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틴 문자)] [목차] == 개요 == 대문자는 Þ, 소문자는 þ이다. 이름은 Thorn[*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손'이다.]이다. [[룬 문자]] ᚦ에서 유래했는데 해당 문자는 또한 [[고트 문자]] 𐌸에서 유래했으며, 이 문자는 배열상 [[그리스 문자]] [[Θ]]에 대응한다. [[아이슬란드어]]에서 쓰이며 [[고대 영어]]에서도 쓰였다. ð와 달리 무성 치 마찰음을 나타내는 문자였으나 [[국제음성기호]]에는 이 문자 대신 [[그리스 문자]] [[θ]]가 쓰였다. 무성 치 마찰음은 혀를 치열 사이에 끼우고 성대를 울리지 않으면서 발음하면 된다. 한국어 IME에서 대문자는 [[ㄲ]] → [[한자 키|한자]] → [[9]]로, 소문자는 ㄲ → 한자 → PageDown 2회 → [[6]]으로 입력 가능하다. 대문자는 [[Alt]]+222, 소문자는 Alt+254로 입력할 수도 있다. þ의 필기체는 소문자 y와 대단히 유사하게 생겼기 때문에, 근세 인쇄본 중 상당수는 þ를 그냥 y로 적은 경우가 흔하다. 이로 인해서 영어권에서 고풍스러운 척을 하고 싶을 때 th를 y로 바꾸어 쓰는 철자법을 사용할 때가 있다. 뭔가 오래된 것을 강조하고 싶을 때 간혹 사용되는 "ye olde..." 와 같은 문구[* 예컨대 [[https://twitter.com/krBritish/status/781448468032135168?s=20|이런]] 간판]가 여기서 유래했다. 채팅창에서 [[메롱]]을 할 때 이모티콘으로 쓰일 수 있다. :Þ [[분류:로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