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ho?

덤프버전 :

1. 개요
2. 수상경력 및 기록
3. 목록
3.1. who? 세계 인물 시리즈
3.2. who? 인물 사이언스 시리즈
3.3. who? 인물 한국사 시리즈
3.4. who? 아티스트 시리즈
3.5. who? 인물 중국사 시리즈
3.6. who? 스페셜 시리즈
3.7. who? K-pop 시리즈
3.8. who? 한국사 시리즈
4. 비판
4.1. 부적절한 정치적 리더 미화
4.2. 허위 사실과 고증 오류
4.3. 위인 선정 대상 당사자의 동의를 얻지 않은 내용
5. 정리
5.1. 출신지
5.2. 시대
5.2.1. 고대 ~ 18세기
5.2.2. 19세기
5.2.3. 20세기 이후
5.2.4. 현존 인물


1. 개요[편집]


인물의 삶을 그린 어린이 만화로 교양 학습만화이다. 위인전의 현대버전. 2010년 첫 발간.[1]

Why? people과는 엄연히 다른 시리즈이다. Why?예림당에서 출간하고, who?는 다산북스의 어린이 브랜드 다산어린이에서 출간. 두 시리즈가 겹치는 인물들도 있어 독자들이 혼동하기도 한다.

아이들이 가장 만나고 싶고, 닮고 싶어하는 현대 인물 이야기. 각 분야의 최고의 자리에 오른 글로벌 멘토를 소개한다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동시대 인물을 다루고 있어 초등학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인기에 따라 판매가 많이 되는 인물도 있고 그렇지 않은 인물도 있다. 2018년 아시안게임에 남자 축구가 우승하여 금메달을 받자 [who? [[손흥민]]] 판매가 급증했다. BTS 편은 초등학생부터 청소년까지 폭넓은 독자층을 보인다.

260권 이상 출간된 대형 학습만화 시리즈이며 현재까지 꾸준히 출간하고 있다.

기성 세대가 어릴 적 읽었던 위인전은 탄생의 신비, 특출난 어린 시절, 성장기의 비범함 등 일반인과는 다른 특별한 사람으로 그렸었다면 who? 시리즈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으로 시작하여 동시대 인물을 선택하여 평범한 어린 시절, 고난과 시련, 좌절 등을 다루어 그때까지 접하지 못한 새로운 형식의 위인전 시장을 개척했다. who? 시리즈 출간 이후 출판사들이 동시대 인물을 위인전 리스트에 넣었으며 현재까지 이어져 동시대 인물의 이야기를 다루는 책이 늘어났다.

현대의 인물을 다루면서 위인전보다는 인물 학습만화로 보는 것이 더 who? 시리즈의 정체성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현대 사회의 다양한 직업군, 진로 분야에 맞추어 새로운 직업을 소개하고 널리 알려진 화려한 모습 뒤에 숨겨진 어려움과 정상에 자리에 오르기까지 과정을 담고 있어 간접적으로 진로와 직업에 대한 탐색을 할 수 있게 해준다.

해외 인물들을 많이 다루었던 초기작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BTS, 봉준호 등 세계적인 한국 인물들을 다루고 있어 세계 문화예술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한 한국인들의 달라진 위상을 알 수 있게 한다.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인물을 선택하여 책을 보지 않던 아이들까지 관심 있는 인물을 따라 책을 보게끔 만든다. 한국의 감독, 가수, 영화가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된 최근의 흐름과 맞았다고 할 수 있다.

유독 일본인이 없는 편이다. 원래 후세 다쓰지, 데츠카 오사무, 나가이 고, 미야모토 시게루, 토미노 요시유키, 야스히코 요시카즈 등의 인물들이 거론되었으나 국내 정서상 무산된 듯 하다. 그나마 미야자키 하야오는 국내에서 하울센과 치히로, 토토로 덕분에 인지도와 이미지가 높은 편이라서 들어가긴 하였다.

후술하듯 커리어가 끝나지 않은 사람들을 소재로 쓰는 것에 대한 비판[2], 편향적인 위인 선택, 부정확한 설명이 많아 철저한 검증없이 책을 대충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부분이 많다. 성향은 다르지만 자주 비교되는 Why? 시리즈는 역시 오류가 많지만 최소한 학습만화로서의 기능은 있었는데, Who? 시리즈의 경우 그냥 교육적으로는 전혀 가치가 없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

2. 수상경력 및 기록[편집]


  •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10년 연속 수상
  • 소년한국일보 선정 우수어린이도서
  • 어린이 문화진흥회 선정 좋은 어린이책
  • 해외 9개국 저작권 수출


3. 목록[편집]


  • who? 세계 인물 시리즈 (전 40권) - 2010년 첫 출간. 2017년 12월 1일 개정판 출간 시작.
  • who? 인물 사이언스 시리즈 (전 40권) - 2017년 12월 1일 ~
  • who? 인물 한국사 시리즈 (전 40권) - 2018년 2월 1일 ~
  • who? 아티스트 시리즈 (전 40권) - 2018년 6월 1일 ~
  • who? 인물 중국사 시리즈 (전 30권) - 2018년 9월 12일 ~
  • who? 스페셜 시리즈 (지속 출간 중) - 2014년 ~
  • who? K-pop 시리즈 (지속 출간 중) - 2018년 12월 24일 ~
  • who? 한국사 시리즈 (지속 출간 중) - 2022년 12월 1일 ~


3.1. who? 세계 인물 시리즈[편집]


  1. 버락 오바마
  2. 힐러리 클린턴
  3. 에이브러햄 링컨
  4. 마틴 루서 킹
  5. 윈스턴 처칠
  6. 워런 버핏
  7. 넬슨 만델라
  8. 앤드루 카네기
  9. 빌리 브란트
  10. 호찌민
  11. 체 게바라
  12. 무함마드 유누스
  13. 마거릿 대처
  14. 앙겔라 메르켈
  15. 샘 월튼
  16. 김대중
  17.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18. 김순권
  19. 아웅산수지
  20. 마쓰시타 고노스케
  21. 마하트마 간디
  22. 헬렌 켈러
  23. 마더 테레사
  24. 알베르트 슈바이처
  25. 임마누엘 칸트
  26. 로자 룩셈부르크
  27. 카를 마르크스
  28. 노먼 베쑨
  29. 존 메이너드 케인스
  30. 마리아 몬테소리
  31. 피터 드러커
  32. 왕가리 마타이
  33. 마거릿 미드[3]
  34. 프리드리히 니체
  35. 이종욱
  36. 지크문트 프로이트
  37. 존 스튜어트 밀
  38. 하인리히 슐리만
  39. 헨리 데이비드 소로
  40. 버트런드 러셀

여기까지가 <who? 세계인물> 시리즈이다.


3.2. who? 인물 사이언스 시리즈[편집]


  1.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2. 스티븐 호킹
  3. 루이 브라유
  4. 찰스 다윈
  5. 제인 구달
  6. 장 앙리 파브르
  7. 마리 퀴리
  8. 리처드 파인먼
  9. 어니스트 섀클턴
  10. 루이 파스퇴르
  11. 조지 카버[4]
  12. 아멜리아 에어하트
  13. 알렉산더 플레밍
  14. 그레고어 멘델
  15. 칼 세이건
  16. 라이너스 폴링
  17. 빌헬름 뢴트겐
  18. 벤저민 프랭클린
  19. 레이철 카슨
  20. 김택진
  21. 래리 페이지
  22. 스티브 잡스
  23. 빌 게이츠
  24. 토머스 에디슨
  25. 니콜라 테슬라
  26. 알프레드 노벨
  27. 손정의
  28. 라이트 형제
  29. 제임스 와트
  30. 장영실
  31.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32. 카를 벤츠
  33. 마이클 패러데이
  34. 루돌프 디젤
  35. 토머스 텔퍼드[5]
  36. 일론 머스크
  37. 헨리 포드
  38. 헨리 베서머[6]
  39. 앨런 튜링
  40. 윌리엄 쇼클리[7]


3.3. who? 인물 한국사 시리즈[편집]


  1. 단군/주몽 - 고조선과 고구려의 시조
  2. 혁거세/온조 - 신라와 백제를 세운 두 인물
  3. 근초고왕 - 백제의 전성기를 이끈 왕
  4. 광개토 대왕 - 우리 역사 최고의 정복 군주
  5. 진흥왕 - 신라를 대제국으로 성장시킨 왕
  6. 의자왕/계백 - 백제의 마지막 왕과 장군
  7. 연개소문 - 고구려의 마지막 수호자
  8. 김유신 - 삼국 통일의 주역이 된 신라 장군
  9. 대조영 - 발해를 건국한 고구려의 후예
  10. 원효/의상 - 불교의 대중화에 앞장선 두 승려
  11. 장보고 - 동아시아 바다를 호령한 해상 무역왕
  12. 최치원 - 통일 신라의 천재 문장가
  13. 견훤/궁예 - 후삼국 시대를 주도한 두 왕
  14. 왕건 - 한반도를 통일 시킨 고려의 태조
  15. 서희/강감찬 - 붓과 칼로 고려를 지킨 두 영웅
  16. 묘청/김부식 - 고려 보수와 진보 대립의 상징
  17. 의천/지눌 - 불교 종파를 통합시킨 두 승려
  18. 최충헌 - 고려의 권력을 장악한 무신집권자
  19. 공민왕 - 원나라에 대항한 개혁 군주
  20. 정몽주 - 고려의 마지막 충신
  21. 이성계/이방원 - 조선을 건국하고 기틀을 다진 두 왕
  22. 정도전 - 600년 조선 왕조의 설계자
  23. 세종 대왕 - 백성을 사랑한 성군
  24. 김종서/세조 - 신권과 왕권의 대립에 선 두 사람
  25. 조광조 - 유교적 이상 사회를 꿈꾼 개혁 정치가
  26. 이황/이이 - 성리학을 발전시킨 두 학자
  27. 신사임당/허난설헌 - 조선을 대표하는 여성 예술인
  28. 이순신 - 목숨을 다해 나라를 시킨 성웅
  29. 광해군 - 사대주의를 버리고 실리 외교를 추진한 왕
  30. 김홍도/신윤복 - 조선을 화폭에 담아낸 두 천재 화가
  31. 정조 - 백성이 살기 좋은 나라를 꿈꾼 왕
  32. 김만덕/임상옥 - 나눔을 실천한 두 거상
  33. 정여립/홍경래 - 평등한 세상을 꿈꾼 두 반란가
  34. 박지원 - 조선의 민낯을 소설로 드러낸 실학자
  35. 정약용 - 실학을 연구하고 발전시킨 학자
  36. 최제우/최시형 - 민족 종교 동학을 이끈 두 지도자
  37. 김정호/지석영 - 백성의 삶에 도움을 준 두 실학자
  38. 전봉준 - 탐관오리에 맞선 동학 농민군의 지도자
  39. 김옥균 - 조선의 근대화를 꿈꾼 정치가
  40. 흥선 대원군/명성황후 - 조선 말을 이끈 두 인물


3.4. who? 아티스트 시리즈[편집]


  1. 조앤 롤링
  2. 빈센트 반 고흐
  3. 월트 디즈니
  4. 레오나르도 다빈치
  5. 오프라 윈프리
  6. 마이클 잭슨
  7. 코코 샤넬
  8. 스티븐 스필버그
  9. 루트비히 판 베토벤
  10. 안토니 가우디
  11. 김연아
  12. 오드리 헵번
  13. 찰리 채플린
  14. 펠레
  15. 레프 톨스토이
  16. 버지니아 울프
  17. 마이클 조던
  18. 정명훈
  19.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20. 미야자키 하야오
  21. 강수진
  22. 마크 트웨인
  23. 리오넬 메시
  24. 이사도라 덩컨
  25. 앤디 워홀
  26. 백남준
  27. 마일스 데이비스
  28. 안도 다다오
  29. 조지프 퓰리처
  30. 프리다 칼로
  31. 우사인 볼트
  32. 루쉰
  33. 마리아 칼라스
  34. 오귀스트 로댕
  35. 오리아나 팔라치
  36. 프레데리크 쇼팽
  37. 시몬 드 보부아르
  38. 존 레넌
  39. 밥 말리
  40. 파블로 피카소


3.5. who? 인물 중국사 시리즈[편집]


01권
문왕·무왕
성군의 본보기, 문왕과 무왕의 주나라 건국 이야기
상나라·주나라
정치

02권
강태공·관중
제나라의 시작과 번영을 이끈 전국 시대의 두 영웅
주나라
정치

03권
공자·맹자
위대한 사상가로 역사에 영원히 남은 공자와 맹자
춘추전국시대
사상

04권
노자·장자
쉽고 재미있게 읽는 노자와 장자의 철학
춘추 전국 시대
사상

05권
한비자·진시황
법치를 주장한 사상가 한비자와 중국 최초 황제 진시황
춘추 전국 시대·진나라
정치·사상

06권
유방·항우
초한지》의 두 영웅 유방과 항우
진나라·한나라
정치

07권
한무제·사마천
한나라 황금기를 연 한 무제와 《사기》를 집필한 사마천
한나라
정치·문화

08권
조조·유비
난세에 천하를 호령한 《삼국지》의 두 영웅 이야기
삼국 시대
정치

09권
제갈량·사마의
《삼국지》 최고의 전략가 제갈량과 《삼국지》 최후의 승자 사마의의 대결
삼국 시대
정치

10권
왕희지·도연명
중국 서예의 모범 왕희지와 자연을 사랑한 시인 도연명
동진
문화·예술

11권
당 태종·측천무후
당나라를 번영으로 이끈 당 태종과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자 황제 측천무후
당나라
정치

12권
현장 법사
소설 《서유기》 속 실존 인물 현장 법사
당나라
문화·예술

13권
이백·두보
중국 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두 시인, 이백과 두보
당나라
문화·예술

14권
왕안석·소동파
송나라의 명재상 왕안석과 송나라 최고의 시인 소동파
송나라
정치·문화

15권
주희·왕양명
성리학을 집대성한 철학자 주희와 지행합일의 삶을 실천한 왕양명
송나라·명나라
사상

16권
칭기즈 칸
실크 로드를 정복하고 세계 최대 제국을 건설한 몽골의 영웅
몽골 제국-원나라
정치

17권
주원장·영락제
한족 왕조의 중국을 부활시킨 두 황제
명나라
정치

18권
정화
세계를 상대로 교류한 명나라의 대항해가
명나라
정치

19권
강희제·건륭제
청나라의 강건성세를 이룬 두 황제
청나라
정치

20권
임칙서·홍수전
아편 전쟁과 태평천국으로 바라보는 청나라의 역사
청나라
정치

21권
증국번·호설암
청나라 최후의 수호자 증국번과 장사의 신 호설암 이야기
청나라
정치·경제

22권
서태후·이홍장
청나라의 몰락을 앞당긴 서태후와 양무운동을 이끈 이홍장
청나라
정치

23권
캉유웨이·위안스카이
변법 개혁 운동가 캉유웨이와 스스로 황제가 된 야심가 위안스카이
근현대
정치

24권
쑨원
중국의 근대화를 위해 일생을 바친 혁명가
근현대
정치

25권
루쉰
과거 속에 사는 중국 사람들을 글로써 일깨운 문학가 루쉰
근현대
문화·예술

26권
장제스·쑹칭링
국민당을 이끌고 공산당과 싸운 장제스와 중국을 사랑한 여인 쑹칭링
근현대
정치

27권
마오쩌둥
중국에 공산주의 사상을 뿌리내리고 중국 현대사의 문을 연 마오쩌둥
근현대
정치

28권
저우언라이
위대한 이인자로서 중국인들의 존경을 받은 저우언라이
근현대
정치

29권
덩샤오핑
가난한 중국을 부자 나라로 만든 지도자 덩샤오핑 이야기
근현대
정치

30권
시진핑
14억 중국인의 리더 시진핑 이야기로 만나는 멀고도 가까운 이웃 나라 중국
근현대
정치

3.6. who? 스페셜 시리즈[편집]


기존 인물들이 세계적인 해외 인물들 위주였다면 최근에는 봉준호, 손흥민 등 세계적인 한국 인물들을 다루고 있어 세계 문화예술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한 한국인들의 달라진 위상을 알 수 있게 한다.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인물을 선택하여 책을 보지 않던 아이들까지 관심 있는 인물을 따라 책을 보게끔 만드는 결과를 가져온다. 한국의 감독, 가수, 영화가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된 최근의 흐름과 맞았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출판사에서 같은 컨셉의 시리즈를 기획하여 BTS, 이국종을 I am 시리즈로 출간하였다.

  1. 김연아
  2. 류현진
  3. 박지성
  4. 유재석
  5. 일론 머스크
  6. 리오넬 메시
  7. 우사인 볼트
  8. 강수진
  9. 안철수
  10. 문재인
  11. 손석희
  12. 노무현
  13. 김대중
  14. 박종철, 이한열
  15. 이승엽
  16. 앙겔라 메르켈
  17. 손흥민
  18. 시진핑
  19. 김순권
  20. 추신수
  21. 박항서
  22. 노회찬
  23. 조성진
  24. 이국종
  25. 봉준호
  26. 알렉산더 플레밍
  27. 루이 파스퇴르
  28. 이종욱
  29. 도티
  30. 홀트 부부[8]
  31. 페이커
  32. 엔초 페라리, 페루치오 람보르기니[9]
  33. 제프 베이조스
  34. 김연경

3.7. who? K-pop 시리즈[편집]


BTS 출간으로 화제가 되었다.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K-POP 아이돌을 다루는 등 과감한 시도가 출판계와 독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기성세대가 가진 위인전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현재 의미 있는 성과를 이룬 인물을 책으로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 방탄소년단[10]
  2. 보아
  3. TWICE
  4. 아이유
  5. BLACKPINK


3.8. who? 한국사 시리즈[편집]


2022년 12월 1일부터 기존의 인물 한국사 시리즈를 재출간하고 새로운 인물들을 추가한 시리즈.

  1. 단군/주몽
  2. 혁거세/온조
  3. 근초고왕
  4. 광개토 대왕
  5. 진흥왕
  6. 의자왕/계백
  7. 연개소문
  8. 김유신
  9. 대조영
  10. 원효/의상
  11. 장보고
  12. 최치원
  13. 견훤/궁예
  14. 왕건
  15. 서희/강감찬
  16. 묘청/김부식
  17. 의천/지눌
  18. 최충헌
  19. 공민왕
  20. 정몽주
  21. 이성계/이방원
  22. 정도전
  23. 세종대왕
  24. 김종서/세조
  25. 조광조
  26. 이황/이이
  27. 신사임당/허난설헌
  28. 이순신
  29. 광해군
  30. 김홍도/신윤복
  31. 정조
  32. 김만덕/임상옥
  33. 정여립/홍경래
  34. 박지원
  35. 정약용
  36. 최제우/최시형
  37. 김정호/지석영
  38. 전봉준
  39. 김옥균
  40. 흥선 대원군/명성황후
  41. 허준
  42. 선덕 여왕
  43. 윤봉길


4. 비판[편집]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에야 일을 결정할 수 있다'란 속담이 있듯 사람이나 어떤 사건에 대한 평가는 그 사람이 죽고 난 뒤나 일이 완전히 일단락이 된 뒤에야 제대로 내릴 수 있다는 뜻이 있는 말도 있다. 예를 들어 장거정이나 지미 새빌처럼 사후에 죄상이 드러난 사례가 있다.[11]

하지만 이 시리즈는 아직 그 커리어가 완성되지 않고 추후 행보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는 현대 인물까지 다룬다는 비판이 있다.[12]

오류도 가끔씩 보이는데 버락 오바마 편에서 버락 오바마의 아버지의 고향인 케냐를 소개할 때 탄자니아에 있는 세렝게티 국립공원이 케냐에 있다는 오류를 범했다. 마사이마라 국립공원을 등장시켜야 적절하다. 에이브러햄 링컨 편에서 링컨이 16대에 이어 17대에 재선되었다고 나오는데 실제 미국 대통령은 재선되어도 대수가 같다. 스티브 잡스 편에서 넥스트컴퓨터가 아닌넥스트큐브를 6500달러라고 한다. 광해군 편에서는 광해군이 즉위할 때 백성들이 경복궁 광화문 앞에서 절을 하는 모습이 있는데 광해군이 즉위할 때는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전소한 상태였다.앤드루 카네기 편에선 카네기가 마치 진심으로 노동자들을 아꼈던 것처럼 묘사했다.


4.1. 부적절한 정치적 리더 미화[편집]


마오쩌둥[* 이쪽 같은 경우는 마오쩌둥이 주석이 된 1949년까지만 다루고 주석이 된 이후에 27년 동안 한 일은 두 쪽 만에 넘어갔다. 그러니까 1949년에서 바로 사망연도인 1976년으로 바로 시점이 건너뛴 셈. 여기서 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본인은 미래를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 하자 현재도 못보는 지도자가 미래를 어찌 보겠냐며 자신에게 반대하는 자를 탄압하고 이런 개혁은 자신이 원한 게 아니었다고 하는 독재자가 된 영웅 클리셰 적인 장면이 나온다.]#시진핑[13]이라는 명백한 독재자들을 위인으로 소개하고 이들의 행적과 정책에 대해서도 미화를 아끼지 않는 내용도 있다.

호치민 편에서는 명백한 제네바 협약을 위반한 것인 민간인의 적대 행위를 통해 미군을 몰아냈다고 옹호하고 있다.

또한 마거릿 대처에 대해서도 신자유주의 정책의 실패는 나오지 않으며, 윈스턴 처칠 편에서도 그의 전쟁광적 면모와 인도 독립운동 탄압 그리고 대한민국 독립 반대는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고려 시대에 근거 없는 서경 천도를 주장하고 반란을 일으킨데다 그마저도 얼마나 계획성이 없었는지 순식간에 전세가 불리해지고 자기 조직 관리조차 못해 얼마 못 가 살해되어 사실상 묘청의 난이 아닌 조광의 난이라 불러도 될 수준으로 만든 무능의 극치를 달리는 서경파의 꼭두각시 묘청을 다루기도 하였지만 무신정권으로 고려를 말아먹은 최충헌, 청나라군을 불러들여 조선을 망하게 하는데 일조하였으며 사치를 저질러 백성들의 삶을 피폐하게 한 명성황후, 고종관련 평가가 호불호가 갈리긴 하지만 한편으론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해 개혁을 했지만 국권을 피탈당하게 만드는 데 간접적 원인을 제공한 인물이며, 업적이 조금이라도 있다지만 계유정난 당시 단종을 비롯 그를 따르던 많은 신하들을 학살하고 태종과 세종~문종이 만들어 놓은 시스템을 몽땅 망가뜨린 것도 모자라 공신 관리를 못해 왕권 약화에 일조한 세조에 대한 이야기는 잘 언급하지 않는다.

김대중,[14] 노무현, 문재인, 노회찬 등 국내 민주당계 정치인은 있는 반면,[15] 김영삼처럼 보수 성향을 가지고 있는 국내 정치인은 다루지 않는다.[16] 안철수가 있긴 하지만, 이 편이 출간된 2015년에 안철수는 분당하기 전 이후 국민의힘으로 이적하기 전 까진 민주당계 정치인이었다. 정계 입문은 새정치연합 이전까지만 다루고 있고, 주로 프로그래머로 소개되는 편.

김택진 편에선 악명높은 3N의 일원이자 리니지를 만든 선구자이자 엔씨소프트의 사장으로서 한국 MMORPG 온라인 게임이 '대충 외국 게임을 베껴다가 게임 흉내만 내며 단속을 피하는 사이버 도박장'이라는 게이머들의 평가까지 받게 된 데 린저씨와 더불어 엄청난 영향을 준사람이지만 이 책에선 "어떻게 하면 게임 규제에 맞서 한국의 게임문화가 건전해지고 기성세대의 인정을 받을 수 있을까?" "돈 더 벌자고 게임을 사회악으로 만들수는 없다!"라면서 밤낮없이 고뇌하며 한국 게임문화를 걱정하고 비전을 제시하는 훌륭한 인물로 그려졌다. 설상가상으로는 당시 출판일이 2014년이었고 NC소프트는 모바일게임이 없었기에 PC게임보다는 모바일 게임에서 간편히 즐길수 있는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며 마치 김택진이 이끄는 NC소프트가 장인정신으로 PC만 고집한다는 듯이 서술되어 있다.

4.2. 허위 사실과 고증 오류[편집]


이승엽 편에서는 좌투수가 우타자에게 강하고 좌타자에게 약하다고 나온다. 또한 두산 베어스를 두산 베이스, 한화 이글스를 환화 이글스라고 하고 이승엽이 초등학교 시절 대구 중앙초등학교에서 연습하는 장면에서 당시(1980년대 말)에는 없었던 GS25가 있다. 2003년 이승엽이 56홈런을 때려내는 장면에서는 야구팬들이라면 알겠지만 삼성은 당시에는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그런데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라고 설명하는 심각한 고증 오류도 있다.

한국 게이머들에게 악명높은 CEO이자 리니지 시리즈로 주가 100만원까지 찍어본 김택진은 어린 시절 서울에서 택시회사를 운영할 정도로 부유한 부모님 집안에 태어나고 자란 금수저인데 정작 Who?에서는 정말 가난한 흙수저 집안에서 자수성가한 인물로 그려졌다.

존 레논 편에서는 폴 매카트니가 작곡했던 Yesterday, Ob-La-Di, Ob-La-Da 등의 곡들을 존 레논이 작곡한 걸로 나오는 등의 고증 오류도 많다. 특히 오블라디 오블라다는 "폴이 또 엿 같은 할망구 음악(Granny music shit) 만들었네"라며 존 레논이 비꼬았던 적도 있는 곡[17]이라는 점을 보면 인물에 대해 조사하고 만들긴 했는지 의심되는 수준이다.

#심지어는 칭기즈칸을 중국사로 표기했다! 이쪽은 정황상 원나라 태조의 자격으로 넣은 듯한데, 칭기즈 칸 시절에는 몽골 제국의 정체성만 있었으며 원나라를 선포한 쿠빌라이 칸을 함께 넣어야 정복왕조 원나라와의 연계성이 드러난다. 칭기즈 칸이 원 태조인 것은 중국식 왕조인 원나라를 세우고 나중에 추존된 것이다.

4.3. 위인 선정 대상 당사자의 동의를 얻지 않은 내용[편집]


유재석유 퀴즈 온 더 블럭에서 유재석의 위인전을 읽어봤다는 어린이에게 본인이 직접 틀린 내용을 정정해주기도 하였다.# 유재석 본인의 말로는 자신의 의사와 관계없이 발매된 책이었다고 거듭 언급하며 해당 책의 허위 사실에 대하여 난색을 표했다.[18]위의 비판들도 해당 인물들에게 직접 자문을 구하지 않아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는 일부 책들에 한하여 해당 인물이 직접 감수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위인전은 원래 인물에게 허락을 받고 만들지는 않는다. 위인전자서전(회고록)은 다른 것이다. 위인전은 단지 인류 역사에 모범적인 인물이 있었다는 것과 그 인물의 삶을 설명해 주는 일종의 설명문으로, 위인전들을 만든다고 실제 인물에게 제작 허락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서관에 보면 토마스 에디슨이라던가 링컨과 같은 인물들의 위인전이 널려 있는데 그것들이 과연 다 당사자들의 허락을 받고 제작된 것일까? 다만 Who? 의 경우가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who? 가 다루는 사람들은 현재 살아 있는 인물들이기에 확실히 허락이 필요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5. 정리[편집]



5.1. 출신지[편집]


한국에서 만든 작품이라 한국인이 가장 많고, 인물 중국사 시리즈 때문에 중국인은 두 번째로 많다. 그 다음으로 미국인, 영국인 순이다.

20명이 넘어가면 지역별로 분류한다. 중복되면 ☆표시.

국가인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해당 인물
파일:서울특별시 시기.svg 서울특별시근초고왕, 강감찬, 세종 대왕, 세조, 이순신, 허준, 광해군, 정조, 박지원, 흥선 대원군, 지석영, 백남준,☆[19] 이종욱, 정명훈, 손석희, 김택진, 강수진, 이국종, 유재석, 박지성,[20] 아이유, 조성진, 나연, 제니(BLACKPINK), 페이커, 채영
파일:경기도기.svg 경기도왕건, 의천, 공민왕, 조광조, 김홍도, 정약용, 명성황후, 보아, 김연경, 김연아, 진(방탄소년단), RM, 지수(BLACKPINK), 정연, 지효, 다연
파일:경상북도기.png 경상북도혁거세, 진흥왕, 선덕여왕, 원효, 최치원, 궁예, 견훤, 김부식, 정몽주, 정도전, 이황, 최제우, 최시형
파일:부산광역시 시기.svg 부산광역시장영실, 박종철, 노회찬, 안철수,☆[21] 추신수, 지민, 정국(방탄소년단)
불명[22]연개소문, 의상, 대조영, 장보고, 서희, 신윤복
파일:충청남도기.png 충청남도계백?, 의자왕, 김종서, 김옥균, 윤봉길
만주[23]단군?,[24] 주몽, 온조, 광개토 대왕
파일:강원특별자치도기.svg.png 강원특별자치도신사임당, 이이, 허난설헌, 손흥민
파일:경상남도기.png 경상남도노무현, 문재인, 박항서, 안철수[25]
파일:대구광역시 시기.svg 대구광역시봉준호, 이승엽, 슈가(방탄소년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Hwanghae-do_%28ROK%29.svg.png 황해도지눌, 최충헌, 김정호
파일:충북도기.jpg 충청북도김유신, 도티
파일:평안남도 도기 (이북5도위원회).png 평안남도묘청, 홍경래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도기.svg 함경남도이성계, 이방원
파일:전라북도기.png 전라북도정여립, 전봉준
파일:전라남도기.svg 전라남도이한열, 김대중
파일:제주특별자치도기.svg 제주특별자치도김만덕
파일: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도기.svg 평안북도임상옥
파일:울산광역시기.png 울산광역시김순권
파일:인천광역시 시기.svg 인천광역시류현진
파일:광주광역시 시기.svg 광주광역시제이홉
이민자 및 외국 출생로제(BLACKPINK)[26]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국[27]해당 인물
안후이성
관중, 노자, 장자, 조조, 주원장, 이홍장
파일:1px 투명.svg
산시성(섬서성)
문왕, 무왕, 한 무제, 사마천, 당 태종
산둥성
강태공, 공자, 맹자, 제갈량, 왕희지
허난성
한비자, 사마의, 현장, 두보, 위안스카이
장쑤성
항우, 유방, 영락제, 저우언라이
파일:1px 투명.svg
쓰촨성
측천무후, 이백, 소동파, 덩샤오핑
저장성
왕양명, 호설암, 루쉰, 장제스
장시성
도연명, 왕안석, 주희
베이징시
강희제, 건륭제, 시진핑
광둥성
홍수전, 쑨원, 캉유웨이
허베이성
진시황, 유비
후난성
증국번, 마오쩌둥
파일:1px 투명.svg
윈난성
정화
푸젠성
임칙서
산시성(산서성)
서태후
파일:1px 투명.svg
상하이시
쑹칭링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쯔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해당 인물
이민자 및 외국 출생조지프 퓰리처,☆[28] 앤드루 카네기,☆[29]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30] 니콜라 테슬라,☆[31] 알베르트 아인슈타인,☆[32] 윌리엄 쇼클리,☆[33] 백남준,☆[34] 일론 머스크[35]
파일:오하이오 주기.svg 오하이오주윌버 라이트,☆[36] 토머스 에디슨, 오빌 라이트, 스티븐 스필버그
파일:뉴욕 주기.svg 뉴욕주마리아 칼라스,☆[37] 리처드 파인먼, 칼 세이건, 마이클 조던
파일:캘리포니아 주기.svg 캘리포니아주이사도라 덩컨, 윌리엄 쇼클리,☆[38] 스티브 잡스
파일:펜실베이니아 주기.svg 펜실베이니아주레이철 카슨, 마거릿 미드, 앤디 워홀
파일:일리노이 주기.svg 일리노이주월트 디즈니, 마일스 데이비스, 힐러리 클린턴
파일:매사추세츠 주기.svg 매사추세츠주벤저민 프랭클린, 헨리 데이비드 소로
파일:미주리 주기.svg 미주리주마크 트웨인, 조지 카버
파일:인디애나 주기.svg 인디애나주윌버 라이트,☆[39] 마이클 잭슨
파일:미시간 주기.svg 미시간주헨리 포드, 래리 페이지
파일:텍사스 주기.svg 텍사스주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미나(TWICE)[40]
파일:켄터키 주기.svg 켄터키주에이브러햄 링컨
파일:캔자스 주기.svg 캔자스주아멜리아 에어하트
파일:사우스다코타 주기.svg 사우스다코타주해리 홀트
파일:조지아 주기.svg 조지아주마틴 루서 킹
파일:앨라배마 주기.svg 앨라배마주헬렌 켈러
파일:오클라호마 주기.svg 오클라호마주샘 월튼
파일:오리건 주기.svg 오리건주라이너스 폴링
파일:아이오와 주기.svg 아이오와주버사 홀트
파일:네브래스카 주기.svg 네브래스카주워런 버핏
파일:미시시피 주기.svg 미시시피주오프라 윈프리
파일:워싱턴 주기.svg 워싱턴주빌 게이츠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주버락 오바마
파일:뉴멕시코 주기.svg 뉴멕시코주제프 베이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해당 인물
파일:그레이터 런던 시기.svg 런던존 스튜어트 밀, 버지니아 울프, 앨런 튜링, 찰리 채플린, 윌리엄 쇼클리,☆[41] 제인 구달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제임스 와트, 토머스 텔퍼드, 앤드루 카네기,☆[42]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43] 알렉산더 플레밍
파일:1280px-South_East_England_in_England.svg.png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마이클 패러데이, 윈스턴 처칠, 스티븐 호킹
파일:1280px-East_of_England_in_England.svg.png 이스트 오브 잉글랜드헨리 베서머, 존 메이너드 케인스
이민자 및 외국태생어니스트 섀클턴,☆[44] 오드리 헵번[45]
파일:1280px-West_Midlands_in_England.svg.png 웨스트 미들랜즈찰스 다윈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버트런드 러셀
파일:1280px-North_West_England_in_England.svg.png 노스웨스트 잉글랜드존 레넌
파일:1280px-East_Midlands_in_England.svg.png 이스트 미들랜즈[46]마거릿 대처
파일:1280px-South_West_England_in_England.svg.png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조앤 롤링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임마누엘 칸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카를 마르크스, 하인리히 슐리만, 프리드리히 니체, 루돌프 디젤,☆[47] 로자 룩셈부르크,☆[48] 빌헬름 뢴트겐, 카를 벤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49] 알베르트 슈바이처,☆[50] 빌리 브란트, 앙겔라 메르켈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프레데리크 쇼팽,☆[51] 루이 브라유, 루이 파스퇴르, 루돌프 디젤,☆[52] 장 앙리 파브르, 오귀스트 로댕, 마리 퀴리,☆[53] 알베르트 슈바이처,☆[54] 코코 샤넬, 시몬 드 보부아르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마쓰시타 고노스케, 미야자키 하야오, 안도 다다오, 손정의, 모모(TWICE), 사나(TWICE), 미나(TWICE)[5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레오나르도 다빈치, 마리아 몬테소리, 엔초 페라리,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오리아나 팔라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프레데리크 쇼팽,☆[56] 로자 룩셈부르크,☆[57] 마리 퀴리[5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그레고어 멘델,☆[59] 지크문트 프로이트,☆[60] 피터 드러커[61]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알렉산더 그레이엄 벨,☆[62] 노먼 베쑨, 일론 머스크[63]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그레고어 멘델,☆[64] 지크문트 프로이트[65]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안토니 가우디, 파블로 피카소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마하트마 간디, 마더 테레사[6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체 게바라☆,[67] 리오넬 메시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밥 말리, 우사인 볼트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넬슨 만델라, 일론 머스크[68]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칭기즈 칸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빈센트 반 고흐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알프레드 노벨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레프 톨스토이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조지프 퓰리처[6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어니스트 섀클턴[7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니콜라 테슬라[71]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니콜라 테슬라[72]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프리다 칼로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알베르트 아인슈타인[73]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체 게바라[74]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호찌민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마리아 칼라스[75]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오드리 헵번[76]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마더 테레사[77]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마더 테레사[78]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왕가리 마타이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무함마드 유누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펠레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아웅산수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로제(BLACKPINK)[79]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리사(BLACKPINK)


5.2. 시대[편집]


근대 이전의 인물은 한국인과 중국인이 대다수이고 나머지 나라의 사람은 거의 없다.


5.2.1. 고대 ~ 18세기[편집]


인물국가시대
단군파일:대한민국 국기.svg기원전 2333년?[80]
문왕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1152년 ~ 기원전 1056년
무왕파일:중국 대만 국기.svg?년 ~ 기원전 1043년
강태공파일:중국 대만 국기.svg?년 ~ 기원전 1005년
관중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725년 ~ 기원전 645년
공자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
노자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6세기 ~ 기원전 4세기
맹자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372년 ~ 기원전 289년
장자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369년 ~ 기원전 286년
한비자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281년 ~ 기원전 233년
진시황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259년 2월 18일 ~ 기원전 210년 9월 10일
항우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232년 ~ 기원전 202년 12월
유방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256/247년 ~ 기원전 195년 6월 1일
한무제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158년 ~ 기원전 87년 3월 27일
사마천파일:중국 대만 국기.svg기원전 145년 ~ 기원전 86년
주몽파일:대한민국 국기.svg기원전 58년 4월 ~ 기원전 19년 9월(음력)
혁거세파일:대한민국 국기.svg기원전 69년 3월 1일 ~ 4년 3월(음력)
온조파일:대한민국 국기.svg기원전 38년 ~ 28년 2월(음력)
조조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55년 ~ 220년 3월 15일
유비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61년 7월 9일 ~ 223년 6월 10일
제갈량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1년 ~ 234년 10월 8일
사마의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79년 9월 17일 ~ 251년 9월 7일
왕희지파일:중국 대만 국기.svg303년 ~ 361년
근초고왕파일:대한민국 국기.svg300년 ~ 375년 11월(음력)
광개토 대왕파일:대한민국 국기.svg372년 ~ 412년 10월(음력)
도연명파일:중국 대만 국기.svg365년 ~ 427년
진흥왕파일:대한민국 국기.svg534년 ~ 576년 8월(음력)
선덕여왕파일:대한민국 국기.svg580년대 ~ 647년 2월 17일
당 태종파일:중국 대만 국기.svg598년 1월 13일 ~ 649년 7월 10일
계백파일:대한민국 국기.svg?년 ~ 660년 8월 20일
의자왕파일:대한민국 국기.svg590년대 ~ 660년 11월(음력)
현장 법사파일:중국 대만 국기.svg602년 ~ 664년
연개소문파일:대한민국 국기.svg614년? ~ 666년?
김유신파일:대한민국 국기.svg595년 ~ 673년 7월 1일(음력)
원효파일:대한민국 국기.svg617년 ~ 686년 4월 28일
의상파일:대한민국 국기.svg불명2 625년 ~ 702년
측천무후파일:중국 대만 국기.svg654년 2월 17일 ~ 705년 12월 16일
대조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년 ~ 719년 6월(음력)
이백파일:중국 대만 국기.svg701년 2월 8일 ~ 762년
두보파일:중국 대만 국기.svg712년 ~ 770년
장보고파일:대한민국 국기.svg780년대 ~ 846년
최치원파일:대한민국 국기.svg857년 ~ 908년 이후
궁예파일:대한민국 국기.svg857/869년 ~ 918년 7월 24일
견훤파일:대한민국 국기.svg867년 ~ 936년 9월 26일
왕건파일:대한민국 국기.svg877년 1월 31일 ~ 943년 7월 4일
서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942년 ~ 998년 8월 8일
강감찬파일:대한민국 국기.svg948년 12월 22일 ~ 1031년 9월 9일
왕안석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021년 12월 18일 ~ 1086년 5월 21일
소동파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037년 ~ 1101년
의천파일:대한민국 국기.svg1055년 10월 30일 ~ 1101년 10월 28일
묘청파일:대한민국 국기.svg?년 ~ 1135년
김부식파일:대한민국 국기.svg1075년 ~ 1175년
주희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130년 10월 18일 ~ 1200년 4월 23일
지눌파일:대한민국 국기.svg1158년 ~ 1210년 4월 22일
최충헌파일:대한민국 국기.svg1149년 ~ 1219년 10월 29일
칭기즈 칸파일:몽골 국기.svg1162년 11월 12일 ~ 1227년 8월 25일
공민왕파일:대한민국 국기.svg1330년 5월 31일 ~ 1374년 9월 22일
정몽주파일:대한민국 국기.svg1338년 1월 13일 ~ 1392년 4월 26일
주원장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328년 10월 21일 ~ 1398년 6월 24일
정도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336년 10월 6일 ~ 1398년 10월 6일
이성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335년 11월 4일 ~ 1408년 6월 27일
이방원파일:대한민국 국기.svg1367년 6월 27일 ~ 1422년 6월 8일
영락제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360년 5월 2일 ~ 1424년 8월 12일
정화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371년 ~ 1434년
장영실파일:대한민국 국기.svg1390년대 ~ 1442년 이후
세종 대왕파일:대한민국 국기.svg1397년 5월 15일 ~ 1450년 4월 8일
김종서파일:대한민국 국기.svg1383년 ~ 1453년 11월 10일
세조파일:대한민국 국기.svg1417년 11월 17일 ~ 1468년 10월 2일
레오나르도 다빈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1452년 4월 15일 ~ 1519년 5월 2일
조광조파일:대한민국 국기.svg1482년 9월 22일 ~ 1520년 1월 10일
왕양명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472년 10월 31일 ~ 1529년 1월 9일
신사임당파일:대한민국 국기.svg1504년 12월 5일 ~ 1551년 6월 20일
이황파일:대한민국 국기.svg1502년 1월 3일 ~ 1571년 1월 3일
이이파일:대한민국 국기.svg1537년 1월 17일 ~ 1584년 2월 27일
허난설헌파일:대한민국 국기.svg1563년 ~ 1589년 5월 3일
정여립파일:대한민국 국기.svg1546년 ~ 1589년 10월 17일
이순신파일:대한민국 국기.svg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허준파일:대한민국 국기.svg1539년 ~ 1615년 10월 9일
광해군파일:대한민국 국기.svg1575년 6월 14일 ~ 1641년 7월 28일
강희제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654년 5월 4일 ~ 1722년 12월 20일
벤저민 프랭클린파일:미국 국기.svg1706년 1월 17일 ~ 1790년 4월 17일
건륭제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711년 9월 25일 ~ 1799년 2월 7일
정조파일:대한민국 국기.svg1752년 10월 28일 ~ 1800년 8월 6일


5.2.2. 19세기[편집]


임마누엘 칸트파일:독일 국기.svg1724년 4월 22일 ~ 1804년 2월 12일
박지원파일:대한민국 국기.svg1737년 3월 5일 ~ 1805년 12월 10일
김홍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745년 ~ 1805년 이후
홍경래파일:대한민국 국기.svg1770년 ~ 1812년 5월 29일
김만덕파일:대한민국 국기.svg1739년 ~ 1812년 10월 22일
신윤복파일:대한민국 국기.svg1758년 ~ 1818년
제임스 와트파일:영국 국기.svg1736년 1월 19일 ~ 1819년 8월 25일
루트비히 판 베토벤파일:독일 국기.svg1770년 12월 17일 ~ 1827년 3월 26일
토머스 텔퍼드파일:영국 국기.svg1757년 8월 9일 ~ 1834년 9월 2일
정약용파일:대한민국 국기.svg1762년 8월 5일 ~ 1836년 4월 7일
프레데리크 쇼팽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1810년 3월 1일 ~ 1849년 10월 17일
임칙서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785년 8월 30일 ~ 1850년 11월 22일
루이 브라유파일:프랑스 국기.svg1809년 1월 4일 ~ 1852년 1월 16일
임상옥파일:대한민국 국기.svg1779년 ~ 1855년
헨리 데이비드 소로파일:미국 국기.svg1817년 7월 12일 ~ 1862년 5월 6일
최제우파일:대한민국 국기.svg1824년 12월 18일 ~ 1864년 4월 15일
홍수전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14년 1월 1일 ~ 1864년 6월 1일
에이브러햄 링컨파일:미국 국기.svg1809년 2월 12일 ~ 1865년 4월 15일
김정호파일:대한민국 국기.svg1804년? ~ 1866년?
마이클 패러데이파일:영국 국기.svg1791년 9월 22일 ~ 1867년 8월 25일
증국번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11년 11월 26일 ~ 1872년 3월 12일
존 스튜어트 밀파일:영국 국기.svg1806년 5월 20일 ~ 1873년 5월 8일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파일:덴마크 국기.svg1805년 4월 2일 ~ 1875년 8월 4일
찰스 다윈파일:영국 국기.svg1809년 2월 12일 ~ 1882년 4월 19일
카를 마르크스파일:독일 국기.svg1818년 5월 5일 ~ 1883년 3월 14일
그레고어 멘델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1822년 7월 20일 > 1884년 1월 6일
호설암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23년 9월 29일 ~ 1885년 12월 6일
빈센트 반 고흐파일:네덜란드 국기.svg1858년 8월 30일 ~ 1890년 7월 29일
하인리히 슐리만파일:독일 국기.svg1822년 1월 6일 ~ 1890년 12월 26일
김옥균파일:대한민국 국기.svg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
전봉준파일:대한민국 국기.svg1855년 1월 10일 ~ 1895년 4월 24일
루이 파스퇴르파일:프랑스 국기.svg1828년 12월 27일 ~ 1895년 9월 28일
명성황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851년 11월 17일 ~ 1895년 10월 8일
알프레드 노벨파일:스웨덴 국기.svg1833년 10월 21일 ~ 1896년 12월 10일
흥선 대원군파일:대한민국 국기.svg1821년 1월 24일 ~ 1898년 2월 22일
헨리 베서머파일:영국 국기.svg1813년 1월 19일 ~ 1898년 3월 15일
최시형파일:대한민국 국기.svg1821년 3월 21일 ~ 1898년 6월 2일
프리드리히 니체파일:독일 국기.svg1844년 10월 15일 ~ 1900년 8월 25일


5.2.3. 20세기 이후[편집]


이홍장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23년 2월 15일 ~ 1901년 11월 7일
서태후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36년 1월 17일 ~ 1908년 12월 8일
마크 트웨인파일:미국 국기.svg1835년 11월 3일 ~ 1910년 4월 21일
레프 톨스토이파일:러시아 국기.svg1828년 9월 9일 ~ 1910년 11월 20일
조지프 퓰리처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1847년 4월 7일 ~ 1911년 10월 29일
윌버 라이트파일:미국 국기.svg1867년 4월 16일 ~ 1912년 5월 30일
루돌프 디젤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1858년 3월 18일 ~ 1913년 9월 29일
장 앙리 파브르파일:프랑스 국기.svg1823년 12월 23일 ~ 1915년 8월 11일
위안스카이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59년 8월 20일 ~ 1916년 6월 6일
오귀스트 로댕파일:프랑스 국기.svg1840년 11월 12일 ~ 1917년 11월 17일
로자 룩셈부르크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1871년 3월 5일 ~ 1919년 1월 15일
앤드루 카네기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1835년 11월 25일 ~ 1919년 8월 11일
어니스트 섀클턴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1874년 2월 15일 ~ 1922년 1월 5일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1847년 4월 4일 ~ 1922년 8월 2일
빌헬름 뢴트겐파일:독일 국기.svg1845년 3월 27일 ~ 1923년 2월 10일
쑨원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61년 11월 12일 ~ 1925년 3월 12일
안토니 가우디파일:스페인 국기.svg1856년 6월 25일 ~ 1926년 6월 10일
캉유웨이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58년 3월 19일 ~ 1927년 3월 31일
이사도라 덩컨파일:미국 국기.svg1878년 5월 26일 ~ 1927년 9월 14일
카를 벤츠파일:독일 국기.svg1844년 11월 26일 ~ 1929년 4월 4일
토머스 에디슨파일:미국 국기.svg1847년 2월 11일 ~ 1931년 10월 18일
윤봉길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08년 6월 21일 ~ 1932년 12월 19일
마리 퀴리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1867년 11월 7일 ~ 1934년 7월 4일
지석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1855년 5월 15일 ~ 1935년 2월 1일
루쉰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81년 9월 25일 ~ 1936년 10월 19일
아멜리아 에어하트파일:미국 국기.svg1897년 7월 27일 ~ 1937년 7월 2일(실종)
지크문트 프로이트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1856년 5월 6일 ~ 1939년 9월 23일
노먼 베쑨파일:캐나다 국기.svg1890년 3월 3일 ~ 1939년 11월 12일
버지니아 울프파일:영국 국기.svg1882년 1월 25일 ~ 1941년 3월 28일
조지 카버파일:미국 국기.svg1864년 ~ 1943년 1월 5일
니콜라 테슬라[81]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1856년 7월 10일 ~ 1943년 1월 7일
존 메이너드 케인스파일:영국 국기.svg1883년 6월 5일 ~ 1946년 3월 21일
헨리 포드파일:미국 국기.svg1863년 7월 30일 ~ 1947년 4월 7일
마하트마 간디파일:인도 국기.svg1869년 10월 2일 ~ 1948년 1월 30일
오빌 라이트파일:미국 국기.svg1871년 8월 19일 ~ 1948년 1월 30일[82]
마리아 몬테소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1881년 8월 31일 ~ 1952년 5월 6일
앨런 튜링파일:영국 국기.svg1912년 6월 23일 ~ 1954년 6월 7일
프리다 칼로파일:멕시코 국기.svg1907년 7월 6일 ~ 1954년 7월 13일
알렉산더 플레밍파일:영국 국기.svg1881년 8월 6일 ~ 1955년 3월 11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1879년 3월 14일 ~ 1955년 4월 18일
레이철 카슨파일:미국 국기.svg1907년 5월 27일 ~ 1964년 4월 14일
해리 홀트파일:미국 국기.svg1905년 ~ 1964년 4월 28일
윈스턴 처칠파일:영국 국기.svg1874년 11월 30일 ~ 1965년 1월 24일
알베르트 슈바이처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1875년 1월 14일 ~ 1965년 9월 4일
월트 디즈니파일:미국 국기.svg1901년 12월 5일 ~ 1966년 12월 15일
체 게바라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1928년 6월 14일 ~ 1967년 10월 9일
마틴 루서 킹파일:미국 국기.svg1929년 1월 15일 ~ 1968년 4월 4일
헬렌 켈러파일:미국 국기.svg1880년 6월 27일 ~ 1968년 6월 1일
드와이트 아이젠하워파일:미국 국기.svg1890년 10월 14일 ~ 1969년 3월 28일
호찌민파일:베트남 국기.svg1890년 5월 19일 ~ 1969년 9월 2일
버트런드 러셀파일:영국 국기.svg1872년 5월 18일 ~ 1970년 2월 2일
코코 샤넬파일:프랑스 국기.svg1883년 8월 19일 ~ 1971년 1월 10일
파블로 피카소파일:스페인 국기.svg1881년 10월 25일 ~ 1973년 4월 8일
장제스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87년 10월 31일 ~ 1975년 4월 5일
저우언라이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98년 3월 5일 ~ 1976년 1월 8일
마오쩌둥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93년 12월 26일 ~ 1976년 9월 9일
마리아 칼라스파일:미국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1923년 12월 2일 > 1977년 9월 16일
찰리 채플린파일:영국 국기.svg1889년 4월 16일 ~ 1977년 12월 25일
마거릿 미드파일:미국 국기.svg1901년 12월 16일 ~ 1978년 11월 15일
존 레넌파일:영국 국기.svg1940년 10월 9일 ~ 1980년 12월 8일
밥 말리파일:자메이카 국기.svg1945년 2월 6일 ~ 1981년 5월 11일
쑹칭링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892년 1월 27일 ~ 1981년 5월 29일
시몬 드 보부아르파일:프랑스 국기.svg1908년 1월 9일 ~ 1986년 4월 14일
박종철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5년 4월 1일 ~ 1987년 1월 14일
앤디 워홀파일:미국 국기.svg1928년 8월 28일 ~ 1987년 2월 22일
이한열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6년 8월 29일 ~ 1987년 7월 5일
리처드 파인먼파일:미국 국기.svg1919년 5월 11일 ~ 1988년 2월 15일
엔초 페라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1898년 2월 18일 ~ 1988년 8월 14일
마쓰시타 고노스케파일:일본 국기.svg1894년 11월 27일 ~ 1989년 4월 27일
윌리엄 쇼클리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1910년 2월 13일 ~ 1989년 8월 12일
마일스 데이비스파일:미국 국기.svg1926년 5월 26일 ~ 1991년 9월 28일
샘 월튼파일:미국 국기.svg1918년 3월 29일 ~ 1992년 4월 5일
빌리 브란트파일:독일 국기.svg1913년 12월 18일 ~ 1992년 10월 8일
오드리 헵번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1929년 5월 4일 ~ 1993년 1월 20일
페루치오 람보르기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16년 4월 28일 ~ 1993년 2월 20일
라이너스 폴링파일:미국 국기.svg1901년 2월 28일 ~ 1994년 8월 19일
칼 세이건파일:미국 국기.svg1934년 11월 9일 ~ 1996년 12월 20일
덩샤오핑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904년 8월 22일 ~ 1997년 2월 19일
마더 테레사[83]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1910년 8월 26일 ~ 1997년 9월 5일
버사 홀트파일:미국 국기.svg1904년 2월 5일 ~ 2000년 7월 31일
피터 드러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1909년 11월 19일 ~ 2005년 11월 11일
백남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1932년 7월 20일 ~ 2006년 1월 29일
이종욱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45년 4월 12일 ~ 2006년 5월 22일
오리아나 팔라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29년 6월 29일 ~ 2006년 9월 14일
노무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46년 9월 1일 ~ 2009년 5월 23일
마이클 잭슨파일:미국 국기.svg1958년 8월 29일 ~ 2009년 6월 25일
김대중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
왕가리 마타이파일:케냐 국기.svg1940년 4월 1일 ~ 2011년 9월 25일
스티브 잡스파일:미국 국기.svg1955년 2월 24일 ~ 2011년 10월 5일
마거릿 대처파일:영국 국기.svg1925년 10월 13일 ~ 2013년 4월 8일
넬슨 만델라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1918년 7월 18일 ~ 2013년 12월 5일
스티븐 호킹파일:영국 국기.svg1942년 1월 8일 ~ 2018년 3월 14일
노회찬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56년 8월 31일 ~ 2018년 7월 23일


5.2.4. 현존 인물[편집]


현재는 사망했어도 발매 당시 생존해 있었으면 기재.

워런 버핏파일:미국 국기.svg1930년 8월 30일 ~
제인 구달파일:영국 국기.svg1934년 4월 3일 ~
무함마드 유누스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1940년 6월 28일 ~
펠레파일:브라질 국기.svg1940년 10월 23일 ~ 2022년 12월 29일
미야자키 하야오파일:일본 국기.svg1941년 1월 5일 ~
안도 다다오파일:일본 국기.svg1941년 9월 13일 ~
김순권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45년 5월 1일 ~
아웅산수지파일:미얀마 국기.svg1945년 6월 19일 ~
스티븐 스필버그파일:미국 국기.svg1946년 12월 18일 ~
힐러리 클린턴파일:미국 국기.svg1947년 10월 26일 ~
정명훈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53년 1월 22일 ~
문재인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53년 1월 24일 ~
시진핑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953년 6월 15일 ~
오프라 윈프리파일:미국 국기.svg1954년 1월 29일 ~
앙겔라 메르켈파일:독일 국기.svg1954년 7월 17일 ~
빌 게이츠파일:미국 국기.svg1955년 10월 28일 ~
손석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56년 7월 27일 ~
손정의파일:일본 국기.svg1957년 8월 11일 ~
박항서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57년 10월 1일 ~
버락 오바마파일:미국 국기.svg1961년 8월 4일 ~
안철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2년 2월 26일 ~
마이클 조던파일:미국 국기.svg1963년 2월 17일 ~
제프 베이조스파일:미국 국기.svg1964년 1월 12일 ~
조앤 롤링파일:영국 국기.svg1965년 7월 31일 ~
김택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7년 3월 14일 ~
강수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7년 4월 27일 ~
이국종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9년 4월 22일 ~
봉준호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9년 9월 14일 ~
일론 머스크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1971년 6월 28일 ~
유재석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2년 8월 14일 ~
래리 페이지파일:미국 국기.svg1973년 3월 26일 ~
이승엽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6년 10월 11일 ~
박지성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1년 3월 30일 ~
추신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2년 7월 13일 ~
우사인 볼트파일:자메이카 국기.svg1986년 8월 21일 ~
보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11월 5일 ~
도티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12월 10일 ~
류현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3월 25일 ~
리오넬 메시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1987년 6월 24일 ~
김연경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2월 26일 ~
김연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0년 9월 5일 ~
손흥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2년 7월 8일 ~
진(방탄소년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2년 12월 4일 ~
슈가(방탄소년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3년 3월 9일 ~
아이유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3년 5월 16일 ~
제이홉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4년 2월 18일 ~
조성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4년 5월 28일 ~
RM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4년 9월 12일 ~
지수(BLACKPIN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5년 1월 3일 ~
나연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5년 9월 22일 ~
지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5년 10월 13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5년 12월 30일 ~
제니(BLACKPIN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6년 1월 16일 ~
페이커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6년 5월 7일 ~
정연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6년 11월 1일 ~
모모(TWICE)파일:일본 국기.svg1996년 11월 9일 ~
사나(TWICE)파일:일본 국기.svg1996년 12월 29일 ~
지효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7년 2월 1일 ~
로제(BLACKPINK)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7년 2월 11일 ~
미나(TWICE)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1997년 3월 24일 ~
리사(BLACKPINK)파일:태국 국기.svg1997년 3월 27일 ~
정국(방탄소년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7년 9월 1일 ~
다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8년 5월 28일 ~
채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9년 4월 23일 ~
쯔위파일:중국 대만 국기.svg1999년 6월 14일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16:27:24에 나무위키 who?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쟁 아동만화인 Why? people은 2년 뒤인 2012년에 첫 발간되었다.[2] 그러면서도 심지어 본인에게 사실확인조차 되지 않은 자신들만의 뇌피셜을 잔뜩 넣어 책을 만드니 더욱 심각하다.[3] 원시부족을 연구한 문화인류학자.#[4] 땅콩 박사로 알려진 흑인 노예 출신의 농학자.#[5] 산업혁명 시기 영국의 토목공학자.#[6] 19세기 영국의 발명가. #[7] 반도체의 아버지로 불리는 물리학자.#[8] 홀트아동복지회의 창시자들.# 아내 버사 홀트(Bertha Holt)는 1904년 2월 5일 아이오와 디모인 출생, 2000년 7월 31일 사망. 남편 해리 홀트(Harry Holt)는 1905년 사우스다코타 출생, 1964년 4월 28일 사망.[9] 람보르기니 자동차의 창시자.[10] 슈가의 손가락이 6개로 그려지는 실수가 있었으나 수정해서 판매되고 있다.[11] 장거정은 비리가 드러나며 충격받은 만력제가 임진왜란때까지 태업했고, 지미 새빌은 성범죄사실이 드러나며 무덤이 철거됐다.[12] 몇백년전의 인물인 세조광해군도 시대에 따라 평가가 바뀐 사례가 있다.[13] 이쪽은 전세계에 일대일로를 통해 나아간다고 하면서 끝나는데 정책의 폐해에 대한 이야기는 빠졌다.[14] 엄밀히 말해 김대중은 신자유주의보수자유주의에 가깝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민주당계 정당은 해외 기준으로 보수 성향이란 색채가 강하며 당 내에서도 스펙트럼이 넓은 편이지만 진보 좌파 진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도 한 부분이다.[15] 특히 김대중, 노무현, 노회찬은 고인이지만 문재인은 생존 시, 그것도 대통령 재임 중에 나온 거라 논란의 소지가 있다.[16]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의 경우 독재자라는 논란은 있지만, 김영삼은 김대중과 같은 민주화운동가임에도 3당 합당 후 보수진영으로 간 탓인지 등장하지 않는다. 혹시 마지막이 좋지 않기 때문일수도 있다. 노무현 편에서 노무현이 존경한 인물 중 하나로 소개되는 수준이다.[17] 다만 존이 비판했던 건 오블라디 오블라다의 초기 버전이며, 이 곡의 도입부를 존이 만들었기도 했다.[18] 여담으로 유재석이 개그맨 합격 명단을 확인하는 장면에서 유재석 이름 옆에 유병재의 이름이 쓰여져 있는데, 이는 유재석과 유병재가 같은 기수라는 착각을 심어줄수 있다.[19] 한국 > 미국[20] 다만 학창시절은 고흥과 수원에서 보냈다.[21] 경상남도 밀양 > 부산. 2살 때.[22] 출신지를 알 수 없는 경우.[23] 한국사의 영역이었던 만주 지역.[24] 고조선의 초기 중심지를 요동 지방으로 볼 경우.[25] 경상남도 밀양 > 부산. 2살 때.[26] 뉴질랜드 출생으로 선천적으로 뉴질랜드-대한민국 복수국적.[27]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특별행정구를 모두 포함한다. 그러니 대만이 포함되었다고 오해하지 말자. 쑨원과 쯔위는 모두 중화민국 사람인데 다른나라 사람이라고 할 수는 없지 않은가. 참고로 중화인민공화국은 특별행정구를 제외하면 지방행정구역의 상징을 만드는 걸 금지하고 있다.[28] 헝가리 > 미국.[29] 영국 > 미국.[30] 영국 > 캐나다 > 미국.[31] 크로아티아에서 태어난 세르비아인 > 미국.[32] 독일 > 스위스 > 미국.[33] 영국 런던에서 미국인으로 출생 >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성장.[34] 한국 > 미국.[35] 남아프리카 공화국 > 캐나다 > 미국.[36] 인디애나 출생 > 오하이오에서 성장.[37] 미국 뉴욕에서 그리스계 미국인으로 출생 > 그리스.[38] 영국 런던에서 미국인으로 출생 >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성장.[39] 인디애나 출생 > 오하이오에서 성장.[40] 미국 텍사스 태생 일본인 > 일본.[41] 영국 런던에서 미국인으로 출생 >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성장.[42] 영국 > 미국.[43] 영국 > 캐나다 > 미국.[44] 아일랜드 > 영국.[45] 벨기에 > 영국.[46] 링컨셔 주 일부가 요크셔험버에 속하나 편의상 여기에 넣는다.[47] 프랑스에서 태어난 독일인 > 독일.[48] 폴란드 > 독일.[49] 독일 > 스위스 > 미국.[50] 독일 > 프랑스.[51] 폴란드 > 프랑스.[52] 프랑스에서 태어난 독일인 > 독일.[53] 폴란드 > 프랑스.[54] 독일 > 프랑스.[55] 미국 텍사스 태생 일본인 > 일본.[56] 폴란드 > 프랑스.[57] 폴란드 > 독일.[58] 폴란드 > 프랑스.[59] 체코에서 태어난 오스트리아인 > 오스트리아.[60] 체코에서 태어난 오스트리아인 > 오스트리아.[61] 오스트리아 > 미국.[62] 영국 > 캐나다 > 미국.[63] 남아프리카 공화국 > 캐나다 > 미국.[64] 체코에서 태어난 오스트리아인 > 오스트리아.[65] 체코에서 태어난 오스트리아인 > 오스트리아.[66] 북마케도니아 태생 알바니아인 > 인도.[67] 아르헨티나 > 쿠바.[68] 남아프리카 공화국 > 캐나다 > 미국.[69] 헝가리 > 미국.[70] 아일랜드 > 영국.[71] 크로아티아에서 태어난 세르비아인 > 미국.[72] 크로아티아에서 테어난 세르비아인 > 미국.[73] 독일 > 스위스 > 미국.[74] 아르헨티나 > 쿠바.[75] 미국 뉴욕에서 그리스계 미국인으로 출생 > 그리스.[76] 벨기에 > 영국.[77] 북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난 알바니아인 > 미국.[78] 북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난 알바니아인 > 미국.[79] 뉴질랜드 출생으로 선천적으로 뉴질랜드-대한민국 복수국적.[80] 고조선 건국으로 추정되는 연도.[81] 고향은 크로아티아, 민족은 세르비아인, 국적은 미국이다.[82] 간디와 사망일이 같다. 참고로 간디가 암살당한 시점이 저녁 기도회인 오후 5시 17분 무렵인데, 이 무렵 미국의 오하이오는 아침 7시쯤 된다. 오빌 라이트가 아침 이후에 사망했다면 간디 다음에 와도 상관 없다. 간디보다 오빌 라이트가 생일이 늦기도 하다.[83] 고향은 북마케도니아, 민족은 알바니아인, 국적은 인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