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A 커뮤니티 실드

덤프버전 :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3년 8월 7일에 실시한 FA 커뮤니티 실드 아스날 FC VS 맨체스터 시티 FC의 경기에 대한 내용은 프리미어 리그/2023-24 시즌 문서
11.2.3번 문단을
프리미어 리그/2023-24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he FA Community Shield
파일:FA Community Shield.png
파일:The_FA_Community_Shield_Trophy.png
정식 명칭FA 커뮤니티 실드
영문 명칭The FA Community Shield
창설1908년 (FA 채리티 실드)
2002년 (FA 커뮤니티 실드)
진출 자격프리미어 리그 우승
FA컵 우승
(프리미어 리그 2위[1])
최근 우승 구단파일:아스날 FC 로고.svg 아스날 FC (2023)
최다 우승 구단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1회)
공식 웹 사이트파일:FA Community Shield.png
대한민국 중계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1. 개요
2. 역대 스폰서
3. 연혁
4. 우승 횟수
5. FA 커뮤니티 실드와 대한민국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The Football Association Community Shield
FA 커뮤니티 실드

리그 개막 직전에 전 시즌 프리미어 리그 우승 구단과 FA컵 우승 구단이 맞붙는 이벤트 대회. 리그, FA컵 우승 구단이 동일할 경우 리그 2위와 경기를 치르며 전후반 90분 무승부일 경우 연장전을 생략하고 바로 승부차기로 돌입해 우승을 가린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경기는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개최한다. 홈 구단은 FA컵 우승 구단, 원정 구단은 프리미어 리그 우승 구단이다.

과거에는 '채리티 실드(Charity Shield)'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러다 2002년 공식 명칭을 'FA 커뮤니티 실드'로 변경했다. 여타 다른 리그의 슈퍼컵과 동일한 대회로 1908년 처음으로 시작했는데 원래 프로 구단과 아마추어 구단 간의 최강자를 거리던 대회인 '셰리프 오브 런던 채리티실드(Sheriff of London Charity Shield)'가 있었으나 이후 커뮤니티 실드에 완전히 흡수되기도 했다. 초기와 현재의 대회 모습이 많이 달랐다. 초기 대회의 경우 '풋볼 리그 우승 구단 vs 남부 리그 우승 구단' 의 구도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 vs 아마추어' 구도가 되어갔고 그러다 '1부 리그 우승 구단 vs FA컵 우승 구단' 구도가 완성됐다. 또한 프리미어 리그로 개편하기 전까진 무승부일 경우 공동 우승 처리했지만 프리미어 리그로 개편한 이후로는 공동 우승이 없어지고 승부차기로 우승을 가리게 됐다.

리그 개막 전에 열리는 대회이고 연장전도 안하고 바로 승부차기로 들어가는 등 여러 면에서 친선경기 내지는 프리시즌의 느낌을 주는 대회라서 대회 가치는 높지 않은 편이다. 커뮤니티 실드에 참가하는 구단들은 대략 '이기면 어쨌든 우승이니 좋고, 져도 크게 잃을 건 없다'라는 식의 마인드를 갖고 참가한다. 과거에는 역사와 권위가 있었으나 현대에 올수록 친선 경기나 개막 전 시범 경기로 보는 사람이 많아졌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정말 완전히 친선 경기처럼 대충대충 하는 건 아닌데 강팀들 간의 은근한 자존심 대결이니만큼 때때로 명경기가 펼쳐지기도 하는데다 기본적으로 강팀 간의 대결이다 보니 보는 맛은 충분한 대회이기도 하다. 이 경기의 주인공이 될 실력의 구단이라면 라이벌 관계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관중 동원력도 상당하다.

간혹 커뮤니티 실드를 트로피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실드는 실드(Shield / 방패)일 뿐이지 트로피라고 부르는 것은 틀린 표현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존재하는데, '트로피'라는건 사실상 꼭 컵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우승자에게 수여되는 물건을 지칭하는 명사인지라 틀렸다고 할 수는 없는 표현이다. 거기다 그렇게 따지면 '마이스터 샬레'. 직역하자면 우승 방패[2]를 수여하는 분데스리가는 뭐란 말인가(...). 거기다 애초에 이것 또한 현지에서 트로피라고 부른다.

2011년 대회에선 프리미어 리그 우승을 확정지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FA컵을 우승한 맨체스터 시티와의 맨체스터 더비가 이뤄졌는데 맨유가 3:2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우승했다.

2012년도 대회는 2012년 8월 12일에 열리는데 리그 우승한 맨시티와 FA컵 우승한 첼시 FC가 맞붙어 전번 시즌과 똑같은 3:2로 이번에는 맨시티가 우승했다.

2013년도 대회는 2013년 8월 12일에 경기를 치렀다. 전 시즌 FA컵 우승이 위건 애슬레틱이었던 바람에 맨유 대 위건이라는 상당히 김빠지는 매치업이 성사됐다. 양 대회의 우승 구단이 맞붙는다는 대회의 특성상 보통 강팀끼리 경기하지만 상당히 이례적인 상황이 연출된 셈. 워낙 수준 차가 나는 구단끼리의 경기라 별 동기부여도 없었는지 양 구단 다 졸전을 벌이며 기대하던 축구 팬들을 절망시켰다... 결국 로빈 반 페르시가 순전히 혼자서 개인능력으로 두 골을 박아넣으며 맨유가 승리했다. 그래도 맨유의 신임 감독 데이비드 모예스의 공식 경기 데뷔전이었던지라 나름 의미있는 경기가 되었다.

2014년에는 2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한 맨체스터 시티와 9년만에 FA컵 우승을 차지한 아스날 FC의 대결에서 산티아고 카소를라, 아론 램지, 올리비에 지루의 골로 아스날이 3대 0으로 완승했다.

2015년에는 2009-10 시즌 이후 첫 리그 우승을 차지한 첼시 FC와 FA컵 2연패의 아스날 FC가 맞붙었다. 알렉스 옥슬레이드-체임벌린의 골로 아스날이 1:0 으로 승리해 2년 연속 우승을 하였다. 한편 준우승에 기분이 상한건지 첼시 무리뉴 감독은 경기장 위쪽 스탠드에서 트로피를 들어올리고 그라운드로 내려오는 아스날 선수들과 악수하다가 벵거 감독만 못 본 채 지나치고 준우승 메달을 관중석에 던져버리며 기분 상한 얼굴로 나가버렸다...

2016년에는 창단 처음이자 2014-15 시즌 풋볼 리그 챔피언십 강등 일보 직전에서 잔류해 2015-16 시즌 기적을 이루면서 우승한 레스터 시티 FC와 FA컵 우승 구단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맞붙었으며 맨유가 2:1로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여자 축구의 경우 2000년에 창설돼 2008년을 끝으로 중단되었다가 12년 뒤인 2020년에 재개했다.


2. 역대 스폰서[편집]


  • 제너럴 모터스 (1986~1987)
  • 테넌트 (1989~1992)
  • 리틀우즈 (1995~1998)
  • one 2 one[3] (1999~2001)
  • 맥도날드 (2002~ )


3. 연혁[편집]


  • 황색 바탕은 우승 구단
  • 1차전 무승부로 재경기를 실시한 1908년 대회와 승부차기를 진행한 1974년 대회를 제외하고 1992년 대회까지 무승부일 경우 공동 우승
  • 참가 자격은 다음 표와 같다.
연도참가 자격
1908~19121부 리그 우승남부 리그 우승
1913프로아마추어
1920~19221부 리그 우승FA컵 우승
1923~1926프로아마추어
1927~19281부 리그 우승FA컵 우승
1929프로아마추어
1930~19491부 리그 우승FA컵 우승
1950[4]잉글랜드FA 팀
1951~19601부 리그 우승FA컵 우승
1961[5]1부 리그 우승FA 팀
1962~19701부 리그 우승FA컵 우승
1971[6]2부 리그 우승FA컵 준우승
1972[7]1부 리그 4위3부 리그 우승
1973[8]직전 대회 우승2부 리그 우승
1974~19921부 리그 우승FA컵 우승
1993~프리미어 리그 우승FA컵 우승
(프리미어 리그 2위[9])

  • 아래 연혁 표의 프리미어 리그 우승 구단이 위 참가 자격 표의 왼쪽, FA컵 우승 구단이 위 참가 자격 표의 오른쪽이다.

연도프리미어 리그 우승결과FA컵 우승경기장
1908맨체스터 유나이티드1-1퀸즈 파크 레인저스스탬퍼드 브리지
4-0
(AGG 5-1)
스탬퍼드 브리지
1909뉴캐슬 유나이티드2-0노스햄튼 타운스탬퍼드 브리지
1910아스톤 빌라0-1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스탬퍼드 브리지
1911맨체스터 유나이티드8-4스윈던 타운스탬퍼드 브리지
1912블랙번 로버스2-1퀸즈 파크 레인저스화이트 하트 레인
1913프로7-2아마추어더 덴
1914~1919제1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
1920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2-0토트넘 홋스퍼화이트 하트 레인
1921번리0-2토트넘 홋스퍼화이트 하트 레인
1922리버풀0-1허더스필드올드 트래포드
1923프로2-0아마추어스탬퍼드 브리지
1924프로3-1아마추어아스날 스타디움
1925프로1-6아마추어화이트 하트 레인
1926프로3-6아마추어메인 로드
1927코린시안 캐주얼1-2카디프 시티스탬퍼드 브리지
1928에버튼2-1블랙번 로버스올드 트래포드
1929프로3-0아마추어더 덴
1930셰필드 웬즈데이1-2아스날스탬퍼드 브리지
1931아스날1-0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빌라 파크
1932에버튼5-3뉴캐슬 유나이티드세인트 제임스 파크
1933아스날3-0에버튼구디슨 파크
1934아스날4-0맨체스터 시티아스날 스타디움
1935아스날0-1셰필드 웬즈데이아스날 스타디움
1936선덜랜드2-1아스날로커 파크
1937맨체스터 시티2-0선덜랜드메인 로드
1938아스날2-1프레스턴 노스 엔드아스날 스타디움
1939~1947제2차 세계대전으로 중단
1948아스날4-3맨체스터 유나이티드아스날 스타디움
1949포츠머스1-1울버햄튼 원더러스아스날 스타디움
1950잉글랜드4-2FA 팀스탬퍼드 브리지
1951토트넘 홋스퍼2-1뉴캐슬 유나이티드화이트 하트 레인
1952맨체스터 유나이티드4-2뉴캐슬 유나이티드올드 트래포드
1953아스날3-1블랙번 로버스아스날 스타디움
1954울버햄튼 원더러스4-4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몰리뉴 스타디움
1955첼시3-0뉴캐슬 유나이티드스탬퍼드 브리지
1956맨체스터 유나이티드1-0맨체스터 시티메인 로드
1957맨체스터 유나이티드4-0아스톤 빌라올드 트래포드
1958울버햄튼 원더러스1-4볼턴 원더러스반덴 파크
1959울버햄튼 원더러스3-1노팅엄 포레스트몰리뉴 스타디움
1960번리2-2울버햄튼 원더러스터프 무어
1961토트넘 홋스퍼3-2FA 팀화이트 하트 레인
1962입스위치 타운1-5토트넘 홋스퍼포트먼 로드
1963에버튼4-0맨체스터 유나이티드구디슨 파크
1964리버풀2-2웨스트햄 유나이티드안필드
1965리버풀2-2맨체스터 유나이티드올드 트래포드
1966리버풀1-0에버튼구디슨 파크
1967맨체스터 유나이티드3-3토트넘 홋스퍼올드 트래포드
1968맨체스터 시티6-1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메인 로드
1969리즈 유나이티드2-1맨체스터 시티엘런드 로드
1970에버튼2-1첼시스탬퍼드 브리지
1971레스터 시티1-0리버풀필버트 스트리트
1972맨체스터 시티1-0아스톤 빌라빌라 파크
1973맨체스터 시티0-1번리메인 로드
1974리즈 유나이티드1-1 (PK 5-6)리버풀웸블리 스타디움
1975더비 카운티2-0웨스트햄 유나이티드웸블리 스타디움
1976리버풀1-0사우스햄튼웸블리 스타디움
1977리버풀0-0맨체스터 유나이티드웸블리 스타디움
1978노팅엄 포레스트5-0입스위치 타운웸블리 스타디움
1979리버풀3-1아스날웸블리 스타디움
1980리버풀1-0웨스트햄 유나이티드웸블리 스타디움
1981아스톤 빌라2-2토트넘 홋스퍼웸블리 스타디움
1982리버풀1-0토트넘 홋스퍼웸블리 스타디움
1983맨체스터 유나이티드2-0리버풀웸블리 스타디움
1984리버풀0-1에버튼웸블리 스타디움
1985에버튼2-0맨체스터 유나이티드웸블리 스타디움
1986리버풀1-1에버튼웸블리 스타디움
1987에버튼1-0코벤트리 시티웸블리 스타디움
1988리버풀2-1윔블던웸블리 스타디움
1989아스날0-1리버풀웸블리 스타디움
1990리버풀1-1맨체스터 유나이티드웸블리 스타디움
1991아스날0-0토트넘 홋스퍼웸블리 스타디움
1992리즈 유나이티드4-3리버풀웸블리 스타디움
1993맨체스터 유나이티드1-1 (PK 5-4)아스날웸블리 스타디움
1994맨체스터 유나이티드2-0블랙번 로버스[10]웸블리 스타디움
1995블랙번 로버스0-1에버튼웸블리 스타디움
1996맨체스터 유나이티드4-0뉴캐슬 유나이티드[11]웸블리 스타디움
1997맨체스터 유나이티드1-1 (PK 4-2)첼시웸블리 스타디움
1998맨체스터 유나이티드0-3아스날웸블리 스타디움
1999맨체스터 유나이티드1-2아스날[12]웸블리 스타디움
2000맨체스터 유나이티드0-2첼시웸블리 스타디움
2001맨체스터 유나이티드1-2리버풀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13]
2002아스날1-0리버풀[14]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2003맨체스터 유나이티드1-1 (PK 4-3)아스날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2004아스날3-1맨체스터 유나이티드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2005첼시2-1아스날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2006첼시1-2리버풀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2007맨체스터 유나이티드0-0 (PK 3-0)첼시웸블리 스타디움
2008맨체스터 유나이티드0-0 (PK 3-1)포츠머스웸블리 스타디움
2009맨체스터 유나이티드2-2 (PK 1-4)첼시웸블리 스타디움
2010첼시1-3맨체스터 유나이티드[15]웸블리 스타디움
2011맨체스터 유나이티드3-2맨체스터 시티웸블리 스타디움
2012맨체스터 시티3-2첼시빌라 파크[16]
2013맨체스터 유나이티드2-0위건 애슬레틱웸블리 스타디움
2014맨체스터 시티0-3아스날웸블리 스타디움
2015첼시0-1아스날웸블리 스타디움
2016레스터 시티1-2맨체스터 유나이티드웸블리 스타디움
2017첼시1-1 (PK 1-4)아스날웸블리 스타디움
2018맨체스터 시티2-0첼시웸블리 스타디움
2019맨체스터 시티1-1 (PK 5-4)리버풀[17]웸블리 스타디움
2020리버풀1-1 (PK 4-5)아스날웸블리 스타디움
2021맨체스터 시티0-1레스터 시티웸블리 스타디움
2022맨체스터 시티1-3리버풀킹 파워 스타디움[18]
2023맨체스터 시티1-1 (PK 1-4)아스날[19]웸블리 스타디움


4. 우승 횟수[편집]


  • 클럽 팀만 계산.
  • *표시는 공동 우승.
  • 프리미어 리그 창설, FA 커뮤니티 실드 공동 우승 폐지 이후(1993~ ) 우승은 볼드체로 표기.
  • 우승 횟수가 같을 경우에는 먼저 우승한 구단부터 나열함.
구단우승 (공동 우승) 연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21 (4)1908, 1911, 1952, 1956, 1957, 1965*, 1967*, 1977*, 1983, 1990*,
1993, 1994, 1996, 1997, 2003, 2007, 2008, 2010, 2011, 2013,
2016
아스날 FC17 (1)1930, 1931, 1933, 1934, 1938, 1948, 1953, 1991*, 1998, 1999,
2002, 2004, 2014, 2015, 2017, 2020, 2023
리버풀 FC16 (5)1964*, 1965*, 1966, 1974, 1976, 1977*, 1979, 1980, 1982, 1986*,
1988, 1989, 1990*, 2001, 2006, 2022
에버튼 FC9 (1)1928, 1932, 1963, 1970, 1984, 1985, 1986*, 1987, 1995
토트넘 홋스퍼 FC7 (3)1921, 1951, 1961, 1962, 1967*, 1981*, 1991*
맨체스터 시티 FC61937, 1968, 1972, 2012, 2018, 2019
울버햄튼 원더러스 FC4 (3)1949*, 1954*, 1959, 1960*
첼시 FC41955, 2000, 2005, 2009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2 (1)1920, 1954*
번리 FC2 (1)1960*, 1973
리즈 유나이티드 FC21969, 1992
레스터 시티 FC21971, 2021
뉴캐슬 유나이티드 FC11909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11910
블랙번 로버스 FC11912
허더즈필드 타운 FC11922
카디프 시티 FC11927
셰필드 웬즈데이 FC11935
선덜랜드 AFC11936
포츠머스 FC1 (1)1949*
볼튼 원더러스 FC11958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1 (1)1964*
더비 카운티 FC11975
노팅엄 포레스트 FC11978
아스톤 빌라 FC1 (1)1981*


5. FA 커뮤니티 실드와 대한민국[편집]


  • 2022년 대회 기준
  • 현역은 볼드체로 표기한다.
파일:FA Community Shield.png
순서[20]이름구단대회[21]등번호출전득점구단 성적참가 자격
1박지성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0713명단 제외우승리그 우승
2008명단 제외우승리그 우승
200910준우승리그 우승
201010우승리그 준우승[22]
2011교체 명단우승리그 우승
출전: 2회합계20★★★★-
현재까지 FA 커뮤니티 실드에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는 박지성이 유일하다. 이는 FA 커뮤니티의 출전 자격이 프리미어 리그 우승 구단과 FA컵 우승 구단으로만 한정되기 때문이다.[23] 2009년과 2010년 선발로 출전하여 각각 준우승, 우승을 거두었다. 이외에 2007년과 2008년은 명단 제외되었고, 2011년에는 교체 명단엔 포함되었으나 출전은 하지 못하였다. 리그 우승 구단과 FA컵 우승 구단이 겨루는 이벤트성 대회의 성격이 강해서 시즌을 앞두고 영입한 선수들이나 유망주들을 테스트 하는 경향이 강한 대회다.


6. 관련 문서[편집]





[1] 프리미어 리그, FA컵 두 대회를 같은 구단이 우승했을 경우 FA컵 우승 구단 자격으로 진출[2] 실제로도 우승컵이 아닌 방패를 준다.[3] 2002년에 T모바일에 합병. 당시 에버튼의 메인 스폰서이기도 했다.[4] 1950 브라질 월드컵 잉글랜드 국가대표팀과 캐나다 원정을 하고 온 FA 팀과의 이벤트 매치였다.[5] 사상 최초로 토트넘 홋스퍼가 1부 리그와 FA컵을 동시 석권하는 더블을 달성하면서 FA 팀을 만들어서 대결했다.[6] FA 커뮤니티 실드 창설 이래 두번째로 아스날이 더블을 달성했으나 프리시즌 친선경기 일정으로 참가하지 못해 2부 리그 우승 구단 레스터 시티와 FA컵 준우승 구단 리버풀을 초청했다.[7] 1부 리그 우승 구단 더비 카운티와 FA컵 우승 구단 리즈 유나이티드가 참가 거부하여 1부 리그 4위 구단 맨체스터 시티와 3부 리그 우승 구단 아스톤 빌라를 초청했다.[8] 1부 리그 우승 구단 리버풀과 FA컵 우승 구단 선덜랜드가 참가를 거부해 직전 대회 우승 구단 맨체스터 시티와 2부 리그 우승 구단 번리를 초청했다.[9] 프리미어 리그 우승 구단과 FA컵 우승 구단이 같을 경우(더블) FA컵 우승 구단 자격으로 참가한다. 1994년(맨유 더블, 2위 블랙번), 1996년(맨유 더블, 2위 뉴캐슬), 1999년(맨유 더블, 2위 아스날), 2002년(아스날 더블, 2위 리버풀), 2010년(첼시 더블, 2위 맨유), 2019년(맨시티 더블, 2위 리버풀), 2023년(맨시티 더블, 2위 아스날)이 그러했다.[10]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더블을 달성하면서 프리미어 리그 2위 블랙번 로버스가 FA컵 우승 구단 자격으로 참가[1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더블을 달성하면서 프리미어 리그 2위 뉴캐슬 유나이티드가 FA컵 우승 구단 자격으로 참가[1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더블을 달성하면서 프리미어 리그 2위 아스날이 FA컵 우승 구단 자격으로 참가[13]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웸블리의 재건축으로 인해 한시적으로 개최되었다.[14] 아스날이 더블을 달성하면서 프리미어 리그 2위 리버풀이 FA컵 우승 구단 자격으로 참가[15] 첼시가 더블을 달성하면서 프리미어 리그 2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FA컵 우승 구단 자격으로 참가[16] 2012 런던 올림픽 때문에 웸블리 스타디움을 대체함.[17] 맨체스터 시티가 도메스틱 트레블을 달성하면서 프리미어 리그 2위 리버풀이 FA컵 우승 구단 자격으로 참가[18] UEFA 여자 유로 2022 개최로 인해 10년 만에 웸블리 스타디움이 아닌 직전 대회 우승 구단인 레스터 시티의 홈구장 킹 파워 스타디움에서 개최했다.[19] 맨체스터 시티가 트레블을 달성하면서 프리미어 리그 2위 아스날이 FA컵 우승 구단 자격으로 참가[20] 출전일을 기준으로 한다.[21] 정규 리그와 다르게 단판 승부이기 때문에 대회가 열린 연도만 표기한다.[22] 첼시 FC가 2009-10 시즌 프리미어 리그 우승 구단 자격으로 커뮤니티 실드에 출전했고 그 해 FA컵도 우승했기 때문에 프리미어 리그 준우승 구단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FA컵 우승 자격을 승계하여 출전하였다.[23] 2023년 현재 프리미어리그 우승 경력이 있는 선수는 박지성이 유일하고, 한국인으로서 FA컵 우승을 경험한 선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