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합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仁}}}어질 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ジン, (ニ), {{{#c88 ニ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ひと-しい{{{#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ré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仁은 ''''어질 인''''이라는 [[한자]]로, '어질다'를 뜻한다. == 상세 == 소리를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뜻을 나타내는 [[二]](두 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명사 '사람'에서 파생되어 형용사 '사람답다', '어질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의미 파생은 한국어, 영어에서도 볼 수 있다.[*예시 한국어: 사람 → 사람답다, 영어: human(사람) → humane(사람다운, 인도적인)] 일단 [[갑골문]]에서는 이 글자를 찾아볼 수 없고[* 仁 자로 추정되는 자가 있다고는 하는데 불명확하다.], 현재 자형(즉 人+二)이 등장하는 것은 [[진(통일왕조)|진(秦)나라]] 때부터다. 그전까지는 간백문자 등에서 𡰥, ⿱[[身]][[心]], 忎, ⿱人心 등의 형태로 쓰였다. Baxter-Sagart의 재구에서는 仁 자 및 그 고자(⿱身心, 忎, ⿱人心)를 모두 뜻을 나타내는 心과 소리를 나타내는 身, 千, 人으로 이루어진 형성자로 보며, 설문해자에서는 이 글자를 회의자로 보고 있다.[* 직관적인 해석으로는, 사람(人)으로서 본인 한사람(一人)뿐만 아니라 타인까지(본인+타인 = 두 사람(二人)) 헤아리고 추스릴 줄 아는 덕목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공자]]가 주장한 [[유교]]의 도덕 이념 또는 정치 이념에서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중 하나다. 공자는 인을 '혈족애를 바탕으로 한, 인간 특유의 도덕적 감수성'에 가까운 의미로 사용했다. 어질다는 것은 측은지심으로, 우물에 빠진 아이를 보고 불쌍한 마음이 듣는 것을 뜻한다고 한다. 뜻이 좋고 발음도 무난한 글자이기 때문에 사람의 이름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어감 자체가 중성적이기 때문에 남녀 모두에게 사용되며, 일본에서도 이 글자가 사용된 이름들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당장 일본 황실의 남성들은 모두 이름에 仁이 들어가 있다.] '어질다'라는 뜻 이외에도 '[[과일]]의 [[씨앗]]', '알맹이'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대표적으로 생물학 용어인 [[인(생물학)|인]](仁, Nucleolus)과 [[행인]](杏仁: 살구씨), 도인(桃仁: 복숭아씨)가 있다. [[히라가나]]의 [[に]]가 해당 글자에서 유래되었다. [[유니코드]]에는 U+4EC1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MM(人一一)으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인]](仁)''' * 인덕(仁[[德]]) * 인자(仁[[慈]]/仁[[者]]) * 인형(仁[[兄]]) * 행인([[杏]]仁) * [[행인두부]]([[杏]]仁[[豆]][[腐]]) === [[고사성어]]/[[숙어]] === * 관과지인([[觀]][[過]][[知]]仁) * [[살신성인]]([[殺]][[身]][[成]]仁) * [[송양지인]]([[宋]][[襄]][[之]]仁) * 위부불인([[爲]][[富]][[不]]仁) * 인의예지(仁[[義]][[禮]][[智]]) *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 인자무적(仁[[者]][[無]][[敵]]) * 인자불살(仁[[者]][[不]][[殺]]) * 인자요산(仁[[者]][[樂]][[山]]) * 인지의진(仁[[至]][[義]][[盡]]) * 일시동인([[一]][[視]][[同]]仁) * 지사인인([[志]][[士]]仁[[人]]) * 행재불인([[幸]][[災]][[不]]仁) === [[인명]] === * [[강상인]]([[姜]][[尙]]仁) * [[강인섭]]([[姜]]仁[[燮]]) * [[아이키|강혜인]](姜[[慧]]仁) * [[권율(배우)|권세인]]([[權]][[世]]仁) * [[권인숙]]([[權]]仁[[淑]]) * [[김기인]]([[金]][[基]]仁) * [[김인섭(법조인)|김인섭]]([[金]]仁[[燮]]) * [[김인성]]([[金]]仁[[成]]) * [[인성(SF9)|김인성]]([[金]]仁[[性]]) * [[감스트|김인직]]([[金]]仁[[直]]) * [[김인환]]([[金]]仁[[煥]]) * [[김종인]]([[金]][[鍾]]仁) * [[카이(EXO)|김종인]]([[金]][[鍾]]仁) * [[나바타메 히토미]]([[生]][[天]][[目]] 仁[[美]]) * [[박인비]]([[朴]]仁[[妃]]) * [[박인수]]([[朴]]仁[[秀]]) * [[선예인]]([[宣]][[叡]]仁) * [[손지인]]([[孫]][[智]]仁) * [[해인|염해인]]([[廉]][[海]]仁) * [[오오와다 히토미]]([[大]][[和]][[田]] 仁[[美]]) * [[오인정]]([[吳]]仁[[正]]) * [[원인철]]([[元]]仁[[哲]]) * [[원태인]]([[元]][[兌]]仁) * [[유아인]]([[劉]][[亞]]仁) * [[유지인]]([[兪]][[知]]仁) * [[유혜인(배우)|유혜인]]([[柳]][[惠]]仁) * [[아인(1999)|이아인]]([[李]][[妸]]仁) * [[이인수#s-1]]([[李]]仁[[秀]]) * [[이인수(1931)|이인수]]([[李]]仁[[秀]]) * [[이인수(1996)|이인수]]([[李]]仁[[壽]]) * [[이인영]]([[李]]仁[[榮]]) * [[이지인(아나운서)]]([[李]][[智]]仁) * [[이타도리 유지]]([[虎]][[杖]] [[悠]]仁) * [[혜인|이혜인]](李[[惠]]仁) * [[이혜인]](李[[慧]]仁) * [[인조]](仁[[祖]]) * [[인종#s-2]](仁[[宗]]) * [[일본/황실]]: 남성 황족의 이름 끝에 '仁(ひと)'이 들어간다. * [[장인섭]]([[張]]仁[[燮]]) * [[장예인]]([[張]][[睿]]仁) * [[장효인]]([[張]][[孝]]仁) * [[전인범]]([[全]]仁[[釩]]) * [[정극인]]([[丁]][[克]]仁) * [[정예인]]([[鄭]][[叡]]仁) * [[조지인]]([[趙]][[智]]仁) * [[채다인]]([[蔡]][[多]]仁) * [[채태인]]([[蔡]][[泰]]仁) * [[키노미야 히토시]]([[木]]ノ[[宮]] 仁) * [[카자마 진]]([[風]][[間]] 仁) * [[함인섭]]([[咸]]仁[[燮]]) * [[혼다 히토미]]([[本]][[田]] 仁[[美]]) * [[황대인]]([[黃]][[大]]仁) * [[런쥔|황런쥔]]([[黄]]仁[[俊]]) * [[황보인]]([[皇]][[甫]]仁)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수인리([[水]]仁[[里]]) * [[경인선]]([[京]]仁[[線]]) * [[수인선]]([[水]]仁[[線]]) * [[인왕산]](仁[[王]][[山]]) *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인천에 있는 학교, 기관 중에 '仁'자를 딴 이름이 매우 많다. 당장 위의 경인선과 수인선만 해도 서울과 인천, 수원과 인천을 잇는다는 뜻이다.] * [[용인시]]([[龍]]仁[[市]]) * [[처인구]]([[處]]仁[[區]]) * [[흥인지문]]([[興]]仁[[之]][[門]]) * [[인덕원역]](仁[[德]][[院]][[驛]]) === [[중국어]] === * 仁 [rén] * 형) 인자하다 * 예) 仁慈 [réncí]: 인자하다 * 명) 감각적이다 * 예) 不仁 [bùrén]: 무감하다 * 명) 속살 * 예) 杏仁 [xìngrén]: 행인 * 예2) 虾仁 [xiārén]: 조갯살 === 기타 === * [[유교|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 [[인제대학교]](仁[[濟]][[大]][[學]][[校]]) == 유의자 == * [[良]](어질 량) * [[賢]](어질 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匚]](상자 방) * [[仨]](세 개 삼) * [[位]](자리 위) * [[匸]](감출 혜) * [[仜]](배 클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