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aychell

덤프버전 :

레이첼
Raychell
파일:raychell2023profile.jpg
출생1985년 1월 13일 (39세)[1][2]
이바라키현 코가시[3]
직업보컬리스트, 베이시스트
신체172cm , A형[4]
애칭첼, 첼누나, 첼마마
소속 그룹SHAZNA (2017년 ~)
RAISE A SUILEN (2018년 ~)
데뷔2010년 6월 2일 Lay
싱글 1집

(데뷔일로부터 5112일, 13주년)[5]
팬덤드런
소속사에이스 크루 엔터테인먼트
활동가수 (2010년 ~)
성우 (2019년 ~)
링크파일:Ameba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Threads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서명
파일:raychellsign.png
[6]

1. 개요
2. 가수 활동
2.1. 데뷔 초
2.2. 2016~2017년 활동
2.3. BanG Dream! 합류 이후
3. 대인관계
3.1. 팬들과의 소통
4. 디스코그래피
4.1. 싱글 앨범
4.1.1. 1st Single この愛であるように
4.1.2. 2nd Single Smiling!
4.1.3. 3rd Single ひかり
4.1.4. 4th Single Stay Hungry
4.2. 미니 앨범
4.2.1. THE 3RD
4.3. 정규 앨범
4.3.1. L ▶R
4.3.2. Are you ready to FIGHT
4.3.3. DON’T GIVE UP!
5. 출연 작품
5.1. 성우
5.2. 연극
5.3. 영화
5.4. 라디오
5.5. 버라이어티
5.6. 외화
6. 일화
6.1. 한국 관련



1. 개요[편집]




쓸모 없는 것은 하나도 없고, 오히려 노래를 위해 더 배우고 싶어요.

아마, 저는 노래가 없으면 죽어버릴테니까요.

-

ROCK AND READ girls 인터뷰 중


일본가수이자 성우. Shazna의 서브보컬이자 RAISE A SUILEN의 베이스&보컬리스트다.

치유의 가희라는 캐치프레이즈답게 부드러운 발라드부터, 파워풀한 락 장르까지 다양한 장르를 소화해내는 뛰어난 실력의 보컬. 굉장한 실력파임에도 불구하고 약 7~8년간의 오랜 무명생활을 거쳤으나,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 BanG Dream! 에 합류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2. 가수 활동[편집]




2.1. 데뷔 초[편집]


  • 2010년 에이벡스 그룹의 레코드 레이블 Rhythm Zone에서 첫 번째 싱글 앨범 「この愛であるように」로 데뷔했다. 당시 예명은 인디 시절부터 사용한 'Lay'[7]였는데, 2013년부터 Raychell이라는 예명을 사용중이다. 롤모델인 미국의 전설적인 음악가 레이 찰스에서 따온 이름이라고 한다. 본명은 당연하지만 비공개.

  • 데뷔한지 10년이 넘은 베테랑 보컬리스트로, 본래 R&B 가수였기 때문에 오프 비트 리듬을 주로 타왔었는데, 현재 소속사로 들어온 이후 음악 스타일이 바뀌면서 업템포의 강렬한 창법을 요구받아 창법이 변화했다고 한다. 우연히 연습삼아 연주하게 된 베이스로 노래에 박자감을 맞춰가게 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베이시스트 활동도 하게 되었다.

  • 2011년 일본 애니메이션 다마고치! 해피하모니편 일본판의 주제곡을 불렀다. 곡명은 Smiling!


2.2. 2016~2017년 활동[편집]


  • 2016년 영화 무카데 인간3 의 주제가를 불렀다. 곡명은 Krazy.

  • 2016년 게임 바이오하자드 0 리마스터 버전의 테마곡을 불렀다. 곡명은 Unitl The Justice.

  • 2017년 8월 27일에 부활한 신생 Shazna의 서브보컬로 참여하게 되었다.


2.3. BanG Dream! 합류 이후[편집]


  • 같은 소속사의 뮤지션인 오오츠카 사에, 나츠메와 2017년 부시로드 10주년 라이브에 출연하게 된 것을 계기로, 2018년에 RAISE A SUILEN의 전신이 되는 THE THIRD(仮)[8]에 캐스팅된다. 이후 RAS가 애니메이션에도 등장하게 되면서 2019년에는 BanG Dream 2nd Season에서 레이야 역으로 성우 연기에도 데뷔했다. 무대경험 자체는 있어서 연기가 생초보는 아니며, 실제로 생각보다 성우 연기도 괜찮다는 평가를 받았다.

  • 2019년 2월 22일에 RAISE A SUILEN의 보컬로서, 부도칸 걸즈록 부분 최단 시간 입성을 한다. THE THIRD(仮) 결성일을 기준으로는 약 9개월, RAISE A SUILEN 결성일을 기준으로는 약 7개월.

  • 부시로드의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 D4DJ의 히메가미 샤노 역할에 합류하게 되었다.


  • 2022년 9월 26일, 개인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9] 앞으로 커버 영상 외 여러가지 '~해보았다' 계열의 영상을 올릴 것을 예고했다. 팬들의 리퀘스트를 적극 반영하여 커버 영상을 올리니 참고할 것.


3. 대인관계[편집]


  • 상냥한 엄마같은 성격 덕분인지 많은 출연진들이나 스탭들과 원만하게 지낸다.

직접 만든 오니기리들육포 오니기리
파일:오니기리.jpg파일:쟈키오니기리.jpg

  • RAISE A SUILEN 콘서트를 할 때마다 거의 매번 멤버들 뿐 아니라 스탭들의 몫까지 오니기리를 직접 만들어온다. 주먹밥 종류도 다양하고, 콘서트 이름에 맞추어 오니기리의 속재료를 정하기도 한다.[10] 실제 애니메이션 BanG Dream! 3기에서 언급된 육포 오니기리를 준비한 적도 있다! 스팸 오니기리를 만들어오기도 하는데, 스팸을 자주 먹기로 유명한 오키나와현 출신인 멤버 츠무기 리사를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다정한 성격이 드러나는 대표적인 예시.

  • 모니터링에 굉장히 적극적인 편. 본인이 출연한 방송 뿐 아니라, 다른 동료들이 출연한 방송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때가 많다.


3.1. 팬들과의 소통[편집]


  • 팬들과 상당히 활발하게 소통한다. 트위터에서 주로 소통하며, 인스타그램에서도 자주 소식을 확인할 수 있다. 행사 하나가 끝나면 거의 모든 출연진들과 사진을 찍어서 업로드한다. 사진이 많을 경우에는 주로 인스타그램에 업로드 하는 편이니 참고할 것.

  • 트위터에서는 거의 매일 아침 인사를 하는 트윗을 업로드한다. 또한 n년 전 사진을 자주 업로드하는데, 미처 업로드하지 못했던 비하인드 사진이나 당시 활동에 대한 감상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 팬들에게 받은 선물이나 편지를 사진을 찍어 자주 인증해주는데, 혹시라도 실수로 인증해주지 못한 선물이 하나라도 있으면 따로 그 선물만 촬영해서 인증해주기까지 한다.

  • 종종 트위터 스페이스 기능을 사용해서 소통하기도 한다. 스페이스를 진행하는 몇시간 내내 팬들이 올려준 트윗들을 모조리 읽어주는 경우가 많다.

  • 앞서 서술했듯이, 팬들과의 모니터링에 굉장히 적극적이다. 해시태그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본인도 방송 후기를 남기고, 팬들이 남겨주는 후기도 대부분 읽는 편인 듯. 새벽 3시에 기상하고 스케줄이 가득 찼었던 날에도 팬들과 함께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다가 깜빡 잠에 든 일화도 있다.[11] 그만큼 본인의 활동에 애정을 가지고 팬들과 소통하려고 한다.

  • 팬들을 잘 기억한다. 실제로 본인의 기억력이 좋은 편은 아니지만, 트위터에 답글을 달아주거나 라디오에 사연을 보내주면 자기도 모르게 잘 기억하게 된다고 답한 바가 있다.

4. 디스코그래피[편집]


  • Lay 또는 Raychell의 앨범으로 발매된 앨범만 기재함.


4.1. 싱글 앨범[편집]




4.1.1. 1st Single この愛であるように[편집]


1st Single この愛であるように
2010년 6월 2일 발매
파일:この愛であるように.jpg
1この愛であるように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LOVE U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1.2. 2nd Single Smiling![편집]


2nd Single Smiling!
2011년 5월 4일 발매
파일:raychellsmiling.jpg
1Smili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お気に入りの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Flow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1.3. 3rd Single ひかり[편집]


3rd Single ひかり
2013년 11월 13일 발매
파일:raychellhikari.jpg
1ひかり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FL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愛の讃歌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ひかり (Instrumental)
5FLY (Instrumental)



4.1.4. 4th Single Stay Hungry[편집]


4th Single Stay Hungry
2014년 6월 18일 발매
파일:stay hungry.jpg
1Stay Hung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I BELIEV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Stay Hungry (Instrumental)
4I BELIEVE (Instrumental)




4.2. 미니 앨범[편집]




4.2.1. THE 3RD[편집]


THE 3RD
2015년 2월 4일 발매
파일:krazy.jpg
1SHOW ME WHAT U GO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WE ARE O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G_E_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YOU CAN DO I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RIGHT NOW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Stay Hungry –R world Remix–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2.2. 0[편집]


0
2016년 1월 20일 발매
파일:raychell0.jpg
1Welcome to the "R WORLD"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Until the Justic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Don't be afraid!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Kraz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61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Until the Justice -English v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Re; se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3. 정규 앨범[편집]




4.3.1. L ▶R[편집]


L ▶R
2013년 4월 24일 발매
파일:LR.jpg
1Coils of Ligh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FACE FRE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EARTH BEA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Pray to the Mo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Never EV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Flow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妖艶の情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SPE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Feel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LOVE U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この愛であるように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3.2. Are you ready to FIGHT[편집]


Are you ready to FIGHT
2017년 3월 1일 발매
파일:are you ready to fight.png
1Are you ready to FIGH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You make me feel so bad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Into the lov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Formula for happines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Don't stop movi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逢いたい サヨナラ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Are you ready to FIGHT -English versi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You make me feel so bad -English versi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Into the love -English versi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Formula for happiness -English versi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Don't stop moving -English versi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Miss you never agai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3.3. DON’T GIVE UP![편집]


DON’T GIVE UP!
2022년 11월 16일 발매
파일:dontgiveup.jpg
1All for Love (Japanese v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DON'T GIVE UP!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MY WA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COUNTDOW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Blas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Big Wav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Wasting Tim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liar-lia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あなたへ[1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Anytime smokin' cigarette[1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Precious Memories[1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출연 작품[편집]



5.1. 성우[편집]


  • BanG Dream! - 레이야[15]
  • D4DJ First Mix - 히메가미 샤노
  • 요란 THE PRINCESS OF SNOW AND BLOOD - 하나카제 에리나[16][17]


5.2. 연극[편집]


  • 연극 BIOHAZARD THE STAGE (2015) - 소피 홈 역
  • 연극 BIOHAZARD THE Experience (2016) - 출연
  • 음악가극 「のど自慢〜上を向いて歩こう〜」(2017) - 출연


5.3. 영화[편집]


  • 영화 愛・革命 (2018) - 특별 출연
  • 영화 横浜の家族 (2024) - 출연


5.4. 라디오[편집]


  • FM NACK5 R WORLD RADIO 레귤러 코너 - 2010년 10월 7일 ~ 2022년 3월 31일
  • FM ODAWARA 87.9MHz RaychellのエンタメLOVERS♡[18] - 2021년 5월 14일~


5.5. 버라이어티[편집]


  • THE 가라오케★배틀[19]


5.6. 외화[편집]




6. 일화[편집]


  • 아주 어릴때부터 소리를 듣고 기억해서 바로 카피하는 능력이 뛰어났다고. 그래서 CM송을 듣고 정확한 음정으로 흥얼거릴 수 있었다고 한다. 지금도 노래를 익히는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고 한다.

  • 학창 시절 배구부였다. 엄격한 분위기의 배구부라, 선배들보다 머리가 길어서는 안됐기 때문에 아주 짧은 머리를 고수했다고.

  • 존경하는 아티스트는 휘트니 휴스턴. 어릴 적 결혼식을 갔을 때 흘러나오는 휘트니 휴스턴의 I Will Always Love You를 듣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그 덕분에 소울풀한 노래를 자주 부르게 되었다고. 해당 곡은 같은 소속사인 나츠메, Ayasa와의 합동 라이브였던 Music Connect vol.2에서도 불렀다.

  • 가장 어려웠던 커버 녹음으로는 Cry Baby(Official髭男dism) 커버와 열등상등 커버를 언급했다. 특히나 Cry Baby와 같은 경우는 베이스 리듬과 보컬 리듬이 달라서 굉장히 어려웠다고.


6.1. 한국 관련[편집]


  • 안녕하세요, 레이첼입니다. 감사합니다. 이 세마디는 한국어로 확실하게 외운 듯. 라디오나 트위터 스페이스에서 한국 팬이 나타나면 이 세마디를 항상 말해준다.

  • 2014년도경 미니앨범 0 녹음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다.

  • RAISE A SUILEN 멤버인 쿠라치 레오와 일본의 한식당에서 식사한 적이 있다.[20] 사진을 보아 레이첼은 비빔밥, 레오는 순두부찌개를 먹은 듯.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17:49:20에 나무위키 Raychell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식적으로는 출생년도를 공개하지 않았다. 일단 확실한 것은 뱅드림 리얼밴드 중에서 최고령자인 것 정도.[2] 자신이 맡았던 캐릭터 중 BanG Dream!레이야 와 생일이 같다.[3] 코가시 출신 인물을 블로깅하는 블로그에서 2011년 7월 이바라키 방송에 자신이 출연해 코가시 출신임을 밝혔다.[4] ORICON NEWS에서 확인.[5] 본인 명의로 된 앨범을 발매하여 정식 데뷔한 것은 2010년이지만, 무대에 오프닝 액트로 출연하거나 타 가수의 피쳐링으로 참여한 것은 2009년부터.[6] 활동명 변경 후 사인도 함께 변경[7] 이때의 흔적이 Raychell의 트위터 ID(@Lay0113)에도 남아있다. 보통 예명을 바꾸면 트위터 ID도 같이 바꾸는 케이스가 꽤 있는데, Raychell은 딱히 바꾸지 않고 그대로 사용중.[8] 당시에는 리얼밴드가 아닌 타 밴드의 보컬리스트가 무대를 꾸밀 때 세션 밴드로 활동했었다. 이름도 BanG Dream! 프로젝트의 세 번째 리얼 밴드라는 의미에서 붙은 가칭. 공교롭게도 2015년 발매된 Raychell의 미니앨범 타이틀이 THE 3RD인데, 의도된 작명인지는 불분명하다.[9] https://www.youtube.com/channel/UCiMQ-1qB4qHR4bJZ3VRxUkQ[10] 예를 들어 Mythology 콘서트때는 '미솔로지'라는 이름에서 착안하여 미소 오니기리를 만드는 등[11] https://twitter.com/Lay0113/status/1554134492163743744?t=pf1YrJor8P7dt8oi_jM1oQ&s=19[12] 본인이 작곡했다. 자작곡이 앨범으로 나온 것은 처음.[13] globe 커버곡으로, 코무로 테츠야가 직접 피아노 연주를 맡았다.[14] 역시 globe 커버곡으로, 코무로 테츠야가 직접 피아노 연주를 맡았다.[15] 애니메이션, 게임 등 모든 미디어믹스 포함[16] 미디어믹스 계열 애니메이션 외에는 성우로서 첫 배역.[17] 이 애니메이션에서 RAISE A SUILEN 명의로 오프닝과 엔딩 OST도 담당했다.[18] 한국에서도 청취 가능 https://www.jcbasimul.com/fmodawara[19] 일본의 음악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2015년 12월 09일, 2016년 2월 24일, 2017년 5월 10일 3회 출현했다.[20] https://twitter.com/Lay0113/status/961538015968485377?t=MjK8rcCydaXMLSiomQ5lAQ&s=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