트를 쥔 황희철 본부장이 퓨처플레이(류중희 하우스) 카드를 선택하면서 4:3으로 에이블랩스가 승리하였다. 심사위원들 모두 선택이 매우 어려웠다고 호소[175]

총 4팀(한달어스, 온더룩, 이너시아, 에이블랩스)이 파이널 라운드 진출을 확정지었지만, 파이널에 5팀이 진출하는 것이 원칙이었기에 탈락한 4팀(아루, 블랙탠저린, 커버링, 잉클) 중 1팀을 패자부활전으로 되살리는 절차가 진행됐다. 각 스타트업 팀의 대표들과 하우스 멘토들이 한 팀씩 무대로 올라와 3분간 심사위원단에게 어필하고, 심사위원들의 투표에 따라 생환할 팀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패자부활전 결과, 심사위원 7인의 몰표(7표)를 받은 아루가 마지막으로 파이널 라운드에 진출하였다.[176] 이로써 3차 1대1 배틀에서 커버링이 탈락하며 동반 탈락했던 소풍벤처스(최경희 하우스)도 아루와 함께 생환하였다.

패자부활전 결과 발표 후 진행한 파이널 라운드 발표 순서 결정에서 아루가 1번, 한달어스가 2번, 에이블랩스가 3번, 온더룩이 4번, 이너시아가 5번으로 확정되었다. 분명 무작위로 뽑았는데 서 있는 순서 그대로 확정


Episode 9. 데이오프 (2021.12.12.)
호스트김태용 EO스튜디오 대표
게스트이명진 아루 대표, 김준형 한달어스 대표, 김효이 이너시아 대표, 이대범 온더룩 대표, 신상 에이블랩스 대표
특별 게스트이채린·최유진 클라썸 공동창업자 겸 각자대표, 류기백 전 파운틴 대표,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

파이널 라운드 이전에 스타트업 업계 사람들끼리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데이오프' 시간을 진행했다. 질의응답을 편하게 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해 교육·학습 소통 플랫폼을 구축한 '클라썸'의 이채린·최유진 공동창업자[177], 실리콘밸리에서 블루칼라 노동자들의 구인·구직 정보 공유 플랫폼 '파운틴'을 창업해 이끌었던 류기백 전 대표, 자율주행 라이다 기술을 개발하는 테크 기업 '서울로보틱스'의 이한빈 캡틴이 특별 게스트로 참석했다.


Episode 10. 파이널 라운드 (2021.12.18.)
발표순서기업명(브랜드)발표자사업 모델
1아루(자기만의방)이명진 대표여성을 위한 성 지식을 공유하는 섹슈얼 웰니스 플랫폼[178]
2한달어스김준형 대표다인원 커뮤니티 기반으로 실천하며 배우고 익히는 학습 플랫폼
3에이블랩스신상 대표바이오 실험을 자동화하는 로봇 개발[179]
4온더룩이대범 대표데이터 기반 패션 검색·쇼핑 앱
5이너시아김효이 대표유기농 천연 생리대 개발
최종 결과
순위기업명(브랜드)하우스모의투자금액비고
1위에이블랩스 #퓨처플레이(류중희 하우스)465,000,000원우승 / 상금 5,000만 원
2위이너시아 #패스트벤처스(박지웅 하우스)425,000,000원상금 1,500만 원
3위아루(자기만의방) #소풍벤처스(최경희 하우스)145,000,000원상금 500만 원
4위온더룩 #네스트컴퍼니(신재식 하우스)0원상금 0원
5위한달어스 #퓨처플레이(류중희 하우스)0원상금 0원

유니콘하우스 파이널 라운드 무대는 2021년 12월 18일 생중계로 진행되었다. 영상 길이 3시간 반 파이널 라운드에 진출한 다섯 팀 중 1위 팀은 5,000만 원, 2위 팀은 1,500만 원, 3위 팀은 500만 원의 상금을 받게 되며, 4위와 5위 팀은 상금을 받지 못한다.

파이널 라운드는 10분 발표와 10분 질의응답(Q&A)으로 구성되어 한 팀당 20분을 사용하게 된다. 10분 발표는 사업 소개와 계획 및 전망 등을 5분간, 창업자와 팀의 면면을 5분간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도록 권고했다고 한다.

심사와 평가는 전문평가단(투자자 심사위원)과 청중평가단이 함께 진행한다. 전문평가단(투자자 심사위원) 5인으로는 임정민 전 구글 캠퍼스 서울 총괄[180], 하정희 D3쥬빌리파트너스 상무[181], 김지선 타임와이즈인베스트먼트 수석투자심사역, 홍종철 인포뱅크 아이엑셀 대표[182], 장원준 슈미트 심사역이 참석했다.

룰은 다음과 같다. 전문평가단(투자자 심사위원) 5인에게는 한 명당 1억 원의 모의투자금액이 주어지고, 청중평가단 31인에게는 한 명당 2천만 원의 모의투자금액이 주어진다. 전문평가단 심사위원들은 1억 원의 금액을 최대 3팀에게만 5백만 원 단위로 나눠 모의투자할 수 있으며, 청중평가단은 2천만 원의 금액을 최대 2팀에게만 5백만 원 단위로 나눠 모의투자할 수 있다.[183] 총 모의투자금액은 11억 2천만 원이며, 이 중 모의투자를 많이 받은 순서대로 1~5위가 결정된다. 추가로 유튜브 라이브 방송 시청자들에게는 우승(1위)팀 맞추기 이벤트를 진행하며, 실시간 댓글 작성을 통해 우승팀을 맞춘 시청자들 중 추첨을 통해 애플워치7, 에어팟 프로, 스타벅스 커피 쿠폰 10만원권을 줄 것이라고 한다.

이전에 정한 순서대로 아루, 한달어스, 에이블랩스, 온더룩, 이너시아가 차례로 자신들의 사업을 발표한 뒤 질의응답을 했다. 이후 각 팀과 함께 2달 동안 성장을 위해 노력해온 각 하우스 멘토들이 하우스 토크를 진행하였다.
이어 최종 결과가 공개되었다. 평가단의 모의투자 결과 4억 6,500만 원을 투자받은 에이블랩스가 최종 우승(1위)을 차지했다. 그 아래로 4억 2,500만 원을 투자받은 이너시아가 2위, 1억 4,500만 원을 투자받은 아루가 3위를 차지하였고 온더룩과 한달어스는 모의투자를 받지 못했다. 우승팀 에이블랩스가 상금 5,000만 원을, 2위 팀 이너시아가 상금 1,500만 원을, 3위 팀 아루가 상금 500만 원을 수령하였다.

3.2.15. 워키토키(일에 진심인 사람들의 일 이야기)[편집]


2021년 8월 17일에 시작한 토크 콘텐츠 시리즈.
'일하는 사람들의 토크'를 컨셉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할 예정이며, 토크 주제를 제안받고 있다.
본편 영상에서 편집된 내용이 많았는지 Shorts 클립 영상들이 많이 올라온다.

순서참여 패널업로드 일자토크 주제
호스트게스트
이름소속 회사담당 업무
1~3김나이 커리어액셀러레이터윤성권비바리퍼블리카디자이너2021.08.17.
2021.08.24.
2021.08.31.
내가 일을 할 때 연봉(돈)은 얼마나 중요한가?
최혜원매스프레소글로벌 사업 총괄
권진주제주맥주마케팅 총괄
최종화쏘카개발자
4~6이미준지그재그기획자[184]2021.10.12.
2021.10.19.
2021.10.26.
사이드 프로젝트[185]
김지홍멋쟁이사자처럼디자이너[186]
이상욱프렌트립[187]개발자
7~12이동욱인프랩최고기술책임자(CTO)2021.11.16.
2021.11.23.
2021.11.30.
2021.12.07.
2021.12.14.
2021.12.21.
개발자 커리어와 채용
정원희힐링페이퍼[188]프론트엔드 리드
조은버킷플레이스프론트엔드 챕터 리드[189]
13~15이진재플렉스[190]프로덕트 디자이너2022.01.18.
2022.01.25.
2022.02.01.
디자이너 커리어와 채용
오남경뱅크샐러드프로덕트 디자이너
박종민마이리얼트립디자인 리드

2022년 5월 17일부터 시즌2로 '출장! 워키토키'라는 현장형 토크 콘텐츠를 시작했다. MBC 아나운서로 일하다 퇴사한 후 '비플랜트(책발전소)'와 '브론테'를 창업해 큐레이션 서점 및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이끌고 있으며,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등 사업가이자 프리랜서 방송인으로 활동 중인 김소영 전 아나운서가 시즌2의 새 진행자로 출연한다. 기존의 워키토키가 스타트업 업계 종사자들을 불러 토크를 하는 구성이었다면, '출장! 워키토키'는 MC 김소영이 직접 스타트업 사무실로 찾아가 이야기를 나누는 형태로 진행된다.

순서참여 패널업로드 일자토크 주제
호스트게스트
이름소속 회사담당 업무
1~3김소영 비플랜트 대표기근화토스증권데이터과학자2022.06.14.
2021.06.21.
2021.06.28.
토스증권 합류 계기, 토스증권 입사 이전 커리어, 토스증권 내 비금융권 출신 직원 비율, 토스증권의 '주식 1주 이벤트'에 얽힌 비하인드, 토스증권 팀이 서비스를 만들며 가장 중시하는 가치, 토스증권 팀의 동기부여 방식, 토스 팀의 사내 복지, 토스 팀원들이 생각하는 워라밸과 실제 사내 워라밸 실태 등
오창훈최고기술책임자(CTO)
윤민정프로덕트 오너(PO)
이예슬프로덕트 디자이너


3.2.16. 신일류: 새롭게 일하는 사람들👽[편집]


2021년 9월 26일부터 시작한 EO의 새 파일럿. 월급받는 직장 생활을 벗어나 자신의 일을 스스로 기획하며 지속 가능한 모델을 찾아내기 위해 시도하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인터뷰 시리즈. 앞으로 다양한 일의 방식과 삶의 레퍼런스를 공유할 계획이라고 한다.

순서인터뷰 대상자하는 일업로드 일자비고
1드로우앤드류자기계발·브랜딩 콘텐츠 제작2021.09.26.- 유튜브 채널 '드로우앤드류' 운영 중
2~3이진선디자인, 글쓰기, 창업, 퍼스널 브랜딩 및 자기 발견 디렉팅2021.10.04.
2021.10.05.
- '사수가 없어도 괜찮습니다' 저자
- 실천 중심 교육 플랫폼 '한달어스' 공동창업자
4정영준[191]코미디 콘텐츠 기획 사업2021.12.22.- 코미디 레이블 회사 '메타코미디'[192] 창업자 겸 대표
- 스탠드업 코미디 프로그램 '유병재: 블랙코미디' 제작자
5송의섭·배진영디자인 브랜딩·스토리텔링 및 굿즈 사업2022.03.31.- 무직타이거 '뚱랑이' 캐릭터 창시자
- (주)스튜디오무직 공동대표
6홍민지[193]온라인 뉴미디어 콘텐츠 기획 및 연출2022.05.19.- 유튜브 채널 콘텐츠 '문명특급' 연출 PD


3.2.17. 🎬NOCUT: 무삭제 IR 시리즈[편집]


2022년 3월 12일 시작한 스타트업 IR 피칭 무삭제본 시리즈. SK SOVAC과 함께하는 'SOVAC IR Room'에 김태용 대표가 진행자로 참여하였는데,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한 스타트업 대표들의 IR 피칭을 무삭제 영상으로 전달한다.[194]


순서기업명(브랜드)발표자업로드 일자사업 모델
1그라인더(라이프라이크)김수연 대표2022.03.12.지속 가능한 가치 소비를 촉진하는 라이프스타일 커머스 플랫폼[195]
2플리옥션이연주 대표2022.03.19.가치 소비 요소를 더한 미술작품 온라인 경매 플랫폼
3더몽(스테이더몽)나윤도 대표2022.04.03.빈집을 재활용해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공간 업사이클링 솔루션
4킹덤플랜트협동조합김한동 대표2022.04.10.식품·F&B 제조, 소셜 프렌차이즈 창업 지원, 기업 고도화 컨설팅 등으로 지역 활성화 생태계를 조성해 경북 안동 지역을 되살리는 지역조합
5코드오브네이처박재홍 대표2022.05.17.이끼 포자 배양 기술을 활용한 산림 재난 현장 복구 키트 개발
6잇그린(리턴잇)이준형 대표2022.05.26.제로 웨이스트를 위한 다회용기 표준화 및 재활용 시스템 구축 서비스
7두잇이윤석 대표2022.05.31.이웃끼리의 팀 매칭 구매를 통한 배달비 없는 배달 앱
8나인와트(에너지맵)김영록 대표2022.07.02.도시의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해 에너지 낭비를 막는 에너지 사용 효율화 솔루션


3.2.18. 기타[편집]


  • 데모데이 & 창업경진대회
    스타트업들의 피칭 현장을 생생히 전하면서 업계 관계자들과 함께 논평한다. 당연히 2~4시간짜리의 긴 콘텐츠이므로 유튜브 라이브 방송으로 진행된다. 한동안 다른 기업과 기관들이 주최하는 창업대회를 생중계·해설하기만 하다가, 2022년 5월 10일 처음으로 'STAGE ZERO'라는 데모데이를 직접 주관하였다.
  • 채용 설명회
    스타트업들과 손잡고 신입 직원 채용 설명회를 유튜브 라이브 방송으로 진행한다. 브랜디, 컬리, 왓챠, 버킷플레이스(오늘의집), 번개장터, 쏘카,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네이버웹툰, 센드버드, 뤼이드(산타토익), 위대한상상(요기요) 등이 현재까지 EO 채널에서 채용 설명회 자리를 가졌다.[196]
  • 스타트업 개발자 토크
    성공적으로 성장 중인 스타트업에서 근무 중인 개발자들과의 토크 콘텐츠. 비트바이트(플레이키보드), 토스랩(잔디), 매스프레소(콴다), 버즈빌, 루닛, 밀리의서재, 그린랩스[197]의 관계자들이 출연했다.
  • 공지 및 오프라인 행사
    스타트업·벤처 업계 프로그램 개최 공지 및 홍보 영상, EO 팀이 함께하는 오프라인 행사에 초대한다는 영상 등.
  • EO 추천 지원 사업과 프로그램
    EO가 직접 참여를 권하는 스타트업 지원 사업과 벤처 프로그램 관련 소식들.
  • 스피치
    김태용 대표가 출연해 스타트업·벤처 업계의 동향과 관련한 여러 이야기를 직접 전한다.
  • VC가 알려주는 스타트업 투자 유치 전략
    초기 스타트업 투자자인 매쉬업엔젤스 이택경 대표가 알려주는 스타트업 투자 유치 전략.

상술한 콘텐츠 이외에도 스타트업·벤처 업계 프로그램 및 행사 홍보와 관련해 해당 프로그램·행사에 참여한 스타트업들과 주최 측 관계자들을 인터뷰하는 영상들이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다만 채널 내 콘텐츠 분류를 위해 만들어놓은 각 재생목록에 영상 분류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것도 종종 있으니 주의.


4. 여담[편집]


  • 대표가 결혼한 유부남이다.

  • 스타트업 하게 생겼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고 한다.

[1] EO 글로벌 채널과 한국 채널 상단에 걸려 있는 슬로건.[2] EO 한국 채널 상단, 영문 밑에 새겨진 한글 슬로건. '기업가(ENTREPRENEUR)'를 '주인공'으로 쓴 점이 눈에 띈다.[3] 법인 설립일. (주)이오스튜디오의 기원이 된 유튜브 채널 '태용'과 페이스북 계정 '태용'은 2017년 9월 14일에 시작됐으며, 두 계정을 '태용'에서 'EO'로 리브랜딩한다고 밝힌 것은 2019년 8월 6일이다. 유튜브 채널과 페이스북 계정은 'EO'에서 'eo'로 한 번 더 바뀌었다가 글로벌 채널을 시작하면서 다시 'EO'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GLOBAL] 2022년 9월 1일에 첫 영상을 업로드하며 시작한 글로벌 채널. 글로벌 스타트업 콘텐츠 전문 미디어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EO스튜디오의 비전에 따라 향후 EO의 메인 채널이 될 것으로 보인다.[기준] A B C D E F 2023년 7월 20일[KOREA] 한국 구독자와 시청자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채널. EO의 시작이자 글로벌 확장을 위한 디딤돌이 된 채널이다. 주로 한국과 관련된 스타트업들을 다룬다. 1인 미디어 채널로 시작해 스타트업 콘텐츠 전문 채널로 성장했으며, 그 과정에서 채널명을 '태용'->'EO'->'eo'->'EO 이오'로 변경했다.[잠정중단] '노답퓨처'라는 이름으로 스타트업 인터뷰와 미래 변화 예측 등의 콘텐츠 시리즈를 업로드했으나, 2021년 4월 18일 이후로 새 영상이 업로드되지 않고 있다. 현재 한국 채널인 'EO 이오'와 글로벌 채널인 'EO'를 양대 축으로 삼고 있는 EO스튜디오의 방향에 따르면 향후 채널 지속 가능성이 불투명한 상태.[4] 구독자 수가 줄어들고 있다. 새 콘텐츠 업로드를 더 이상 안 하는 것이 주요 원인인 듯.[5] 'EO Station' 채널은 현재 신규 콘텐츠 업로드를 하지 않고 있다.[6] 2021년 9월경 채널명을 대문자 'EO'에서 소문자 'eo'로 바꾸었다가, 2022년 9월 글로벌 채널 'EO'를 론칭하고 기존 채널명을 'EO 이오'로 바꾸면서 대문자 표기를 되살렸다.[7] ALT를 이끌던 시절 또래 유튜버인 희철리즘, Jaykeeout과 교류한 적이 있다.[8] 해당 채널은 2021년 3월 '시리즈 영 : 스퀘어브릿지와 스타트업 도전'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2021년 4월에 '신한 스퀘어브릿지'로 변경되었다.[9] 로고 리브랜딩 작업은 더워터멜론(주)의 '아보카도(abocado)'와 협업하여 진행하였고 상표는 특허법인 BLT를 통해 등록한 것으로 파악된다.[10] 뉴즈에는 미래학자인 정지훈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가 최고비전책임자(CVO)로 합류했으며,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등이 투자자 겸 고문으로 함께하고 있다.[11] 대표적으로 커리어 액셀러레이터인 김나이 컨설턴트와 'EO X 김나이 - 커리어콘 2021'을 199,000에 판매한 이력을 들 수 있다.[12] 이러한 사례는 외국에서도 찾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고객 관계 관리(CRM) 소프트웨어 부문의 세계 1위 기업인 세일즈포스닷컴은 '세일즈포스+(Salesforce Plus)'라는 비즈니스 콘텐츠 사이트를 런칭하여 양질의 혁신 콘텐츠에 집중한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는 유튜브 형식보다 넷플릭스 형식에 가까운 콘텐츠 플랫폼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비즈니스 콘텐츠계의 넷플릭스'를 노리는 것.[13] 전직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선수.[14] 트위치와 소셜캠을 공동창업한 이력이 있는 창업가 출신이다.[15] 한국어로는 '음' 혹은 '으흠'이라고 읽는다. 상대의 말에 반응하는 음성 표현을 그대로 옮겨 적은 글자.[16] 필 리빈(Phil Libin)이 창업한 인공지능 스타트업 스튜디오 'All Turtles'의 자회사이며, 해당 회사가 출시한 화상회의 솔루션 프로그램이다.[17] 해당 영상은 으흠(Mmhmm)을 창업한 스토리와 함께 필 리빈(Phil Libin)의 제품 기획 방법론을 전달하고 있다.[18] 숙취해소제 생산에 주력했던 More Labs가 코로나19 팬데믹의 직격탄으로 위기를 맞자 회사를 떠났고, 이후 웹3.0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Ramper'를 창업했으며 프리미엄 소주 브랜드 'Xoju' 생산을 병행하고 있다.[19] 스탠퍼드대학교 교육대학원 부학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로서 진정한 교육의 의미를 탐구하며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20] 창업가 겸 벤처투자펀드 설립자 출신으로, 벤처펀드 설립과 회사 창업의 커리어를 거쳐 Evernote, Weebly, Drata 등 여러 혁신기업에서 일하며 글로벌 진출을 돕는 업무를 담당했다. 현재 실리콘밸리에서 20여 년간 일해온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시드 투자 단계에 있는 초기 스타트업들에게 컴퍼니빌딩(Company Building) 관련 조언을 건네고 있다.[21] EO 글로벌 채널에 올라온 종전의 영상들과 달리 해외 스타트업이나 해외 혁신업계 관련자에 관한 인터뷰가 아니다. '타입드'를 개발·운영 중인 스타트업 '비즈니스캔버스'는 한국 스타트업이며, 구성원도 대부분 한국인이다. 물론 한국도 세계의 일부분이므로, 한국을 넘어 세계로 진출하려는 국내 혁신창업기업에게 '글로벌 스타트업'이라는 명칭을 붙이는 것도 아예 불가능하거나 이치에 맞지 않는 건 아니다.[22] Clint Yoo(Head of Business), Brian Shin(Co-Founder and CPO), Taewoong Seo(Product Manager), Minwoo Cho(Data PM)도 같이 출연. 다만 글로벌 채널에 올라온 영상인 만큼 인터뷰와 자막이 영어 기반으로 되어있다보니 영상에 등장하는 모두가 영어 이름으로 표기되어 있다. 물론 이건 상하관계를 해소하고 평등하게 자유로운 의견을 주고받으려 영어 이름을 만들어 쓰는 스타트업 업계 특성상 비즈니스캔버스 팀원들이 자체적으로 지은 이름일 것이다.[23] 업무 관리용 협업 툴 서비스 기업 '아사나(Asana)'에서 커뮤니티 프로그램과 고객참여형 마케팅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영상은 인생의 굴곡이 많았던 그가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업계에서 어떻게 커리어를 쌓았고, 그와 비슷한 환경의 '보통 사람'들이 어떻게 커리어를 쌓을 수 있을지에 대해 전한다.[24] 본명 이현무. 한국인이지만 글로벌 사업을 위해 '데이비드 리'로 활동하는 듯하다.[25] 스탠퍼드 대학교 AIRE 프로그램 페이지에 따르면 AIRE는 AI, Robotics and Education의 약자라고 한다. 해당 팀의 리더로서 AI(인공지능)와 로보틱스의 시대에 교육을 어떻게 재설계하고 시행할지를 연구·개발하고 있다.[26] 창업자 Saeed Amidi는 벤처투자사 설립 전후로 페이팔, 구글, 드롭박스, 피스컬노트 등에 초기 투자했다.[27] 궁극적인 목표는 AI 시대에 인간과 AI가 상호작용하며 이야기를 생성하고 체계화하는 걸 돕는 '스토리텔링 기술 회사'라고 한다.[28] 2012년 실리콘밸리에서 Henry Ward와 Manu Kumar가 공동창업한 핀테크 스타트업. 창업 당시 회사명은 'eShares'였으며, 2017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기업과 주주, 직원 간에 거래되는 전자증권을 쉽게 발행해주는 서비스로 시작해 2023년 기준 10조 원 가치의 '캡 테이블(cap table, 투자 유치에 따른 자본금과 지분관계 변화를 보여주는 도표)' 분야 유니콘 스타트업으로 성장했다.[29] 2000년부터 리먼 브라더스에서 자바(Java) 프로그래머로 일하다 2005년 은행업계로 이직해 주택담보대출을 관리하는 투자은행가로 근무했다. 리먼 브라더스에서 함께 일하던 동료 존 짐머(John Zimmer)가 리프트(Lyft)를 공동창업하겠다며 퇴사했을 때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후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시점에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한 뒤 무더기로 손해를 본 채권자들을 위해 법정에서 증언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그동안 세상에 해로운 일만 해왔다"는 생각에 "앞으로는 세상에 이로운 일을 해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2013년 퇴사한 뒤 동부 뉴욕 맨해튼에서 서부 실리콘밸리로 근무지를 옮겨 10여 년간 스타트업 업계에서 일해왔다.[30] 실리콘밸리로 이직해온 뒤 핀테크 스타트업 'eShares'(2017년 'Carta'로 회사명 변경)에 4번째 직원인 운영 매니저(Operation Manager)로 합류해 10년간 근무했다. 회사가 급성장하며 유니콘의 반열에 오르면서 2013년에 받은 스톡옵션의 자산 가치가 10년 만에 200배 불어났다고 한다.[31] 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서 DataDomain, ServiceNow, Snowflake 세 기업을 연달아 성공시킨 기술경영자다.[32] 인터뷰 영상은 데이터 시스템 분야에서 조 단위 기업 3곳을 탄생시킨 자신의 리더십 노하우를 전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33] 첫 창업 당시 두 명의 공동창업자는 지역 중소기업의 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단순 전자상거래(e-commerce) 플랫폼 'Allgoods'를 론칭해 운영하였으나, 시장의 규모와 차별화 요소의 부족으로 성장 한계에 다다르자 Allgoods 내에서 거래되는 자동차 부품 품목의 특성에 주목해 이에 특화된 Partly로 재창업하였다.[34] Sneaker Labs를 창업해 Octain Software에 인수되었는데, 인수 시점에 Octain Software도 타 회사에 동시 인수되는 경험을 했다고 한다.[35] Lyft, Carta, Enuma, Twillio, Everlaw 등 50여 곳의 스타트업에 투자하였다.[36] Stratim의 공동창업자이자 Adap.tv의 수석부사장으로 일한 이력이 있다. Fountain과는 창업 초기에 엔젤투자자로서 자금을 투자하며 처음 만났고, 당시 온라인 발레 서비스 회사 'Zirx'의 CEO였다고 한다.[37] 본명 류기백. 공동창업자이자 Fountain의 전 CEO.[38] 본명 이인섭.[39] 본명 이도경.[40] 영상 초반에 스스로를 이렇게 소개한다. TV 프로그램 'We Bare Bears'의 원작자로 유명하며,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볼트'에 스토리 아티스트로 처음 참여했다고 한다. 이후 시리즈와 미니언즈, 인사이드 아웃 등 애니메이션 영화 작업에 다수 참여했다.[41] 픽사에서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로 일한 경력이 있다. 영상은 세계 최고의 애니메이션 제작사로 유명한 픽사가 어떻게 참신하고 재미있는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다룬다.[42] 미국에서 쓰는 이름은 Jungsuk Jay Lee. 음악가 출신으로, 음악과 기술의 결합을 접하며 모바일 음악 서비스 '버즈뮤직'을 창업하였으나 곧이어 등장한 틱톡의 확장 공세에 밀렸다. 2019년 네이버의 자회사 스노우로부터 버즈뮤직을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전달받았고, 이를 수용해 2020년 2월 인수된 후 스노우 산하의 메타버스 사업부에 합류했다.[43] 최고생태계책임자(Chief Ecosystem Officer). 겸직인 'US CEO'의 CEO(최고경영자)와는 약자만 같은, 서로 다른 직책이다.[44] 영상은 음악가였던 그가 테크 업계의 최전선인 메타버스 서비스 기업에서 미국 진출을 총괄하는 직책을 수행하게 된 사연을 다룬다.[A] A B 현재 '모어랩스(More Labs)'로 회사명을 변경했다.[45] 해당 영상에서는 기업명을 이렇게 익명 처리했지만, 인터뷰 당사자가 포털사이트 뉴스 기사에 '애플 시니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소개된 것을 볼 때 애플인 것으로 추정된다.[46] 독일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으로, 업무용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유명한 대기업 중 하나다. 특히 전사적 자원관리(ERP)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운영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47] 북아메리카에서 유명한 웹툰 플랫폼. 2021년 5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6000억 원에 인수되었다.[48] 공식적으로 시즌을 나누지는 않았으나, 리얼밸리 시즌2 마지막 영상이 올라온 후 3년여 만에 다시 시작한 리얼밸리 영상이며 김태용 대표의 EO 해외 진출 행보와 관련되어 있어 사실상 시즌3이라고 봐도 무방하다.[49] 50세의 나이로 실리콘밸리 구글 본사에 입사해 화제가 되었다.[50] 은행권청년창업재단(D.CAMP)과 합작하여 시작했고 초기에는 영상에 D.CAMP를 명시했지만, 점차 명시하지 않는 걸로 봐서 EO의 단독 제작 시리즈로 거듭난 것으로 추정된다.[51] 前 블루홀[52] 닉네임 '꼬날', 스타트업 PR 전문가이자 現 렌딧 홍보이사.[53] 마케팅 전문 프리랜서[54] 여담이지만 '백엔드'를 한글로 직역하면 '뒤끝'이긴 하다(...).[55]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은 국내 스타트업 회사들이 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결성한 단체다.[56] 왓챠 최고운영책임자(COO)[57]아프리카TV의 시초가 된 '나우콤'의 창업 멤버였다. 現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원장.[58] 원래 전세버스 심야 카풀 서비스로 시작했으나, 규제에 막혀 중단한 뒤 피봇하여 똑같은 서비스명으로 다시 시작하였다.[59] 29CM 헤드 카피라이터[60]라이코스 CEO, 現 TBT 공동대표[61] 해당 영상 촬영 당시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을 맡고 있었으나, 2020년 2월을 끝으로 센터장직에서 물러났다. 현재는 이람 대표와 함께 벤처투자사 TBT의 공동대표직만 맡고 있다.[62] 본인의 페이스북 계정에 스타트업 업계 관련 소식을 매우 자주 전하고 있다. 하루에도 몇 시간 단위로 여러 기사들을 공유할 정도.[63] 前 마이쿤[64] 前 페달링[65] 단순 투자보다 '혁신을 회사화한다'는 신념으로 10년 뒤에 뉴노멀을 만들 만한 스타트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만들어가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미션에 따라 다른 투자사에 비해 자신들이 투자한 스타트업들에게 더 세밀한 밀착형 멘토링과 지속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류중희 대표의 말에 따르면 회사 설립 초창기에는 혁신적인 기술(딥테크)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집중했다면, '10년 뒤에 딥테크 회사일 수 있는 스타트업이 현재는 딥테크가 아닐 수도 있지 않느냐'는 생각의 변화에 따라 '10년 뒤에 뉴노멀을 만들 수준의 혁신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더 집중하여 투자와 컴퍼니빌딩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EO와 협업하여 제작한 '퓨처플레이 더 다큐멘터리' 참고. #[66] 2020년 12월 독일의 배달 서비스 기업 딜리버리히어로에 인수.[67] 크래프톤 창업자이자 이사회 의장. 영상 출연 당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이었으며, 2020년 2월부로 해당 직책에서 물러났다.[68] 2021년 8월 이후로 임팩트 투자사 '인비저닝파트너스'를 창업하고 대표를 맡고 있다.[69] 쏘카에 인수되었다가, 2021년 10월 8일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에 인수.[70] VCNC쏘카에 인수되면서 이재웅 쏘카 대표와 함께 일하게 되었고, 이재웅 대표의 퇴임 이후 쏘카의 대표가 되었다.[71]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 리더십과 조직문화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72] 야놀자에 매각[73] 마이크로소프트 크리에이티브 디자이너[74] 2021년 6월 5일자로 운영을 종료했다. 편의점을 운영하는 BGF리테일, GS리테일 등 리테일 업계 대기업들과 배달의민족 'B마트', 요기요 '요마트', 매쉬코리아 '부릉', '바로고' 등 생필품 근거리 퀵커머스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경쟁력 확보 면에서 밀린 것으로 보인다. 나우픽 서비스를 닫고 회사의 남은 자산을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런칭하려는 듯.[75] 화면을 터치하거나 버튼을 클릭하여 아이템을 얻고 레벨업을 달성하는 게임 장르. "모바일 게임이 당연히 화면을 터치하고 클릭해서 하는 거 아니냐"고 하겠지만, 방치형 클릭커 장르는 단시간에 화면을 빠르게 연속적으로 터치·클릭하여 성과를 쌓는 방식이므로 손가락으로 화면을 두드리는데 좀 더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B] A B 2021년 8월 5일 사명을 '데이원컴퍼니(Day 1 Company)로 변경하고, 사내에 패스트캠퍼스, 레모네이드, 콜로소, 스노우볼 총 4개의 CIC(Company-In-Company)를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재정비했다.[76] 신재식 네스트컴퍼니 대표, 류중희 퓨처플레이 대표, 이종대 데이터블 대표와 함께 출연. EO스튜디오의 투자 유치 기념 합동 방송 콘텐츠다.[77] 만화 '럭키짱', '마계대전', '대털' 등 저술[78] 디지털 뉴딜 및 데이터 댐 사업 설명을 위해 출연[79] 네이버AI연구소 리더[80] 트레져헌터에 인수[81] 대만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스타트업으로, 'Forest: 집중하기'라는 앱을 출시해 한국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회사명은 한국어로 '시크알테크'라고 읽는다. (사실 이렇게 읽는 거면 'r'을 대문자로 표기할 법도 한데, 회사의 공식 홈페이지에 적힌 정식 표기는 소문자 r이다.)[82] 집중 유형 분석 심리테스트를 통해 내게 맞는 식물 유형을 정하여 심은 뒤,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지 못하고 화면을 켜는 순간마다 그 식물이 시들어가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반대로 스마트폰 사용을 계획대로 잘 자제하면서 할 일에 집중할수록 식물이 무럭무럭 성장하며, 식물을 많이 키우면 나중에 숲을 이룰 수도 있다. 한 마디로 식물이 죽어가는 것에 대한 죄책감과 경각심, 식물이 잘 자라는 것에 대한 뿌듯함과 성취감 등으로 마음을 다잡고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관리하면서 자기 일에 집중하라는 것. 게임화(Gamification) 요소를 제대로 활용해 앱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겠다.[83] 2021년 3월 더함아이디어스에 인수[84] 크래프톤에 인수[85] 이은비 크레이빙콜렉터 대표, 김혜린 hayanAI 대표, 권우혁 블루비커 대표는 화상 인터뷰로 참여했다.[86] 정식 브랜드라기보다 그로스해커들의 전문 길드 개념에 가까운 컨설팅 팀이다.[87] 닉네임 '폴'.[88] MC 겸 미디어 라이브 커머스 쇼호스트이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주관 'Global Sellist Academy' 심화과정멘토.[89] 나찬희 KT 모바일마켓사업부 차장, 고수진 원스토어 게임마케팅팀 매니저, 김정훈 위메이드 사업실장도 원스토어의 성장 일화에 관한 인터뷰 대상자로 출연.[90] 배달의민족 팀에 최고기술책임자(CTO)로 합류했다가 김봉진 창업자의 뒤를 이어 CEO의 자리에 올랐다.[91] 카카오임팩트의 펠로우이기도 하다.[92] 차이코퍼레이션에 매각[93] 유니콘 스타트업으로, 창업자인 안익진 대표는 한국인이지만 창업한 곳은 미국 실리콘밸리다. 이 때문에 미국 자료에는 미국 스타트업으로 분류되어있지만, 한국의 스타트업 업계 관련 자료에도 꾸준히 포함되고 있다.[94] 북미 웹소설 업계 1위 기업, 2021년 5월 웹툰 플랫폼 기업 타파스미디어와 함께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인수되었다. 인수가는 5,000억 원.[95] 김용호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벤처기획팀장이 '2021 농식품 창업 콘테스트' 홍보 목적으로 동반 출연.[96] 제주도의 유기견 관련 자원봉사자들에게 요청을 받고 유기견의 과밀 수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림쉼터 견사(강아지 우리)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그렇게 만든 견사가 바로 '스트롱독'이다. 이 프로젝트에 펫박스는 1억 원 상당의 견사와 관련 물품을 지원하였다. 제주도의 지역봉사단체 '프렌들리 핸즈'가 함께했는데, 10년간 유기견 지원 봉사를 해온 가수 이효리도 참여했다.[97] 해당 영상은 RA Visual이라는 기업이 제작하였다. 영상 소개글에 따르면 EO스튜디오에서 재직하다 퇴사한 팀원이 창업한 스타트업인 듯하다.[98] 가수 이효리, 한림쉼터 봉사자인 고인숙 프렌들리 핸즈 대표, 그리고 NLCS Jeju에서 초등학교 국어교사로 재직 중인 한 자원봉사자도 함께 출연.[99] '넥스트매치'를 창업해 국내 1위 데이팅 앱 '아만다'를 개발한 창업가다.[100] 정명석 컨설팅사업실장, 남현우 CTO, 최정혁 CBO 등 그린랩스 팀원들과 김서준 해시드 대표(그린랩스 투자자), 박두호 농장 경영인(그린랩스 스마트팜 시스템 이용자), 장익준 리얼팜(축산업 스마트팜 솔루션) 대표도 함께 출연.[101] 몰로코와 마찬가지로 창업자는 한국인이지만 실리콘밸리 유니콘 기업이다. 속인주의와 속지주의를 고려했을 때 어느 나라 기업인지 애매하긴 하다 역시 여기서는 한국 스타트업으로 분류한다[102] 구글 커스터머 솔루션 매니저. '언바운드' 저자.[103]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여행 산업 전체가 타격을 입으면서 매출이 99%나 급감하면서 위기에 빠졌을 때 이를 어떻게 극복하였는지, 코로나19 이후의 여행 사업은 어떻게 계획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키노트 영상이다.[104] 영화제작사 '시네마틱퍼슨'의 대표이자 다큐멘터리 '타다: 대한민국 스타트업의 초상'을 연출한 감독. '타다: 대한민국 스타트업의 초상'은 모빌리티 혁신 스타트업 VCNC가 운영하는 카풀 서비스 '타다'가 택시업체 등 기존 시장 이익집단의 반발로 타다금지법(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안) 통과라는 타격을 입게 된 과정, 그리고 이로 인한 최대 위기를 극복해나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타다금지법 사태는 혁신을 추구하는 스타트업이 기존 시장의 권력 구조와 갈등을 빚다 정면으로 규제당한 사건이었다는 점에서, 스타트업 업계에 큰 충격과 함께 통찰의 계기를 던져준 사건으로 받아들여진다.[105] 카카오에 1조 원에 인수되어, 카카오 산하 '카카오스타일'이 운영하는 패션 앱으로 자리 잡았다. 때문에 영상에 등장하는 지그재그 팀원들은 모두 카카오스타일 소속으로 명시되어 있다.[106] 닉네임 '쟈니'[107] 쥬디(브랜드 마케터), 켈리(앱 개발팀 리드), 젠(커머스 그룹 PO), 썬(신사업팀 리드), 알렉스(COO), 션(UX 그룹 리드), 제임스(커머스 그룹 리드), 로버트(HR/PR 그룹 리드), 엘레나(고객경험팀 리드), 토니(데이터분석팀 리드) 등 카카오스타일 팀원들과 지그재그 팀에 처음으로 투자한 알토스벤처스의 박희은 투자심사역도 함께 출연.[숏다큐멘터리] A B C [108] 퍼시스그룹이 소유한 브랜드이다.[109] 삼성SDS에서 IT 기반의 물류 혁신 프로그램 '첼로 스퀘어'를 담당하고 있는 문신정 담당자도 함께 출연.[110] 해당 영상에서는 아마존 플랫폼을 통한 시디즈의 미국 시장 진출기, 그리고 그 과정에서 큰 힘이 된 삼성SDS의 물류 혁신에 관해 중점적으로 다뤘다.[111] 브랜드X코퍼레이션에서 경영과 전략을 담당하고 있으며, 자회사 '젤라또랩'의 대표이사도 겸직하고 있다.[112] SAP코리아에서 중소중견기업 사업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박찬영 담당자도 함께 출연. SAP의 전사적 자원 관리(ERP) 소프트웨어를 도입해 잘 활용한 우수 사례로 젝시믹스 브랜드를 설명하는 자리여서 동반출연했다.[113] 이전 회사명은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로, 독일에 본사를 둔 배달 서비스 기업 '딜리버리히어로'의 한국 지사였다. 2020년 말 딜리버리히어로가 배달의민족 인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내 배달 대행 서비스 시장의 독점이 우려되자 공정거래위원회가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 매각을 조건으로 배달의민족 인수를 허가했으며, 딜리버리히어로 측이 이를 받아들였다. 시장에 매물로 나온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는 사모펀드와 함께 컨소시엄을 꾸린 GS리테일에 2021년 8월 13일 인수되었으며, 회사명을 '위대한상상'으로 바꾸었다.[114]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배달의민족과 경쟁 관계다. 사실 딜리버리히어로가 배달의민족 인수를 추진할 때만 해도 한 지붕 아래로 모이게 되겠거니 했는데, 공정거래위원회의 조건부 승인에 따라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가 매각되면서 한순간에 배달의민족과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처지가 됐다. 한 마디로 최대 동지가 될 뻔한 상대가 정신 차리고 보니 최대 숙적이 된 것. 이 과정에서 소극적인 운영과 투자 유치 저조, 쿠팡이츠 등 새 경쟁자의 도전으로 인해 시장 점유율을 많이 빼앗긴 상황이다.[115] 신선식품 배송 서비스 '덤앤더머스'를 창업해 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에 엑싯한 뒤 배민프레시 CEO를 지낸 창업가다.[116] 메타브랜딩 공동창업자, 컨셉츄얼 파트너 디렉터 출신.[117] 자폐장애인들을 직원으로 고용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이기도 하다. 자폐장애인들을 고용한 이유는 단순한 사회적 책임 수행이 아니라 섬세함과 집중력 등 데이터 라벨링 작업에 요구되는 특성들이 자폐장애인의 특성과 일치하기 때문. 또 장애인들이 좀 더 편하게 회사를 다닐 수 있도록 장애인표준사업장 인증을 받은 '데이터큐'라는 자회사를 설립하는 등 기술 서비스의 매력과 장애인 친화적 기업 모두를 잡기 위해 노력 중이다.[118] 대치동 소재 수학 학원에서 근무하는 미지수 강사, 프리윌린에 투자한 알토스벤처스의 박희은 투자심사역도 출연.[119] '키위플'을 창업해 모바일 증강현실(AR) 앱 '오브제'를 개발하여 엑싯한 창업가 출신이며, 엑싯 이후 대학교수로 재직하다 재창업에 도전해 알파서클을 창업했다.[120] 제작자로서 분명한 신념과 관점을 지닌 '프로듀서(PD)'를 육성한다는 방침을 밝힌 상황에서, 김창한 대표에게 PD의 역할과 관점에 대해 인터뷰한 영상이다.[121] 전채성 교육사업본부장, 겜프(가명) GCL 팀장, 김병규 개발팀장, 성기범 사업기획이사 등 빅픽처인터렉티브 팀원들과 민태희(JERRY)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윤희원 '댈러스 퓨얼'(오버워치 프로게이머팀) 감독, 김대겸 e스포츠 해설위원, 김수현 e스포츠 캐스터, 김정섭 MSTORM 대표도 함께 출연.[122] 촬영은 2020년 7월 16일에 진행되었다고 영상 초반에 밝히고 있다.[123] 인공지능 개발 회사 OpenAI에 입사해 리서치 엔지니어로 1년 6개월 정도 근무했고, 퇴사 후 Symbiote라는 회사를 창업해 메타버스 세상에서의 디지털 자아 생성을 돕는 아바타 소셜네트워크를 개발하고 있다.[124] 페이스북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5년 6개월 간 근무했고, 한국 스타트업 뱅크샐러드에서 데이터 파운데이션 리드 직책을 맡아 근무하다가 퇴사한 후 스탠퍼드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석사과정 공부를 하고 있다. 뱅크샐러드 재직 중에 연애 예능 프로그램 '하트시그널 시즌3'에 일반인 참가자로 출연한 적이 있다.[125] 영상은 최고마케팅책임자(CMO)인 출연자의 담당 분야에 맞게 스토리텔링형 마케팅 이야기를 풀어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126] EO스튜디오가 주관한 스타트업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유니콘하우스'에 참가해 우승(1위)을 차지한 스타트업 팀이다.[127] 해당 영상에 출연한 사람들은 모두 무신사 각 부서에서 일하는 개발자들로, 무신사 개발자들이 어떻게 일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28] 페이스북 UX 디자이너. '토종 문과생'이라는 정치외교학 전공자(경영학 부전공)로서 실리콘밸리의 거대 혁신기업으로 이직한 스토리와 함께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대해 가능성을 따지지 말고 도전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129] 권영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사이먼 킴 CSO, 코트니 아그네스 사업개발팀 매니저 등 클로버추얼패션 팀원들과 안드레스 페르난데스 고메즈 MANGO 지속가능성·소싱 책임자, 노수현 디지털 크리에이터 등 클로버추얼패션 솔루션 사용자들도 함께 출연.[130] 영상은 전화성 대표가 직접 설명해주는 B2B 스타트업 성장 노하우를 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131] 사내에서는 영어 이름 '에이든'으로 불린다고 한다.[132] 박기범(코난) 부대표, 김윤혁(브라운) HR 리드(前 CTO), 황조은(죠앤) 대외정책·홍보 총괄, 박재훈(필립) CPO, 이규원(베이더) CTO, 박재영(크레이그) VP-E(엔지니어링 부사장), 전지윤(제인) PO, 임현근(브랜든) 사업총괄(이사) 등 강남언니 팀원들과 박남희(강남언니 앱 이용자), 신창훈 레전드캐피탈 심사역이 동반 출연했다.[133] 이름이 비슷한 '허브넷굿컴퍼니닷컴'이라는 온라인 마케팅 회사가 존재하며, 검색창에 '허브넷컴퍼니'를 검색하면 이 기업이 검색 결과에 먼저 노출되기도 한다.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134] 더샌드박스 최고운영책임자(COO)[135] EO가 주최하는 토크쇼로, 선릉 스파크플러스 세미나 공간에서 정기적으로 연다고 한다.[136] 2021년 6월 '미트박스글로벌'로 사명을 변경했다.[137] 칠명바이오가 2021년 3월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더함아이디어스'에 인수된 이후 EO스튜디오가 주최한 '유니콘하우스'에 태성파트너스 대표자로 출연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술한 '유니콘하우스' 단락 참조.[138] 2002년생으로 나우미래 영상 출연 당시 만 17세였다. 물론 2021년부로 성인이 되어 이 타이틀에는 더 이상 해당되지 않는다.[139] 2021년 12월 사명을 '두핸즈'로 변경했다.[140] 전 세계 36개국 1,700여 개 대학에 학회 형태로 지부를 두고 있는 비영리단체로,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비즈니스 실행으로 풀어가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 성과를 내고 있는 소셜벤처 기업가들 가운데 학부생 시절 이 단체에서 활동한 사람들이 많다. #[141] '나우웨이팅' 개발사[142] 원래 정식 우주인으로 선출되었으나, 외부 유출이 금지된 교재를 반출해 열람했다가 발각되어 퇴출되면서 예비 우주인으로 강등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고산(1976) 문서 참조.[143] 코미디언 이창호의 부캐 중 하나로,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의 'B대면데이트' 코너에 등장한 이래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가상의 캐릭터다. 해당 세계관 속에서 '김갑생할머니김'은 시가총액 500조(...)에 달하는 글로벌 대기업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500조 '원'이면 삼성전자와 비슷한 다국적기업 규모이고 500조 '달러'라면 현존하는 그 어떤 기업도 감히 우러러볼 생각조차 못하는 사상 초유의 거대 기업이다(...) 이호창 본부장은 해외 유학파인 재벌 3세 설정이다. 유튜브에서 시작한 이 세계관이 수많은 사람들의 열광적인 반응을 얻자 이창호는 이호창 본부장의 모습으로 외교부와의 콜라보 홍보 영상을 촬영하기도 했다.[144] 신재식 대표는 형과 함께 데일리를 창업하여 호텔 빈 방 예약 서비스인 '데일리호텔'을 운영하다 야놀자에 매각하였고, 이후 네스트컴퍼니를 설립해 벤처 투자자로 변신했다.[145] 해당 스타트업의 성장 잠재력이 높다고 인정하는 평가 방식이라고 한다. 힙합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쇼미더머니에서 심사위원들이 PASS 또는 FAIL을 누르는 방식으로 참가자의 합격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을 떠올리면 될 듯.[146] 4곳의 벤처캐피탈들이 이끌고 스타트업 팀이 함께하는 형태의 그룹을 의미한다. 벤처캐피탈들의 명칭으로 일단 구분하는 듯.[147] 본방송에서는 '하우스 마스터'보다 '하우스 멘토'로 지칭하는 편이다.[148] 패스트트랙아시아의 자회사 중 한 곳으로, 패스트인베스트먼트와 함께 벤처 투자를 담당하고 있다.[149] 패스트트랙아시아 공동창업자. 패스트트랙아시아 CEO 겸 패스트벤처스 CEO를 맡고 있다.[150] 소셜벤처 스타트업(사회적 기업 및 사회적 미션과 비전을 지닌 영리 기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임팩트 투자사. ESG 투자와 UN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근거한 투자, 젠더 관점의 투자(여성 창업가 육성 목적)에 중점을 두고 있다.[151] 예선에 참여한 34개의 스타트업 팀 전원이 아니라, 방송에 등장한 스타트업만 등장 순서대로 기재.[152] IR 피칭을 하는 스타트업 대표자 기준 투자자들의 자리 배치에 따라 기재[153] 3개 이상의 '유니콘'을 받아야 본선 진출 확정[154] 단, 하우스별로 1장의 와일드카드를 가지며, 각 하우스가 탈락한 팀에게 와일드카드를 사용할 경우 구제 가능[C] A B C D E F G 본방송 영상에서 평가 결과가 방송에 제대로 나오지 않았기에 실제로 본선 진출을 이루었는지는 불확실하다. 다만 스쳐 지나가듯이 등장하며 비중이 크지 않은 것으로 봐서 탈락했을 가능성이 높다. 1회 방송 말미에 '11팀 진출 확정'이라는 자막이 뜨면서 탈락한 것이 확실시됐다.[D] A B 본방송에서 사업 모델이 무엇인지 제대로 나오지 않았고, 인터넷 검색에서도 사업 모델이 정확히 나오지 않음.[155] 북한식 레시피에 기반한 음식을 만드는 사업에 주력하고 있는데, 어쩐 일인지 이날 피칭에서 북한 음식 사업을 제대로 부각하지 않았다. 이북 출신인 제시 킴 대표가 스토리텔링할 수 있는 지점임에도 하지 않은 것은 아쉬운 부분. 2회 방송에서 밝히기를 회사 사업보다 방송 송출에 집중한 나머지 "북한 음식 사업을 이야기하면 안 좋게 비치지 않을까"하는 우려를 하여 공유 공장 이야기에 주력했으며, 이것이 치명적인 실수였음을 자각했다고 한다.[진출] A B 총 5팀이 파이널 라운드에 진출한다는 원칙에 따라 진행된 패자부활전에서 심사위원단의 만장일치 선택을 받아 파이널 라운드 진출.[156] 1회 방송 중에 본선 진출팀이 된 스타트업은 총 11곳이나, 예선 종료 후 소풍벤처스의 와일드카드 사용 결정에 따라 1팀 추가 진출이 예정되었다. 이에 따라 와일드카드를 받은 제시키친 팀이 추가로 본선에 진출하면서 총 12팀이 본선행을 확정지었다.[157] 방송 등장 순서대로 기재[158] 무대에 오른 스타트업 팀 대표 기준 각 하우스 대표자들의 자리 배치 순서대로 기재[159] 스타트업 12팀을 대상으로 사전 선호도 조사를 진행한 결과, 패스트벤처스가 1위, 퓨처플레이와 네스트컴퍼니가 공동 2위, 소풍벤처스가 4위를 했다.[160] 영입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가 김효이 대표가 "사실 소풍벤처스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말을 하자 아차 싶었는지 뒤늦게 그린라이트를 켰으나, 하우스 매칭 규정상 다시 소등했다.전략을 잘못 짰다고 후회하는 최경희 멘토[161] 예선 때 퓨처플레이의 와일드카드를 받고 본선 진출권을 따냈지만, 퓨처플레이가 하우스 매칭 과정에서 이미 3개 팀과 매칭을 이룬 상태여서 아쉽게도 퓨처플레이와 매칭되지 못하게 됐다. 미안한 마음에 구구절절 해명하는 류중희 대표 소풍벤처스가 제시키친을 버리지(?) 않은 것과 비교되면서 또 언급되어 고통받는 류중희 대표[162] 잔여석에 따라 네스트컴퍼니로 자동 매칭되었다. 애초에 네스트컴퍼니와 매칭되기를 원했었는데, 결국 돌고 돌아 원하는 대로 되었다. 진작에 좀 뽑아주시지[163] 하술된 순서는 김태용 대표와 하우스 멘토 4인이 대진표를 작성하면서 각 스타트업 팀들을 배치한 순서(왼쪽에서 오른쪽으로)에 따라 기재한 것이며 실제 1대1 배틀 순서 확정이 아님.[E] A B 퍼널 지표는 잠재 고객으로 유입된 소비자들을 실제 구매자로 얼마나 이끌어냈는지(구매 전환)를 측정하며, 리텐션은 그렇게 유입된 고객들이 얼마나 오래 남아 자주 사용하는가(고객 잔존)를 측정한다.[164] 두 회사 모두 기업을 고객으로 하는 B2B 사업에 집중된 비즈니스 모델이어서, B2B 사업의 특징에 기반해 충성고객 만족도로 잡았다.[165] 선공·후공에 따른 발표 순서대로 기재[166] 피칭을 하는 스타트업 팀 대표 기준 자리 배치대로 심사위원 명단 기재[167] 방송에서는 심사위원들의 카드에 'OOO(하우스 멘토 이름) 하우스'라고 적혀 있지만, 일목요연한 정리를 위해 각 투자사 이름의 약칭(패스트, 소풍, 퓨플, 네스트)으로 기재함.[168] 소속 팀 2곳의 탈락이 확정되면서 소풍벤처스(최경희 하우스)도 동반 탈락...했으나, 패자부활전에서 아루의 생환이 확정되며 소풍벤처스는 하우스로서 같이 생환했다.[169] 사실 한 하우스당 두 팀씩 생존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두 팀이 모두 패배해 탈락하면 하우스 멘토 역시 멘토링할 대상이 없어지므로 자동 탈락하는 것이 맞다.[170] 각 하우스에 소속된 스타트업 팀들의 승패를 가르는 라운드인 만큼 공정성을 위해 하우스 멘토들은 심사위원으로 참여하지 않는다. 자기네 하우스 소속 팀에게 승리 판정을 줄 가능성이 높으니 당연하다[171] 총원이 7명이니 기권이 없는 한 과반인 4표 이상을 얻어야 한다. 본방송 심사 장면에 따르면 '기권'이라는 카드 선택지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172] 그로스해커로 활동 중이다. 닉네임은 '폴'.[173]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 前 라이코스 CEO.[174]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겸임교수와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겸임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175] 두 팀 모두 제조업이라는 전통 산업 분야에 기반해 소프트웨어와 자동화, 클라우드를 키워드로 하는 혁신을 이야기했다. 잉클은 융합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데이터 플랫폼을 축으로 하는 현재의 사업 진행 상황이 매우 좋고 시장 가능성이 무한하다는 점을 높이 평가받았으나 너무 전문 영역이라 업계 관계자가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설명 때문에 전달력이 떨어졌고, 에이블랩스는 극초기 스타트업이라 결실을 이룬 것이 별로 없었지만 미래 비전과 성장 가능성 면에서 좋은 평가를 얻었다. 댓글창에서는 두 회사 모두 좋은 회사이며, 잉클의 탈락이 아쉽다는 반응이 많다.[176] 다만 댓글창 여론은 "잉클이나 커버링이 기술력과 사업성 면에서 더 뛰어난데, 아루가 부활팀으로 선정된 건 지나치게 젠더 감수성이나 성평등, PC적 스토리에 치우친 선택이다."라는 비판이 우세한 편이다. 이러한 맥락의 의문을 표하는 한 댓글에 김태용 대표가 다소 장난스러운 어투의 답글로 '민간 영역 전문가들의 결정인데 (성평등이니 젠더니 하는 건) 말도 안 된다, 어이없다'는 식의 반응을 보여 "전문가들의 결정이니 평범한 시청자들은 입 닫고 수용하기만 하라는 것이냐"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77] 두 사람은 카이스트 선후배 사이로, 공동창업 후 각자대표를 맡아 회사를 이끌고 있다고 한다. 이채린 대표는 프로덕트 관리와 국내 사업을 총괄하고 최유진 대표는 글로벌 사업과 파운데이션을 총괄하고 있다고. 회사의 아빠와 엄마[178] 원래 '성 지식 플랫폼'으로 스스로를 정의하였는데, 이날 파이널 라운드에서 '섹슈얼 웰니스 플랫폼'으로 셀프 브랜딩했다.[179] 해당 자동화 로봇을 기반으로 모든 것이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자동 제어되는 클라우드랩을 구축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180] 前 500스타트업코리아 공동대표파트너, (주)88후드 대표, '창업가의 일' 저자.[181] D3쥬빌리파트너스가 임팩트 투자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소셜 임팩트를 창출하는 기업을 눈여겨볼 것으로 여겨진다.[182] 인포뱅크 아이엑셀은 인포뱅크의 투자전문사업부다.[183] 이를 위해 참석자들에게 모의투자금액을 동그란 칩 형태로 나눠주었는데, 한 칩이 5백만 원을 뜻하는 듯하다.[184] 보통 프로덕트 오너(PO) 혹은 프로덕트 매니저(PM)로 불리며, 웹/앱 서비스 기획자를 일컫는다. 문제를 찾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하면 고객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설계할 것인지를 총괄하는 업무.[185] 회사에서의 본업 외에 자신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추가 프로젝트.[186] 2017년부터 디자인 커뮤니티 '디자인스펙트럼'을 운영하고 있다.[187] 여가 활동 플랫폼 앱 '프립'의 개발사.[188] 성형외과 시술 후기와 병원 정보를 공유하는 앱 '강남언니'의 개발사.[189] 2021년 기준 국내에 단 3명밖에 없다는 구글 개발전문가(Google Developer Expert, GDE) 자격 수여자 중 한 명이다.[190] 인적 자원(HR) 관련 업무 통합 관리 서비스 '플렉스'의 개발사.[191] 2인조 아이돌 그룹 매드몬스터의 매니저이자 이들의 기획사 '매드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인 '대디(Daddy)'라는 설정으로 직접 빵송국 콘텐츠에 출연한 적이 있다.[192] '피식대학', '빵송국', '장삐쭈', '숏박스' 등의 채널을 통해 코미디 콘텐츠를 기획·제작·유통하고 있으며, 지상파 코미디 방송이 연달아 종영하면서 갈 곳이 없어진 코미디언들의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193] 연출을 맡은 '문명특급' 콘텐츠 내에서 간혹 등장할 때 '홍PD' 혹은 '밍키'로 불린다.[194] SOVAC가 소셜 임팩트를 창출하는 소셜벤처 스타트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어서, 해당 시리즈에 등장하는 모든 스타트업들은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소셜벤처 형태를 띠고 있다.[195] 친환경과 채식주의(비건) 가치를 지닌 제품 거래에 집중하고 있다.[196] 일부 기업들은 개발자 채용에 한정[197] 루닛, 밀리의서재, 그린랩스 3곳은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혁신 아이콘'에 선정된 스타트업으로 동시 출연했는데, 개발자들이 출연하지 않았다. 다만 EO 채널이 재생목록 탭에서 해당 영상을 '스타트업 개발자 토크'로 분류해놓았기에, 이 분류를 따라 서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