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2006년 7월 9일
유형조종사 과실, 활주로 이탈
발생 위치이르쿠츠크 국제공항
기종A310-324
운영사S7 항공
기체 등록번호F-OGYP
출발지도모데도보 국제공항
도착지이르쿠츠크 국제공항
탑승인원승객: 195명
승무원: 8명
사망자승객: 120명
승무원: 5명
생존자승객: 75명
승무원: 3명

1. 개요
2. 사고 진행
3. 사고 원인
4. 유사 사고


파일:679457.png
사고 8일 전, 도모데도보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사진.


1. 개요[편집]


이르쿠츠크에 착륙하던 S7항공 소속 A310이 조종사의 과실로 활주로를 이탈한 사고.

2. 사고 진행[편집]


도모데도보 국제공항을 이륙해 이르쿠츠크에 접근하며 울란바토르에 있던 사이클론의 영향권에 들어가 약한 비를 만나게 된다. 약한 비바람을 뚫고 활주로에 착륙한 778편은 스포일러가 작동했고 역추진이 작동했다. 그러나 778편은 가속되기 시작했고 기체가 활주로 우측으로 기우려 하자 조종사들은 러더를 움직여 겨우겨우 정렬을 맞추었다. 하지만 778편은 이미 활주로의 끝에 도달해 버렸고 결국 차고지를 덮치고 만다.

파일:s7778.jpg
화염에 휩싸인 778편
활주로를 빠르게 지나가는 778편을 보고 이상하다 생각한 소방차량들은 778편이 활주로를 이탈하기도 전에 따라가기 시작했고 이덕분에 빠르게 구조작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

3. 사고 원인[편집]


다수의 언론은 사고 원인을 브레이크 고장으로 보도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사고기가 300ft에서 오토 파일럿과 스로틀을 끈 상태에서 착륙을 했는데 터치다운 직후, 역추진을 가동시켰다. 2번엔진은 정상적으로 역추진을 가동시켰으나 1번 엔진은 역추진이 가동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장은 이 사실을 모르고 2번 엔진의 역추진 레버와 1번 엔진의 출력 레버를 함께 밀었고 이로인해 기체가 우측으로 기울며 가속되었다.


4. 유사 사고[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21:29:29에 나무위키 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