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원게임

덤프버전 :

대원게임
DAEWON GAME INC.
파일:대원게임.jpg
설립일2007년 4월
폐업일2016년 4분기[1]
업종명하드웨어 유통,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통
상장여부비상장기업
기업규모중소기업
모기업파일:대원미디어 로고.svg[[파일:대원미디어 로고 화이트.svg
전신조이툰 (2000년)
파일:대원씨아이 로고.svg 게임사업부 (2002년~2006년)
파일:대원미디어 로고.svg[[파일:대원미디어 로고 화이트.svg 게임사업부 (2006년~2007년)
후신파일:대원미디어 로고.svg[[파일:대원미디어 로고 화이트.svg 닌텐도사업부
파일:대원미디어 로고.svg[[파일:대원미디어 로고 화이트.svg 게임랩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대원샵 n&market 공식 사이트[2]
1. 개요
2. 상세
2.1. 2007년 이전
2.2. 2007년 이후
3. 발매작
3.1. 대원씨아이 게임사업부 시절 발매작[3]
3.2. 대원게임 설립 이후 발매작[4]
3.3. 대원게임 폐업 이후 발매작[5]



1. 개요[편집]


대원게임은 2016년까지 존재한 대한민국의 게임유통사 겸 게임 제작사이다. 대원게임의 청산 이후에는 대원미디어의 닌텐도사업팀, Daewon Game Lab 등의 부서에서 게임유통 및 게임제작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기존의 대원게임 브랜드는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유지되고 있다.

2. 상세[편집]



2.1. 2007년 이전[편집]


대원씨아이의 게임사업부 시절은 대원게임/2007년 이전 문서로. 이 항목의 핵심이자 이 문서가 존재하는 이유


2.2. 2007년 이후[편집]


  • 2006년에 대원씨아이큐렉소한테 적대적 인수합병을 당하자 임시로 대원미디어 게임사업부로 있다가 2007년 4월에 정식으로 대원미디어에서 분리되었다.
  • 닌텐도 DS용이나 PC 온라인용으로 만화나 애니메이션 원작의 게임들을 한국어화하거나 개발하기도 한다.
  • 짱구는 못말려 게임 시리즈 등의 몇몇 시리즈는 대원 계열답지 않게 한국어 음성 더빙까지 진행하여 발매하는 중이다. 물론 주연을 빼면 대부분이 전속 배치[6] + 미스캐스팅.
  • 인티 크리에이츠와 유통 계약을 맺고 패키지판이 출시된 게임을 한국어화하여 판매하고 있다. 자세한 건 인티 크리에이츠 4.6번째 문서 참조
  • 페이스북 페이지에서는 여러 이벤트들이 진행되고, 한국닌텐도 공식 페이스북과는 달리 페이스북 담당자의 닌텐도에 대한 사담이나 재밌는 이야기, 해외소식, 정발소식 등을 언급하기 때문에 가끔씩 들르는 것도 나쁘지 않다.
  • 대원미디어의 2016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대원게임 법인은 2016년 4분기에 청산되었으며, 2022년 기준으로 대원미디어의 닌텐도사업팀 등의 부서에서 기존 대원게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3. 발매작[편집]



3.1. 대원씨아이 게임사업부 시절 발매작[7][편집]


발매일게임 제목플랫폼비고
2002년 4월 24일포켓몬스터 금·은파일:게임보이 컬러 로고.svg[8][9]
2003년 6월 중순봄버맨 셀렉션파일:게임보이 컬러 로고.svg[10]
2004년 2월니모를 찾아서파일:게임큐브로고.png
2004년 2월스페이스 레이더스파일:게임큐브로고.png
2004년 4월 26일원피스: 일곱섬의 대보물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2004년 7월 29일용의 전설 레전더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2004년 9월 11일드래곤볼Z 무공투극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2004년 11월 17일원피스 고잉 베이스볼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2006년 2월말드래곤볼 어드밴스 어드벤처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2007년 4월 19일아이언키드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3.2. 대원게임 설립 이후 발매작[11][편집]



3.3. 대원게임 폐업 이후 발매작[12][편집]


발매일게임 제목플랫폼비고
2018년 6월 7일걸☆건 2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파일:PlayStation 4 로고.svg
2018년 10월 4일푸른 뇌정 건볼트 스트라이커 팩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2019년 2월 28일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배틀 제로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2019년 3월 7일드래곤 마크드 포 데스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파일:PlayStation 4 로고.svg
2019년 9월 24일하얀 강철의 X THE OUT OF GUNVOLT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파일:PlayStation 4 로고.svg
2019년 10월 4일조이드 와일드: 킹 오브 블래스트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2020년 4월 23일프리티 프린세스 매지컬코디네이트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2021년 1월 28일걸☆건 리턴즈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2021년 4월 8일스미코구라시 모여봐요! 스미코 타운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2021년 7월 8일루바토: 오리지널 콤플렉스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A]
2021년 7월 29일블래스터 마스터 제로 트릴로지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파일:PlayStation 4 로고.svg
2022년 1월 27일하얀 강철의 X 2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파일:PlayStation 4 로고.svg
2022년 5월 4일짱구는 못말려! 나와 박사의 여름 방학 ~끝나지 않는 7일간의 여행~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2022년 5월 19일스노우 브라더스 닉&톰 스페셜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4:37:18에 나무위키 대원게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원미디어의 2016년 사업보고서의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참고. 당시 사업자등록번호 106-86-50383[2] 2013년부터 접속불가였으나 2015년 12월까지는 접속이 됐었다. 단 크롬을 사용하면 여전히 접속이 되지 않으며 게다가 메인 페이지는 일부파일이 날아간 듯하다. 그 후 전혀 관리가 안되다가 2016년 1월 5일 오후 3:33분 기준, 서비스기간이 만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뜬다. 2016년 8월 18일 오후 11시 46분 기준, 도메인이 팔렸는지 도메인 파킹 사이트가 뜬다. 였지만 지금은 대원미디어의 모 게임 사이트로 변경 되었다.[3] 한글 자막 또는 한글화된 작품만 기제.[4] 판권 양도 이후 발매돠 한글 자막 또는 한글화된 작품만 기제.[5] 대원미디어 닌텐도사업부 및 게임랩에서 발매[6] 그나마 이쪽은 애교 수준이며, 나중에는 아예 공채 성우가 아닌 사람이 기용되었다.[7] 한글 자막 또는 한글화된 작품만 기제.[8] 닌텐도에서 유통하는것과 달리 게임보이 컬러 전용으로 출시.[9] 버추얼 콘솔버전에서는 한국닌텐도에서 유통.[10] 타이틀 화면과 경고문만 한글화되었다. 심지어는 오타도 있었다고.[11] 판권 양도 이후 발매돠 한글 자막 또는 한글화된 작품만 기제.[12] 대원미디어 닌텐도사업부 및 게임랩에서 발매[A] A B 정확히는 대원미디어 게임랩에서 유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