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쓰백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MBN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은 미쓰백(예능) 문서
미쓰백(예능)번 문단을
미쓰백(예능)#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쓰백 (2018)
Miss Baek
파일:미쓰백 포스터.jpg
장르드라마
감독이지원
각본이지원
제작이정욱
출연한지민, 김시아, 이희준
촬영강국현
조명정해지
음악모그, 이은주
촬영 기간2017년 1월 30일 ~ 2017년 3월 26일
제작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영화사 배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리틀빅픽쳐스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10월 11일
상영 시간98분 (1시간 38분)
제작비16억 원[1]
대한민국 총 관객 수722,001명 (최종)
월드 박스오피스5,326,218달러[2] (최종)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시놉시스
3. 등장인물
4. 예고편
5. 줄거리
6. 평가
7. 논란
8. 흥행
9. 기타



1. 개요[편집]


2018년 10월 11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


2. 시놉시스[편집]


"아무리 열심히 살아도 매 순간 날 배신하는 게 인생이야"

스스로를 지키려다 어린 나이에 전과자가 되어 외롭게 살아가던 '백상아'

누구도 믿지 않고 아무것도 마음에 두지 않던 어느 날 나이에 비해 작고 깡마른 몸, 홑겹 옷을 입은 채 가혹한 현실에서 탈출하려는 아이 '지은'을 만나게 된다.

왠지 자신과 닮은 듯한 아이 '지은'을 외면할 수 없는 '상아'는 '지은'을 구하기 위해 세상과 맞서기로 결심하는데...

"이런 나라도, 같이 갈래?"



3. 등장인물[편집]


파일:7d6d6d41710d4fa1ba2596294c4719d71538458249591.jpg
백상아 (한지민 扮, 아역: 김보민 扮)

파일:d9412dfca7ed4ac7baf93abdce2fccc21538458250634.jpg
김지은 (김시아 扮)

파일:641364279ec44db2ac347290a8ef6def1538458250162.jpg
장섭 (이희준 扮)


4. 예고편[편집]


▲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30초 예고편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작정한 과잉이 필요할 때도 있다. 한지민 최고의 연기!

- 임수연 (씨네21) (★★★)


다가설 때 절망은 빛을 찾는다

- 이용철 (씨네21) (★★★☆)


찬 공기 속 시린 손끼리 만난 온기

- 송형국 (씨네21) (★★★☆)


상처의 굴레를 벗어던지는 그 이름, 외강내강 미쓰백

- 김소미 (씨네21) (★★★☆)


자제력은 모자라고 자기연민은 넘치고

- 박평식 (씨네21) (★★☆)


보여주지 않아도, 들려주지 않아도 될 걸 들려주고 보여준다

- 허남웅 (씨네21) (★★☆)


차가운 세상 끝, 연대의 온기로

'여성=모성'이라는 막연한 고정관념 대신, 사회의 그늘 아래서 같은 상처를 알아본 이들의 연대를 이야기한다. 따라서 이 영화는 단순히 성인 여성이 학대당하는 한 아이를 구하려는 시도에서 그치지 않고 한발 더 나아간다. 허술한 사회적 안전망 아래 아동학대의 실상이 얼마나 복잡한 양상으로 이뤄져 있는지 그 현실을 충실히 고발하려는 작품이기도 하다. 모든 배우의 연기가 출중한 가운데, 한지민이 연기한 백상아는 한국 영화 여성 캐릭터 가운데 가장 인상적인 얼굴 중 하나로 거론되기에 부족함이 없다. 미쓰백, 드디어 합당하게 불리워질 배우 한지민의 새 이름이다.

- 영화 저널리스트 이은선 (★★★☆)


"영화를 보는 내내 자신의 불행한 과거가 투영된 어린 소녀를 구하려는 '백상아'의 고군분투에 눈을 뗄 수 없었다. 진정한 가족의 의미와 사람 사이의 연대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하는 수작"

- 제 31회 도쿄 국제 영화제 프로그램 디렉터 켄지 이시카자


"이지원 감독은 담담하게, 하지만 폭발력 있게 하나의 연결 고리로 만나는 두 여자의 이야기를 만들었다. 영화를 관통하는 긴장감은 의심의 여지 없이 영국 관객을 사로잡을 것이다. 언어와 문화를 뛰어넘어 소통할 수 있는 영화다"

- 제4회 런던 동아시아 영화제 관계자

대체로 아동학대란 예민한 주제를 불편하면서도 따뜻하게 풀어냈다는 데 호평이 많다. 하지만 그 외로는 그럭저럭 볼 만한 평범한 영화라는 평이 절대다수다.


7. 논란[편집]


시사회를 본 사람들 사이에서 한국에서 2018년에 리메이크 되기도 한 일본 드라마 마더를 표절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실제로 일본 드라마 마더와 거의 완벽히 똑같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표절의 정도가 심해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대해 익스트림무비에서 영화사에 확인을 했는데, "2016년 4월 《미쓰백》시나리오 완성. 이후 시나리오 검토 과정에서 일본 드라마 《마더》(2010)가 언급되었지만, 《미쓰백》은 실화가 바탕이어서 계속 진행되었다."며, 표절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이후 기사에 따르면 이지원 감독의 옆집에 살던 아이를 만났던 경험을 다룬 영화라고 한다. 하지만 그 실화라는 것도 '감독의 옆집에 이런 아이가 있었다' 뿐이지 널리 알려진 이야기도 아니고, 도대체가 '실화면 다른 작품과 비슷해도 된다'라는 논리는 무슨 듣도 보도 못한 논리냐며 비판받고 있다. 다만 실화면 실제로 다른 작품과 비슷해도 되는 것이 맞다. 실화를 작품으로 표현할 자유는 지적 재산권의 배타적 독점권보다 우선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면 창작물이 넘쳐나는 현대에는 역사책도 저작권에 걸려서 쓸 수 없을 것이다. 다만 이 경우의 문제는 그 실화라는 부분이 영화 내용과 얼마나 닮아있느냐인데, 이 경우는 이지원이 옆집에 살던 아이를 봤는데, 뭔가 표정이 이상해서 학대 당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가 끝이다. 그 아이가 영화와 같은 일을 겪었던 것도 아니고, 그걸 이지원 본인이 도와줬거나 다른 범죄자 여성이 도와주는 것을 목격하거나 이야기를 들은 것도 아니다. 그 아이를 도와주지 못했다로 끝나기 때문. 그래서 그 실화의 실체에 대해서 언급하는 기사가 적은 것이다. 위의 링크에서도 실화 언급을 보면 '표정을 잊을 수 없다' 같이 모호한 감상 표현만 쓰고 있는 것이 이 때문. 실제로 이 영화가 실화 기반이라는 이야기만 들은 사람들의 블로그나 몇몇 기사에서는 당연히 그 기반 실화를 당시 세간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원영이 사건 같은 것이 배경이라고 글을 적었을 정도였다. 이런 감독의 개인적 경험을 가지고 실화기반이니 표절이 아니다라고 주장한 사례는 퍼펙트맨언터쳐블 표절 논쟁에서도 반복되게 된다.


8. 흥행[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10,432명10,432명미집계90,701,800원90,701,800원
1주차2018-10-11. 1일차(목)21,889명276,998명3위175,581,100원2,353,370,966원
2018-10-12. 2일차(금)34,098명3위285,873,789원
2018-10-13. 3일차(토)60,163명3위542,394,727원
2018-10-14. 4일차(일)67,208명3위607,115,250원
2018-10-15. 5일차(월)32,492명3위255,659,350원
2018-10-16. 6일차(화)29,266명3위232,982,800원
2018-10-17. 7일차(수)31,884명3위253,802,950원
2주차2018-10-18. 8일차(목)21,416명239,144명4위171,876,700원2,029,320,050원
2018-10-19. 9일차(금)31,840명4위274,929,000원
2018-10-20. 10일차(토)57,446명4위511,981,600원
2018-10-21. 11일차(일)54,458명4위486,367,650원
2018-10-22. 12일차(월)22,297명4위177,713,200원
2018-10-23. 13일차(화)23,343명3위185,673,300원
2018-10-24. 14일차(수)28,354명3위220,845,600원
3주차2018-10-25. 15일차(목)17,097명159,012명5위132,275,250원1,299,228,150원
2018-10-26. 16일차(금)25,051명4위213,429,250원
2018-10-27. 17일차(토)36,587명5위323,808,650원
2018-10-28. 18일차(일)35,622명4위316,461,550원
2018-10-29. 19일차(월)17,380명3위126,867,950원
2018-10-30. 20일차(화)18,633명3위134,282,350원
2018-10-31. 21일차(수)8,644명8위52,131,150원
4주차2018-11-01. 22일차(목)4,972명30,830명8위35,362,500원223,568,950원
2018-11-02. 23일차(금)8,118명7위55,026,200원
2018-11-03. 24일차(토)6,481명9위48,992,800원
2018-11-04. 25일차(일)5,625명10위42,324,100원
2018-11-05. 26일차(월)2,474명9위18,070,650원
2018-11-06. 27일차(화)1,940명10위14,558,350원
2018-11-07. 28일차(수)1,220명14위9,234,350원
5주차2018-11-08. 29일차(목)851명4,284명16위6,643,100원33,202,200원
2018-11-09. 30일차(금)1,129명17위8,570,600원
2018-11-10. 31일차(토)803명20위6,666,100원
2018-11-11. 32일차(일)760명21위5,899,500원
2018-11-12. 33일차(월)319명23위2,386,150원
2018-11-13. 34일차(화)356명25위2,552,750원
2018-11-14. 35일차(수)66명58위484,000원
6주차2018-11-15. 36일차(목)258명572명27위2,183,300원4,575,050원
2018-11-16. 37일차(금)87명45위734,950원
2018-11-17. 38일차(토)112명49위779,650원
2018-11-18. 39일차(일)28명78위222,000원
2018-11-19. 40일차(월)21명75위162,000원
2018-11-20. 41일차(화)41명72위292,150원
2018-11-21. 42일차(수)25명91위201,000원
7주차2018-11-22. 43일차(목)251명481명30위1,506,000원2,941,400원
2018-11-23. 44일차(금)85명44위437,000원
2018-11-24. 45일차(토)27명93위242,800원
2018-11-25. 46일차(일)15명99위112,600원
2018-11-26. 47일차(월)14명80위105,000원
2018-11-27. 48일차(화)65명59위419,000원
2018-11-28. 49일차(수)24명86위119,000원
8주차2018-11-29. 50일차(목)81명71위460,500원
2018-11-30. 51일차(금)6명135위53,000원
2018-12-01. 52일차(토)8명126위77,000원
2018-12-02. 53일차(일)5명118위34,000원
2018-12-03. 54일차(월)150명38위1,050,000원
2018-12-04. 55일차(화)
2018-12-05. 56일차(수)
합계 누적관객수 722,001명(4.2UBD), 누적매출액 6,038,566,066원[3]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뷰티풀 뱀파이어(이상 2018년 10월 8일,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 다이노 어드벤처 2: 육해공 공룡 대백과, 리즈와 파랑새, 스타 이즈 본(이상 2018년 10월 9일), 걷기 좋은 날,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사랑해도 괜찮아, 스텝 바이 스텝, 시간을 거꾸로 사는 오토 블룸의 삶과 죽음, 에브리데이, 여자라는 이름으로, 킨: 더 비기닝, 노크: 초대받지 않은 손님, 데스 위시(이상 2018년 10월 11일)까지 총 16편이다.

손익분기점은 90만명었으나 70만명으로 하향되면서 24일차에 손익분기점에 달성했다. #


9. 기타[편집]


  • 제31회 도쿄국제영화제 아시안 퓨쳐 섹션과 제4회 런던 동아시아 영화제 'Stories of Women' 부문에 초청됐다. #


  • 영혼 보내기가 유행하기 시작한 것이 이 영화부터였다. 개봉 초기 상영관 수가 적어 이른 상영 종료가 예상되자 여성 관객을 중심으로 '쓰백러' 팬덤이 형성되어 SNS를 통한 홍보 활동과 단체 관람 추진, 비용을 지불하고 좌석을 예매하고 영화관에 가지 않는 영혼 보내기 등이 시작되어 손익분기점 돌파하는데 일정 부분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점에 이지원 감독과 한지민 등 배우들도 고맙다는 인증샷을 남겼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1:53:59에 나무위키 미쓰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확히는 16억 5천만원.[2] 약 60억원.[3] ~ 2018/12/03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