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팔레르모 FC

덤프버전 :

파일:시티 풋볼 그룹 로고.svg
시티 풋볼 그룹
[ 펼치기 · 접기 ]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파일:뉴욕 시티 FC 로고.svg파일:멜버른 시티 FC 로고.svg파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 로고.svg파일:몬테비데오 시티 토르케 로고.svg
맨체스터 시티뉴욕 시티멜버른 시티요코하마 F. 마리노스1몬테비데오 시티
파일:지로나 FC 로고.svg파일:쓰촨 주뉴 엠블럼.svg파일:뭄바이 시티 FC 로고.svg파일:로멀 SK 로고.svg파일:트루아 AC 로고.svg
지로나2쓰촨 주뉴2뭄바이 시티2로멀 SK트루아 AC
파일:팔레르모 FC 로고.svg파일:클루브 볼리바르 로고.svg파일:EC 바이아 로고.svg
팔레르모2클루브 볼리바르3EC 바이아
1: CFG가 지분을 소유 중이나 대주주가 아닌 구단
2: CFG가 대주주이나 타 주주의 지분이 존재하는 산하 구단
3: 지분 인수 없이 파트너십을 체결한 구단





파일:세리에 B 로고.svg
2023-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파일:AC 레지아나 1919 로고.svg
||<width=25%> 파일:칼초 레코 1912 로고.svg
||<width=25%> 파일:모데나 FC 로고.svg
||<width=25%> 파일:SSC 바리 로고.svg
||
||<height=80> 파일:베네치아 FC 로고.svg
||<width=25%> 파일:브레시아 칼초 로고.svg
||<width=25%> 파일:UC 삼프도리아 엠블럼.svg
||<width=25%> 파일:Spezia_Calcio_logo_2023.png[[파일:스페치아 칼초 엠블럼 화이트.svg
||
||<height=80> 파일:아스콜리 칼초 1898 FC 로고.svg
||<width=25%> 파일:FC 쥐트티롤 로고.svg
||<width=25%> 파일:AS 치타델라 로고.svg
||<width=25%> 파일:US 카탄차로 1929 로고.svg
||
||<height=80> 파일:코모 1907 로고.svg
||<width=25%> 파일:코센차 칼초 로고.svg
||<width=25%> 파일:US 크레모네세 로고.svg
||<width=25%> 파일:테르나나 칼초 로고.svg
||
||<height=80> 파일:파르마 칼초 1913 엠블럼.svg
||<width=25%> 파일:팔레르모 FC 엠블럼.svg[[파일:팔레르모 FC 엠블럼 화이트.svg
||<width=25%> 파일:페랄피살로 로고.svg
||<width=25%> 파일:피사 SC 로고.svg
||
||<-2><bgcolor=#004890> {#ffffff ◀}}} [[파일:세리에 A 로고 가로 화이트.png ||<-2><bgcolor=#950a18,#4b4c4e> 세리에 C 참가 클럽 보기
(그룹 A
· 그룹 B · 그룹 C) ||



파일:팔레르모 FC 로고.svg파일:팔레르모 FC 엠블럼 화이트.svg
팔레르모 FC
Palermo FC
정식 명칭Palermo Football Club
별칭Rosanero (핑크블랙), Aquile (독수리들)
약칭PAL
창단1900년 11월 1일 (123주년)[1]
소속 리그세리에 B (Serie B)
연고지시칠리아팔레르모 (Palermo)
홈구장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Stadio Renzo Barbera)
(36,349명 수용)
라이벌파일:칼초 카타니아 로고.svg - 데르비 디 시칠리아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 데르비 델레 두에 시칠레
파일:칼리아리 칼초 로고.svg - 데르비 델레 이솔레
소유주시티 풋볼 그룹 : 94.94%[2]
다리오 미리 (Dario Mirri)[3] : 5%
아미치 로사네로 협회[4](Amici Rosanero Association) : 0.06%
감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우제니오 코리니 (Eugenio Corini)
주장
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테오 브루노리 (Matteo Brunori)
부주장
V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반 마르코니 (Ivan Marconi)[5]
공식 웹사이트파일:팔레르모 FC 엠블럼.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우승 기록
세리에 B
(5회)
1931-32, 1947-48, 1967-68, 2003-04, 2013-14
세리에 C
(1회)
1941-42
세리에 C1
(2회)
1992-93, 2000-01
세리에 C2
(1회)
1987-88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1회)
1992-93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울로 디발라 (Paulo Dybala)
(2012년, From 인스티투토 AC, €11.9m)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하비에르 파스토레 (Javier Pastore)
(2011년, To 파리 생제르맹 FC, €45m)
최근 영입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아드난 카누리치 (Adnan Kanuric)
(2023년, 자유계약)
최근 방출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다리오 사리치 (Dario Šarić)
(2023년, To 안탈리아스포르, €1.8m[6])
최다 출장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베르토 비피 (Roberto Biffi) - 372경기 (1988~1999)
최다 득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브리치오 미콜리 (Fabrizio Miccoli) - 81골 (2007~2013)

2023-24 시즌 유니폼
파일:2324팔레_홈.jpg 파일:2324팔레_원정.jpg파일:2324팔레_써드.jpg파일:PALGKHOME2324.png파일:PALGKAWAY2324.jpg
어웨이서드GK 홈GK 어웨이
메인 스폰서유니폼 메이커슬리브
스폰서
파일:pndgwing.com.png파일:푸마 로고.svg파일:307198566_486899653446277_4817828006508786128_n.png



1. 개요
3. 역사
4. 역대 엠블럼
5. 역대 순위
7. 트레이닝 센터
8. 서포터즈
9. 주요 출신 선수
10. 역대 주장
11. 스쿼드
12. 괴짜(?) 구단주
13. 여담



1. 개요[편집]


파일:IMG_7075.jpg
#SIAMO AQUILE[7]

시칠리아 주의 주도 팔레르모를 연고지로 하며 현재 세리에 B에 참가하고 있다. 주요 애칭은 로사네로(Rosanero, 이탈리아어로 "핑크와 블랙")이다. 클럽의 서포터는 "팔레르모 사람"을 의미하는 팔레르미타노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시칠리아 섬을 연고지로 하는 카타니아 SSD와의 더비는 데르비 디 시칠리아라고 불린다. SSC 나폴리와의 경기는 데르비 델 수드(남부 더비)[8], 칼리아리 칼치오와의 경기는 데르비 델레 이조레 (섬 더비)라고하며, 매번 열띤 경기가 펼쳐지고 있다 .

유럽에서는 드문 분홍색을 팀컬러로 하는 팀으로 알려져 있지만 1900년 11월 1일 창단 후 7년간은 빨강과 파랑을 사용하고 있었다. 현재 색상을 채택하게 된 이유는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고 여러 설이 있지만, 유니폼을 표백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핑크와 블랙이 되어 버렸다는 설이나, 창시자의 한 사람인 조지프 휘터커(Joseph Whitaker)가 승리 또는 패배한 경기 후 마신 리큐어의 '단맛과 쓴맛'을 표현했다는 설이 가장 유명하다.

원래 팀명은 US 치타 디 팔레르모였으나 2019년 해체 후 재창단하면서 SSD 팔레르모를 팀명으로 정했고, 2020년 7월 16일 다시 팔레르모 FC로 변경했다.


2. 유니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팔레르모 FC/유니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팔레르모 FC/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대 엠블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팔레르모 FC/엠블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역대 순위[편집]


파일:팔레르모 FC 로고.svg
팔레르모 FC 역대 순위
[ 펼치기 · 접기 ]

시즌 리그 순위
1930-312세리에 B3
1931-322세리에 B1
1932-331세리에 A13
1933-341세리에 A12
1934-351세리에 A7
1935-361세리에 A15
1936-372세리에 B7
1937-382세리에 B7
1938-392세리에 B7
1939-402세리에 B14
1940-41[1]3세리에 C H조3
1941-423세리에 C H조1
1942-43[2]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1943-44
1944-45
1945-464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중남부7
1946-472세리에 B C조8
1947-482세리에 B C조1
1948-491세리에 A11
1949-501세리에 A13
1950-511세리에 A10
1951-521세리에 A11
1952-531세리에 A16
1953-541세리에 A17
1954-552세리에 B13
1955-562세리에 B2
1956-571세리에 A18
1957-582세리에 B6
1958-592세리에 B2
1959-601세리에 A16
1960-612세리에 B3
1961-621세리에 A8
1962-631세리에 A18
1963-642세리에 B12
1964-652세리에 B11
1965-662세리에 B15
1966-672세리에 B9
1967-682세리에 B1
1968-691세리에 A11
1969-701세리에 A15
1970-712세리에 B13
1971-722세리에 B3
1972-731세리에 A15
1973-742세리에 B7
1974-752세리에 B5
1975-762세리에 B11
1976-772세리에 B12
1977-782세리에 B6
1978-792세리에 B7
1979-802세리에 B9
1980-812세리에 B14
1981-822세리에 B7
1982-832세리에 B15
1983-842세리에 B17
1984-853세리에 C/C1 B조2
1985-862세리에 B16
1986-87[3]4세리에 C2/D-
1987-884세리에 C2/D D조1
1988-893세리에 C/C1 B조3
1989-903세리에 C/C1 B조5
1990-913세리에 C/C1 B조2
1991-922세리에 B18
1992-933세리에 C/C1 B조1
1993-942세리에 B14
1994-952세리에 B12
1995-962세리에 B7
1996-972세리에 B19
1997-983세리에 C/C1 B조14
1998-993세리에 C/C1 B조2
1999-003세리에 C/C1 B조6
2000-013세리에 C/C1 B조1
2001-022세리에 B10
2002-03[4]2세리에 B6
2003-042세리에 B1
2004-051세리에 A6
2005-061세리에 A5
2006-071세리에 A5
2007-081세리에 A11
2008-091세리에 A8
2009-101세리에 A5
2010-111세리에 A8
2011-121세리에 A16
2012-131세리에 A18
2013-142세리에 B1
2014-151세리에 A11
2015-161세리에 A16
2016-171세리에 A19
2017-182세리에 B4
2018-192세리에 B11
2019-204세리에 D I조1
2020-213세리에 C C조7
2021-223세리에 C C조3
2022-232세리에 B9

[1] 기존 '팔레르모 축구 협회'의 파산으로 인한 유벤티나 팔레르모의 순위[2] 24경기까지 치룬 후 연합군의 시칠리아 상륙으로 인한 중단[3] 파산 후 우니오네 스포르티바 팔레르모로 재출발[4] 2002년 7월 21일, 잠파리니가 구단을 인수했다.


6. 경기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에 있는 팔레르모 FC의 홈 구장. 라 파보리타(La Favorita)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있다.1932년 개장하였으며 펠레그리노 산을 배경으로 하여 웅장한 느낌을 주는 역사 깊은 구장이다.


7. 트레이닝 센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팔레르모 FC 시티 풋볼 아카데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서포터즈[편집]



파일:팔레르모 FC 로고.svg
Rosanero Amore Vero


시칠리아 사람들의 높은 외부 이민율과 더불어 원정 경기에서도 꽤 많은 관중을 동원한다. [9]
레전드이자 레체 출신인 파브리치오 미콜리 와의 관계로 레체와 우호적인 관계를 갖고 있으며 파도바와도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가장 큰 경쟁 상대는 역시 같은 시칠리아 섬 내에 위치한 카타니아 SSD이다.
총 86번의 맞대결 중 26승 40무 21패를 기록 중이나 세리에 A에서는 카타니아 SSD가 6승 7무 5패로 약간 우세하다.


9. 주요 출신 선수[편집]



팔레르모 FC 명예의 전당


10. 역대 주장[편집]


[ 펼치기 · 접기 ]

연도별 주장 목록
이름국적포지션기간
가에타노 콘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50
체스미르 비팔렉파일:체코 국기.svgMF1950~1952
아레디오 지모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52~1953
지노 지알로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1953~1954
루치아노 마르케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54~1955
비토리오 베르가모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55~1956
엔조 베네데티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56~1963
알베르토 마라바시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63~1965
브루노 죠르지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65~1966
죠르지오 티나찌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66~1967
죠르지오 코스탄티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1967~1968
그라치아노 란도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68~1969, 1969~1971
마리오 쥬베르토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1969
프랑코 란드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1971~1973
이그나치오 아르콜레오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73~1974
산드로 바넬로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74~1975
에르미니오 파발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75~1978
필리포 치테리오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1978~1979
파우스토 실리포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1979~1982
안토니오 로페즈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82~1983
마우로 디 치코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1983~1984
발레리오 마조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84~1986
죠르지오 카레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1987~1988
도메니코 디 카를로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DF1988~1990
지아코모 모디카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90~1992
마시밀리아노 파보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1992~1994
로베르토 비피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1994~1999
쥬세페 안토나치오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1999~2000
마시밀리아노 카피올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2000~2002
필리포 마니에로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2002~2003
람베르토 자우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2003~2004
에우제니오 코리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2004~2007
안드레아 바르잘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2007~2008
파비오 리베라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2008~2009
파브리치오 미콜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2009~2013
에드가 바레토파일:파라과이 국기.svgMF2013~2015
스테파노 소렌티노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2015~2016
로베르토 비티엘로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2016~2017
일리야 네스토로프스키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FW2017~2019
마리오 산타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MF2019~2021
프란체스코 데 로제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2021~2022
마테오 브루노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2022~현직
틀 정보
출처: 이탈리아 위키피디아/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0월 04일




11. 스쿼드[편집]


[ 펼치기 · 접기 ]

2023-24 시즌[간략]
번호국적포지션한글 이름영문 이름비고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세바스티아노 데플랑슈Sebastiano Desplanches
2파일:덴마크 국기.svgDF시몬 그라우스Simon Graves
3파일:미국 국기.svgDF크리스토퍼 룬트Kristoffer Lund
4파일:프랑스 국기.svgMF클라우디오 고메스Claudio Gomes
5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파비오 루치오니Fabio Lucioni
6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MF레오 스툴라치Leo Štulac
7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레오나르도 만쿠소Leonardo Mancuso[A]
8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야코포 세그레Jacopo Segre
9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마테오 브루노리Matteo Brunori주장
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프란체스코 디 마리아노Francesco Di Mariano
11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로베르토 인시녜Roberto Insigne
12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만프레디 네스폴라Manfredi Nespola
13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GK아드난 카누리치Adnan Kanuric
15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이반 마르코니Ivan Marconi
17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페데리코 디프란체스코Federico Di Francesco
18파일:루마니아 국기.svgDF이오눗 네델챠루Ionuț Nedelcearu
20파일:세르비아 국기.svgMF알리오사 바시치Aljosa Vasic
22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미르코 필리아첼리Mirko Pigliachelli
25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알레시오 부타로Alessio Buttaro
27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에도아르도 솔레리Edoardo Soleri
30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니콜라 발렌테Nicola Valente
31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쥬세페 아우렐리오Giuseppe Aurelio
32파일:이탈리아 국기.svgFW피에트로 체카로니Pietro Ceccaroni
37파일:체코 국기.svgDF알레쉬 마테유Aleš Matějů
53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MF리암 헨더슨Liam Henderson[B]
80파일:세네갈 국기.svgMF마마두 쿨리발리Mamadou Coulibaly[C]
클럽 정보
소유주: 시티 풋볼 그룹 / 감독: 에우제니오 코리니 /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출처: 위키피디아,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9월 12일
[간략]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A] AC 몬차에서 임대[B] 엠폴리 FC에서 임대[C] US 살레르니타나 1919에서 임대





12. 괴짜(?) 구단주[편집]




팔레르모는 구단주 잠파리니를 떼놓고 설명할 수가 없는 팀이다. 부동산과 유통업 전문가 답게 장사 수완이 상당히 대담하고 효율적이었는데 빅클럽들이 유럽 내 선수들을 높은 가격으로 거래하는 것을 보고, 눈을 남미로 돌려 하비에르 파스토레, 파울로 디발라, 프랑코 바스케스를 데려왔으며 남미 재능들의 가격이 오르자 발칸 반도로 눈을 돌려 아르민 바치노비치, 야스민 쿠르티치, 요십 일리치치 등 동구권 선수들을 데려와 스쿼드를 채웠다.[10]

인수 후 본인 재산으로만 약 8000만 유로를 쓸만큼 구단에 투자를 아끼지 않았지만, 세리에의 불안정한 수익 구조와 자치 단체 소유의 경기장 문제[11] 등 구단 운영에는 한계를 느끼고 셀링클럽 기조를 유지하였으며[12] 2000년대 중반 우디네세 칼초와 더불어 많은 중소클럽들의 선망을 받았다.

센세이션했지만 2부리그에서 겨우 한 시즌을 보낸 꼬마에게 클럽 레코드를 지르고, 헐값 50만 유로로 데려온 선수는 매 시즌 10골 이상을 기록하는 주포로 거듭날만큼 안목이 남달랐다. 파스토레 판매 시에는 본인의 친한 인맥까지 동원할만큼[13] 선수 매매에 적극적이었다.

특히나 파스토레 사가에서 나온 인터뷰 스킬이 명문이다.

파스토레의 한쪽 발만 4000만 유로다.


맨체스터 시티의 파스토레 제안 전화를 받았다. 하지만 난 영어를 못한다.[14]

성적을 유지해야 하는 만큼 감독을 굉장히 자주 바꾸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구단 운영 16년동안 50회 이상의 감독을 경질했었다. 한 번 경질했던 감독을 몇 경기 만에 다시 선임하는 기행을 보이는 등 팔레르모의 감독은 파리목숨으로 유명한데 이 중에는 감독이 연장 계약을 거부했거나 유소년 팀 감독을 대행으로 끌어쓴 적도 있어서 약간은 억울한(?) 케이스도 있긴 하다.[15]

한편으로는 팀에 수십년간 존재했던 시칠리아 마피아들과의 커넥션을 완전히 단절시켜버린 인물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살해 협박을 숱하게 받기도 했지만 특유의 기질이 마피아를 상대한다고 어디 가는게 아니라서 눈 하나 꿈쩍하지 않았다.

인수 후 사재를 털어 클럽을 5회나 유럽 대항전에 보낼 만큼, 구단 역사에 큰 획을 그은 구단주 중 하나임에는 틀림없는 인물.


13. 여담[편집]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좋아하는 클럽이라고 인터뷰한 적이 있다.[16]
  • 마리오 산타나(2002-2006, 2019-2021)는 팔레르모에서 세리에 4개 리그(A,B,C,D)를 모두 경험하였다.
  • 포뮬러 1에서 분홍색 메인 컬러를 쓰던 포스 인디아 포뮬러 원 팀 과 교류를 한 적이 있다. #
[1] #[2] 80%를 확보하고 있었으나 훈련장과 클럽하우스 건설 시 자본이 투입되며 추가 지분 14.75% 확보[3] 구단주였던 렌초 바르베라의 손자이다. 미리의 외할머니가 바르베라의 누이.[4] 팔레르모 FC 공식 창립 팬 조직. 재창단 시 구단 운영의 투명성을 위해 일부 주식을 팬 조직에게 할당하였으며, 지분은 낮지만 의결권의 10%를 보유중이다.[5] 마르코니가 23-24 시즌 출전 기회를 얻지 못하면서 보통 제일 클럽에 오래 있던 선수가 맡는다.[6] 임대 후 완전 이적, 임대료 0.2m, 이적료 1.6m[7] '우리는 독수리다'[8] 나폴리팔레르모이탈리아 통일 전 이탈리아 남부를 통치한 양시칠리아 왕국의 중심지였다.[9] 2008년 조사에 따르면 이탈리아 내에서 1,470,000명의 팬들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10] 동유럽 선수를 주로 노린다하여 '팔레르미비치' 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11] 파스토레 매각 후 경기장 설립을 통해 장기적인 수익 모델을 꿈꿨지만 지자체와 협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12] 팔레르모의 실제 수익 구조는 선수 매각만이 유일한 흑자인 구조였다.[13] 지인이었던 사우디 갑부에게 파스토레에 대해 칭찬을 여러번 했는데 이 사우디 갑부의 친구가 파리 생제르맹 FC 수뇌부였다![14] 맨체스터 시티 감독이었던 만치니가 '난 이탈리아어 할줄 아는데?' 라며 재치있게 받아치기도 했다.[15] 잠파리니 휘하 500일을 넘긴 감독은 단 뿐이다.[16] 단순한 립서비스에 가깝긴하다. https://www.facebook.com/watch/?v=1196411580554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