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iwgp4thold.jpg
마지막 챔피언이부시 코타
챔피언 등극2021. 1. 4.
레슬킹덤 15
이전 챔피언나이토 테츠야
소속 단체신일본 프로레슬링
New Japan Pro Wrestling
벨트 창설일1987년 6월 12일
벨트 폐지일2021년 3월 4일
공식 홈페이지

1. 소개
2. 역사
2.1. 역대 벨트 디자인들
3. 기록
4. 역대 챔피언 목록



1. 소개[편집]


신일본 프로레슬링챔피언십 중 하나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는 단체를 대표하는 최고의 위상을 가진 1선급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다.

IWGP 헤비웨이트 타이틀 매치 때마다 경기 시작에 앞서 웅장한 BGM과 함께 역대 챔피언들을 돌아보는 영상을 방영하는 것이 관례다.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 타이틀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마찬가지로 사이드 플레이트에 기존 챔피언들의 네임 플레이트를 넣은 것이 특징이다.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벨트의 사이드 플레이트는 2019년 4월 7일 오카다 카즈치카의 획득을 기준으로 단 두 칸만 남아있다. 이후 EVIL과 이부시가 차지하며 남은 두 칸을 채웠다.


2. 역사[편집]


신일본 프로레슬링 창립 당시 단체의 메인 벨트는 안토니오 이노키가 쟈니 파워스를 꺾고 획득한 NWF 헤비급 벨트였는데, 이 타이틀은 1974년 10월 10일에 신일본 프로레슬링 링에서 김일이 도전한 벨트로도 유명하다. 이후 1983년에 헐크 호건이 우승한 제1회 인터내셔널 레슬링 그랑프리 (International Wrestling Grand Prix; IWGP) 대회의 우승 부상 형태로 현 IWGP 벨트의 원형이 처음 등장했다.

정식 챔피언십으로서의 IWGP 헤비급 챔피언십은 제5회 IWGP 대회에서 안토니오 이노키가 마사 사이토를 꺾고 1987년 6월 12일에 료고쿠 국기관에서 초대 챔피언에 등극함으로써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2021년 3월 1일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탄생한다.

그러나 G1 클라이맥스 31의 우승자인 오카다 카즈치카는 기존의 권리증 가방 형태 대신, 4대 IWGP 헤비급 벨트를 권리증 삼아 가지고 다니며 일시적으로 부활하게 되었고 레슬킹덤 16에서 타카기 신고를 상대로 승리해 4대 IWGP 월드 헤비급 챔피언이 된 오카다 카즈치카는 경기가 끝나고 4대 IWGP 헤비급 벨트에 대한 작별 인사를 전하며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1. 역대 벨트 디자인들[편집]


파일:IWGP1.jpg
첫번째 IWGP 벨트.1983년부터 1997년까지 사용되었다.

파일:IWGP2.jpg
두번째 벨트 디자인. 2005년에 세상을 떠난 "미스터 IWGP" 하시모토 신야의 가족에게 증여되면서 역할을 다 할 예정이었지만 서드 벨트와 관련된 문제 때문에 중간에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파일:IWGP_Heavyweight_Championship.jpg
IWGP 서드 벨트라고 불리는 물건인데 안토니오 이노키의 전횡으로 가짜 취급 받았던 시절의 벨트다. 당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 브록 레스너는 비자 문제로 인한 경기 불참 등 여러 문제를 일으켜 IWGP 챔피언 자리를 박탈 당했으나, 브록 레스너는 벨트를 반납하지 않고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떠나고 만다. 때문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은 하시모토 가에 있던 두 번째 벨트를 꺼내 새 챔피언인 타나하시 히로시의 허리에 감아줬지만, 신일본을 떠난 안토니오 이노키가 벨트를 갖고 있던 브록 레스너를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으로 인정하고 자신의 새 단체인 IGF에서 커트 앵글과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경기를 잡아주면서 권리가 꼬이게 되었다. 이 벨트는 2008년 2월 17일, 당시 소유자인 커트 앵글과 세컨드 벨트의 소유자인 나카무라 신스케의 경기를 통해 나카무라가 승리하고 벨트를 통합하면서 사라졌다.

파일:iwgp4thold.jpg
현행 벨트는 데이브 밀리칸(Dave Millican)이란 작가가 만든 것으로 IWGP 헤비웨이트 벨트 이외에 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 벨트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벨트, 그리고 올 엘리트 레슬링AEW 월드 챔피언십 등을 제작했다.

2017년 기준, 현행 벨트의 Heavyweight라고 적혀있는 플레이트의 오른쪽 투명 큐빅이 빠져있었다. 2015년부터 빠져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데 큐빅으로 가득 찬 벨트에서 혼자 구멍이 뻥 뚫려있는 듯하여 허전한 느낌을 주었고, 이후 그 윗 줄의 큐빅 라인 중 우측에서 두번째 큐빅도 빠져버렸다.

파일:iwgp4thnew.jpg
2019년 4월 5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G1 슈퍼카드 대회 기자회견에서 개수한 벨트가 공개되었다.

3. 기록[편집]


초대 챔피언안토니오 이노키
마지막 챔피언이부시 코타
최다 획득 챔피언타나하시 히로시8회
최장기간 챔피언오카다 카즈치카720일
최단기간 챔피언사사키 켄스케16일
최고령 챔피언텐류 겐이치로49세
최연소 챔피언나카무라 신스케23세
최고령 외국인 챔피언스캇 노튼37세
최연소 외국인 챔피언제이 화이트26세


4.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방어 횟수비고
1안토니오 이노키1회1987년 6월 12일 (325일)4회
-공석-1988년 5월 2일-
2후지나미 타츠미1회1988년 5월 8일 (19일)1회
-공석-1988년 5월 27일-
3후지나미 타츠미2회1988년 6월 24일 (285일)7회
-공석-1989년 4월 5일-
4베이더1회1989년 4월 24일 (31일)0회
5사루만 하시밀코프1회1989년 5월 25일 (48일)0회
6초슈 리키1회1989년 7월 12일 (29일)0회
7베이더2회1989년 8월 10일 (374일)4회
8초슈 리키2회1990년 8월 19일 (129일)1회
9후지나미 타츠미3회1990년 12월 26일 (22일)0회
10베이더3회1991년 1월 17일 (46일)0회
11후지나미 타츠미4회1991년 3월 4일 (306일)3회
12초슈 리키3회1992년 1월 4일 (225일)4회
13그레이트 무타1회1992년 8월 16일 (400일)5회
14하시모토 신야1회1993년 9월 20일 (196일)4회
15후지나미 타츠미5회1994년 4월 4일 (27일)0회
16하시모토 신야2회1994년 5월 1일 (367일)9회
17무토 케이지2회1995년 5월 3일 (246일)5회
18타카다 노부히코1회1996년 1월 4일 (116일)1회
19하시모토 신야3회1996년 4월 29일 (489일)7회
20사사키 켄스케1회1997년 8월 31일 (216일)3회
21후지나미 타츠미6회1998년 4월 4일 (126일)2회
22쵸노 마사히로1회1998년 8월 8일 (44일)0회
-공석-1998년 9월 21일-
23스캇 노튼1회1998년 9월 23일 (103일)4회
24무토 케이지3회1999년 1월 4일 (340일)5회
25텐류 겐이치로1회1999년 12월 10일 (25일)0회
26사사키 켄스케2회2000년 1월 4일 (279일)5회
-공석-2000년 10월 9일-
27사사키 켄스케3회2001년 1월 4일 (72일)1회
28스캇 노튼2회2001년 3월 17일 (23일)0회
29후지타 카즈유키1회2001년 4월 9일 (270일)2회
-공석-2002년 1월 4일-
30야스다 타다오1회2002년 2월 16일 (48일)1회
31나가타 유지1회2002년 4월 5일 (392일)10회
32타카야마 요시히로1회2003년 5월 2일 (185일)3회
33텐잔 히로요시1회2003년 11월 3일 (36일)0회
34나카무라 신스케1회2003년 12월 9일 (58일)1회
-공석-2004년 2월 5일-
35텐잔 히로요시2회2004년 2월 15일 (26일)1회
36사사키 켄스케4회2004년 3월 12일 (16일)0회
37밥 샙1회2004년 3월 28일 (66일)1회
-공석-2004년 6월 2일-
38후지타 카즈유키2회2004년 6월 5일 (126일)1회
39사사키 켄스케5회2004년 10월 9일 (64일)2회
40텐잔 히로요시3회2004년 12월 12일 (70일)0회
41코지마 사토시1회2005년 2월 20일 (83일)1회
42텐잔 히로요시4회2005년 5월 14일 (65일)1회
43후지타 카즈유키3회2005년 7월 18일 (82일)0회
44브록 레스너1회2005년 10월 8일 (280일)3회
-공석-2006년 7월 15일-
45타나하시 히로시1회2006년 7월 17일 (270일)4회
46나가타 유지2회2007년 4월 13일 (178일)2회
47타나하시 히로시2회2007년 10월 8일 (88일)1회
48나카무라 신스케2회2008년 1월 4일 (114일)2회
49무토 케이지4회2008년 4월 27일 (252일)4회
50타나하시 히로시3회2009년 1월 4일 (122일)3회
51나카니시 마나부1회2009년 5월 6일 (45일)0회
52타나하시 히로시4회2009년 6월 20일 (58일)1회
-공석-2009년 8월 17일-
53나카무라 신스케3회2009년 9월 27일 (218일)6회
54마카베 토우기1회2010년 5월 3일 (161일)3회
55코지마 사토시2회2010년 10월 11일 (85일)1회
56타나하시 히로시5회2011년 1월 4일 (404일)11회
57오카다 카즈치카1회2012년 2월 12일 (125일)2회
58타나하시 히로시6회2012년 6월 16일 (295일)7회
59오카다 카즈치카2회2013년 4월 7일 (391일)8회
60AJ 스타일스1회2014년 5월 3일 (163일)2회
61타나하시 히로시7회2014년 10월 13일 (121일)1회
62AJ 스타일스2회2015년 2월 11일 (155일)1회
63오카다 카즈치카3회2015년 7월 15일 (280일)3회
64나이토 테츠야1회2016년 4월 10일 (70일)1회
65오카다 카즈치카4회2016년 6월 19일 (720일)12회
66케니 오메가1회2018년 6월 9일 (210일)3회
67타나하시 히로시8회2019년 1월 4일 (38일)0회
68제이 화이트1회2019년 2월 11일 (56일)0회
69오카다 카즈치카5회2019년 4월 7일 (274일)5회
70나이토 테츠야2회2020년 1월 5일 (188일)1회[1]
71EVIL1회2020년 7월 12일 (49일)1회
72나이토 테츠야3회2020년 8월 29일 (128일)1회
73이부시 코타1회2021년 1월 4일2회[2]
[1]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도 건 2관 챔피언십 경기에서 승리.[2] 마지막 챔피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23:14:41에 나무위키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