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orld Extreme Cagefighting

덤프버전 :

World Extreme Cagefighting
파일:WEC-logo.jpg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설립일2001년
해체일2010년
창립자스캇 애덤스
리드 해리스
회장스캇 애덤스
리드 해리스
본사미국 네바다 주 클라크 카운티 라스베이거스[1]
소유주ZUFFA[2]

1. 개요
2. 역사
3. 여담
4. 역대 챔피언
4.1. 체급별 타이틀
4.1.1. 슈퍼헤비급
4.1.2. 헤비급
4.1.3. 라이트헤비급
4.1.4. 미들급
4.1.5. 웰터급
4.1.6. 라이트급
4.1.7. 페더급
4.1.8. 밴텀급
4.2. 토너먼트 챔피언



1. 개요[편집]


2001년에 설립되어 2010년까지 존속했던 미국의 종합격투기 단체. 약칭 WEC라고도 불린다.


2. 역사[편집]


2001년 스캇 애덤스와 리드 해리스가 공동으로 창립했다.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캘리포니아주 리무어에 있는 타이치 팰러스 호텔&카지노에서 경기를 열던 평범한 중소단체였다.

2006년 12월 UFC모회사인 ZUFFA가 WEC의 지분을 인수하고 대주주가 되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 애덤스와 해리스는 WEC를 ZUFFA에 매각했고 사장자리를 유지했다. 링은 25피트의 케이지에서 UFC 기준인 30피트의 옥타곤으로 바꿨으며 체급에 있어서 슈퍼헤비급, 헤비급을 폐지하고 밴텀, 페더급을 유지하며[3] 본사도 UFC본사가 있는 라스베이거스로 이전했다. 방송사도 아웃도어를 주로 방영하는 Versus(현 NBC Sports Network)에서 캐나다는 TSN에서 방영하고[4] 장소도 라스베가스 하드락 호텔&카지노에서 열리게했다. 중계는 토드 해리스가 캐스터 해설은 프랭크 미어, 스테판 보너가 맡고 둘이 없을땐 케니 플로리안젠스 펄버가 맡았다. 사실상 UFC 산하단체로 변모했다.

2008년 12월엔 라이트헤비급, 미들급을 폐지하고 선수들을 UFC로 옮겼다.[5]

2009년 2월 통합 MMA룰에 따라 플라이급이 신설되었고 웰터급을 폐지하고 선수들 일부가 UFC로 들어가며 경량급만 돌아가는 단체로 전락했다.

2010년 1월 8일 마운틴 듀 앰프 에너지가 WEC 공식 에너지 드링크가 되었고 모델로 페더급 유라이아 페이버채드 멘데스, 밴텀급의 조셉 베나비데즈가 모델이 되었다.

4월 24일 WEC 처음이자 마지막 PPV이벤트인 WEC 48에서 조 로건과 마이크 골드버그가 해설했고 경기 후 인터뷰는 Versus의 스포츠 아나운서인 크레이그 허머가 맡았다. 메인이벤트는 조제 알도 VS 유라이아 페이버의 페더급 타이틀전이였다.

10월 28일 UFC의 대표인 데이나 화이트가 WEC를 인수한다고 성명했으며 12월 16일에 열린 WEC 53을 마지막으로 UFC에 인수된다.


3. 여담[편집]


초창기 페더급이하 경량급의 요람이며 이들이 UFC로 건너가면서 페더, 밴텀급이 만들어졌고 2014년부터 플라이급이 만들어졌다. 조제 알도, 도미닉 크루즈, 유라이아 페이버, 채드 멘데스, 조셉 베나비데즈, 드미트리우스 존슨, 매니 감부리안, 미구엘 토레스, 미즈가키 타케야 등이 이 단체 소속이었다.

한국에서도 어느 정도 알려져있는데 정찬성이 이 단체에서 큰 이팩트를 보여주며 UFC에 입성해서도 꾸준한 활약을 보여준다.

라이트급 이상에서도 좋은 인재들이 나왔는데 앤서니 페티스, 벤 헨더슨, 더스틴 포이리에, 도널드 세로니, 카를로스 콘딧, 브라이언 스탠 등이 이 단체 출신이다.


4. 역대 챔피언[편집]



4.1. 체급별 타이틀[편집]



4.1.1. 슈퍼헤비급[편집]


※ 체급 상한선: 없음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론 워터맨WEC 72003년 9월제임스 네바레스
WEC 162005년 8월리코 로드리게즈

  • 2007년 ZUFFA에 매각이후 로스터 폐지 .


4.1.2. 헤비급[편집]


※ 체급 상한선: 113.4kg(250lb)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제임스 어빈WEC 122004년 10월후세인 오사니
WEC 152005년 5월덕 마셜
2대브라이언 올슨WEC 182006년 1월라바 존슨
WEC 202006년 5월마이크 카일
  • 초대 챔피언 제임스 어빈은 라이트헤비급으로 내려가며 타이틀을 반납했다.
  • 2007년 ZUFFA에 매각이후 로스터 폐지 .


4.1.3. 라이트헤비급[편집]


※ 체급 상한선: 90.7kg(200lb)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프랭크 샴락WEC 62003년 3월브라이스 파도
2대제이슨 램버트WEC 132005년 1월리처드 몬토야
3대스캇 스미스WEC 172005년 4월타이트 플래처
WEC 182006년 1월저스틴 레번스
4대로둔 신케이드WEC 202006년 5월댄 몰리나
5대덕 마셜WEC 332006년 8월로둔 신케이드
WEC 272007년 5월저스틴 맥엘프레쉬
WEC 312007년 12월아리엘 간두야
6대브라이언 스탠WEC 332008년 3월덕 마셜
7대스티브 캔트웰WEC 352008년 8월브라이언 스탠

  • 초대 챔피언 프랭크 샴락은 2004년 Strikeforce로 이적하며 타이틀을 반납했다.
  • 2대 챔피언 제이슨 램버트는 2005년 8월 UFC로 이적하며 타이틀을 반납했다.
  • 3대 챔피언 스캇 스미스는 WEC 17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우승과 동시에 타이틀을 차지했다.
  • 3대 챔피언 스캇 스미스는 2006년 5월 TUF에 참가하며 타이틀을 반납했다.
  • 2008년 ZUFFA측에서 라이트헤비급을 해체시키고 일부 선수를 UFC로 받아들였다.


4.1.4. 미들급[편집]


※ 체급 상한선: 83.9kg(185lb)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크리스 리벤WEC 92004년 1월마이크 스윅
2대조 릭스WEC 152005년 5월롭 키몬스
2대파울로 필리오WEC 292007년 8월조 덕슨
WEC 312007년 12월차엘 소넨

  • 초대 챔피언 크리스 리벤은 TUF에 참가해 타이틀을 반납했다.
  • 조 릭스는 2대 챔피언에 올랐지만 2007년 ZUFFA가 WEC를 매입하는 과정에서 타이틀이 공석이 되었다.
  • 2008년 12월 ZUFFA측에서 미들급을 해체시키고 일부 선수를 UFC로 받아들였다.


4.1.5. 웰터급[편집]


※ 체급 상한선: 77.1kg(170lb)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닉 디아즈WEC 62003년 3월조 허리
2대쇼니 카터WEC 82003년 10월J.T. 테일러
3대카로 파리시안WEC 102004년 5월쇼니 카터
4대마이크 파일WEC 172005년 10월브렛 버그마크
WEC 182006년 1월쇼니 카터
5대카를로스 콘딧WEC 262007년 3월존 알레시오
WEC 292007년 8월브록 라슨
WEC 322008년 2월카를로 프레이터
WEC 352008년 8월미우라 히로미츠

  • 초대 챔피언 닉 디아즈는 UFC와 계약하며 타이틀을 반납했다.
  • 3대 챔피언 카로 파리시안은 UFC와 계약하며 타이틀을 반납했다.
  • 4대 챔피언 마이크 파일은 2006년 12월 ZUFFA가 WEC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공석이 되었다.
  • 2008년 12월 ZUFFA측에서 웰터급을 해체시키고 일부 선수를 UFC로 받아들였다


4.1.6. 라이트급[편집]


※ 체급 상한선: 70.3kg(155lb)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길버트 멜렌데즈WEC 102004년 5월올라프 알폰소
2대게이브 루디거WEC 122004년 10월올라프 알폰소
WEC 142005년 3월제이슨 맥스웰
WEC 172005년 8월샘 웰스
3대에르메스 프랑카WEC 192006년 3월게이브 루디거
WEC 212006년 6월브랜든 올슨
WEC 242006년 10월네이트 디아즈
4대롭 맥컬로WEC 252007년 1월킷 코프
WEC 302007년 9월리처드 크룩킬턴
5대제이미 바너WEC 322008년 2월롭 맥컬로
WEC 352008년 8월마커스 힉스
WEC 382009년 1월도널드 세로니
잠정벤 헨더슨WEC 432009년 10월도널드 세로니
6대벤 헨더슨WEC 462010년 1월제이미 바너
WEC 482010년 4월도널드 세로니
7대앤서니 페티스WEC 532010년 12월벤 헨더슨

  • 초대 챔피언 길버트 멜렌데즈는 Shooto와 계약하며 타이틀을 반납했다.
  • 3대 챔피언 에르메스 프랑카는 2006년 ZUFFA가 WEC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공석이 되었다.


4.1.7. 페더급[편집]


※ 체급 상한선: 65.8kg(145lb)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콜 에스코베도WEC 52002년 10월필립 페레스
WEC 82003년 10월앤서니 햄릿
2대유라이아 페이버WEC 192006년 3월콜 에스코베도
WEC 252007년 1월조 피어슨
WEC 262007년 3월도미닉 크루즈
WEC 282007년 6월챈스 파라
WEC 312007년 12월제프 커란
WEC 342008년 6월젠스 펄버
3대마이크 브라운WEC 362008년 11월유라이아 페이버
WEC 392009년 3월레너드 가르시아
WEC 412009년 6월유라이아 페이버
4대조제 알도WEC 442009년 11월마이크 브라운
WEC 482010년 4월유라이아 페이버
WEC 512010년 9월매니 감부리안

  • 4대 챔피언 조제 알도는 WEC가 UFC로 넘어간 이후 신설된 페더급의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4.1.8. 밴텀급[편집]


※ 체급 상한선: 61.2kg(135lb)

챔피언대회명날짜상대
초대에디 와인랜드WEC 202006년 5월안토니오 바누엘로스
2대체이스 비비WEC 262007년 3월에디 와인랜드
WEC 302007년 9월하니 야히야
3대미구엘 토레스WEC 322008년 2월체이스 비비
WEC 342008년 6월마에다 요시로
WEC 372008년 12월매니 타피아
WEC 402009년 4월미즈가키 타케야
4대브라이언 보울스WEC 422009년 8월미구엘 토레스
5대도미닉 크루즈WEC 472010년 3월브라이언 보울스
WEC 502010년 8월조셉 베나비데즈
WEC 532010년 12월스캇 조겐슨

  • 5대 챔피언 도미닉 크루즈는 WEC가 UFC로 넘어간 이후 신설된 밴텀급의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4.2. 토너먼트 챔피언[편집]


대회명체급우승날짜준우승
WEC 13헤비급브랜든 베라2005년 1월마이크 화이트헤드
WEC 17라이트헤비급스캇 스미스2005년 10월타이트 플래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2:52:46에 나무위키 World Extreme Cagefighting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 위치는 캘리포니아주 리무어.[2] 2006년부터 인수[3] WEC 인수이후 이 선수들이 신설된 밴텀급, 페더급의 주축이 된다.[4] 이후 The Score로 채널 변경한다.[5] 브라이언 스탠, 스티브 캔트웰등이 UFC로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