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zone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U+ 인터넷
,
,
,
,
,









U+zone


















  • AKA 인증에서도 MAC 인증을 같이 수행한다. KT나 SK텔레콤은 고객센터/지점에서 휴대폰 Wi-Fi MAC 주소를 등록하지 않아도 AKA 인증으로 바로 보안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는데(비보안 와이파이에 접속하고 싶을 때만 MAC주소를 등록한다.), LG U+는 휴대폰 Wi-Fi MAC 주소를 등록하지 않으면 AKA로도 접속할 수 없다. 즉, 자급제(해외직구 등) 단말기는 반드시 고객센터에서 휴대폰 Wi-Fi MAC 주소를 등록해야만 U+zone을 쓸 수 있다는 뜻이다. 2021년 현재의 경우, 국내 미출시 외산폰도 유심기반으로 인증이 되기에(MAC인증 불필요) 유플러스존 접속이 가능하다.

  • LG U+용 스마트폰은 U+zone이 무조건 1순위로 연결되도록 통신사 커스텀되어 있기 때문에 U+zone이 잡히는 집에서는 자기 집의 와이파이를 잡을 때 매우 골치아프다. 신호가 더 강하게 잡히는 와이파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U+zone이 잡히면 무조건 U+zone부터 잡으려고 하기 때문에 인터넷을 제대로 쓸 수가 없다. 다만 이 문제는 안드로이드 7.0 이상이면 자동으로 연결에 체크를 해제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 다보링크 (HAPD-7500H 등)
  • 인터소프트

  • 다보링크
  • CyberTAN
  • LG전자 - NAPL-5000 (가정용과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