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出}}}날 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凵|{{{#000,#fff 凵}}}]],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ュツ, (ス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で-る, だ-す, {{{#c88 いだ-す, いづ}}}}}}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出은 ''''날 출''''이라는 [[한자]]로, '나가다', '나오다' 등의 뜻이 있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나오다 || || {{{-1 '''음'''}}} ||출 || ||<-3> || ||<|2>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chū || || {{{-1 '''[[광동어]]'''}}} ||ceot1 || ||<-3> || ||<|2> '''[[일본어]]''' || {{{-1 '''훈독'''}}} ||で-る, だ-す, {{{#c88 いだ-す, いづ}}} || || {{{-1 '''음독'''}}} ||シュツ, (スイ) || [[山]](메 산)을 위아래로 합친 듯한 모양이지만 山과는 관계가 없다. 애초에 가운데 세로획을 한 획으로 합쳐서 쓴다.[* 하지만 [[파자]]할 때는 山 2개로 쓴다. [[김삿갓]] 문서에도 나오는 '朋出(친구가 나감)하거든' → '月月山山하거든'이 그 예. [[창힐수입법]]에서도 UU(山山)로 입력한다. 그리고, [[속자]]로 진짜 山 두개를 포개서 쓴 형태(岀)도 있다. 여기서 보면 글씨가 작아서 구별이 잘 되지 않으므로 글리프위키에서 비교해 볼 수 있다. [[https://glyphwiki.org/wiki/u51fa|본자(出)]], [[https://glyphwiki.org/wiki/u5c80|속자(岀)]]] [[갑골 문자]]를 보면 발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인 [[止]](그칠 지) 자와 U자 모양으로 꺾인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어느 지점에서 발을 내딛어 나간다'에서 '나가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희곡(戱曲)의 한 단락(段落)이나 연극의 한 장면을 나타낼 때에는 '척'으로 읽는다. [[齣]](척)의 간체자(簡體字)이기도 하다. 상대자인 [[入]](들 입)과 함께 쓰여 '출입(出入)'이나 '입출(入出)'이 쓰이는데, 사람이나 사물 등이 드나들 때는 出이 앞에 오고{예: 출입구(出入口), 출입문(出入門)} 금액이나 자료 등이 드나들 때는 出이 뒤에 온다. {예: 입출금(入出金), 입출력(入出力)} [[이체자]]로 [[岀]](U+5C80, ⿱山山)과 [[㞮]](U+37AE, ⿱山々)가 있다.[* 네이버한자사전에는 㞮가 엉뚱하게 '위태로울 위'로 나오지만 전혀 근거가 없다. 㞮이 出의 이체자라는 것은 불교난자자전(佛敎難字字典)에 수록되어 있으며, 과거 한자를 상용하던 시기 영화 포스터([[:파일:임자 없는 나룻배(1962) 지면 광고.png|예시]]) 등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https://file.mk.co.kr/meet/neds/2019/02/image__2019_95090_15816552733638366.jpg|공군 최초 200회 출격 기념 사진]] [[파일:19948.png]] ] == 용례 == === [[단어]] === * [[가출]]([[家]]出) * [[각출]]([[各]]出) * [[더치페이|갹출]]([[醵]]出) * 검출([[檢]]出) * [[구출]]([[救]]出/[[驅]]出) * 기출([[己]]出/[[기출|旣出]]) * [[노출]]([[露]]出) * [[노출도]]([[露]]出[[度]]) * [[노출증]]([[露]]出[[症]]) * 누출([[漏]]出) * 대출([[大]]出/[[대출|貸出]]) * 도출([[導]]出/[[挑]]出) * 돌출([[突]]出) * 매출([[賣]]出) * 모출([[摹]]出) * 반출([[伴]]出/[[搬]]出) * [[방출]]([[放]]出)[* 스포츠 선수를 방출한다는 방출은 이 한자를 쓰지 않고, 放黜로 쓴다.] * 배출([[倍]]出/[[排]]出/[[輩]]出) * 백출([[百]]出) * 분출([[分]]出/[[噴]]出/[[奔]]出) * 불출([[不]]出/[[拂]]出) * 빈출([[頻]]出) * 사출([[寫]]出/[[사출|射出]]/[[斜]]出/[[査]]出/[[瀉]]出) * 산출([[産]]出/[[算]]出) * 색출([[索]]出) * 석출([[析]]出) * 선출([[先]]出/[[選]]出) * 세출([[歲]]出/[[洗]]出/[[稅]]出) * 송출([[送]]出) * 수출([[搜]]出/[[秀]]出/[[수출|輸出]]) * [[수출입]]([[輸]]出[[入]]) * [[연출]]([[演]]出) * [[외출]]([[外]]出) * 용출([[湧]]出) * [[유출]]([[流]]出/[[溜]]出/[[誘]]出) * 인출([[印]]出/[[引]]出) * [[일출]]([[日]]出) * [[적출]]([[摘]]出/[[積]]出) * 제출([[提]]出) * [[지출]]([[支]]出/[[持]]出) * [[지출극소화 문제]]([[支]]出[[極]][[小]][[化]] [[問]][[題]]) * 진출([[進]]出) * [[차출]]([[差]]出) * [[창출]]([[創]]出) * [[추출]]([[抽]]出) * 축출([[逐]]出) * 출가(出[[嫁]]/[[출가|出家]]/出[[稼]]/出[[駕]]) * 출격(出[[擊]]/出[[格]]) * 출구(出[[口]]/出[[柩]]) * [[출구전략]](出[[口]][[戰]][[略]]) * [[출구조사]](出[[口]][[調]][[査]]) * [[출국]](出[[國]]) * [[출국심사]](出[[國]][[審]][[査]]) * [[출근]](出[[勤]]) * [[출동]](出[[動]]) * 출두(出[[頭]]) * [[출력]](出[[力]]) * [[출루율]](出[[壘]][[率]]) * 출마 (出[[馬]]) * [[출발]](出[[發]]) * 출범(出[[帆]]) * 출범식(出[[帆]][[式]]) * [[출사표]](出[[師]][[表]]) * [[출산]](出[[産]]) * [[출산율]](出[[産]][[率]]) * 출산휴가(出[[産]][[休]][[暇]]) * [[출생]](出[[生]]) * [[출생신고]](出[[生]][[申]][[告]]) * [[출석]](出[[席]]) * [[출석요구서]](出[[席]][[要]][[求]][[書]]) * [[출세]](出[[世]]) * [[출소]](出[[所]]/出[[訴]]) * [[출신]](出[[身]]) * [[출신지]](出[[身]][[地]]) * 출아(出[[芽]]) * [[출연]](出[[演]]) * 출입(出[[入]]) * 출자(出[[資]]) * [[출장]](出[[張]]) * [[출제]](出[[題]]) * [[출처]](出[[處]]) * 출토(出[[土]]) * [[출판]](出[[版]]) * 출판권(出[[版]][[權]]) * [[출판사]](出[[版]][[社]]) * [[출항]](出[[港]]) * [[출혈]](出[[血]]) * [[뇌출혈]]([[腦]]出[[血]]) * [[출혈과다]](出[[血]][[過]][[多]]) * [[탈출]]([[脫]]出) * [[퇴출]]([[退]]出) * [[표출]]([[表]]出) * 호출([[呼]]出) === [[고사성어]]/[[숙어]] === * [[두문불출]]([[杜]][[門]][[不]]出) * [[청출어람]]([[靑]]出[[於]][[藍]]) * [[출가외인]](出[[嫁]][[外]][[人]]) === [[인명]] === * [[김말출]]([[金]][[末]]出) * [[니오우노미야 이즈무]]([[匂]][[宮]] 出[[夢]]) * [[데구치 유이나]](出[[口]] [[結]][[菜]]) * [[데야마 토시미츠]](出[[山]] [[利]][[三]]): [[Toshl]]의 본명 * [[데자키 오사무]](出[[﨑]] [[統]]) * [[류인출]]([[柳]][[寅]]出) * [[미도리야 이즈쿠]]([[緑]][[谷]] 出[[久]]) * [[박기출]]([[朴]][[己]]出) * [[박대출]]([[朴]][[大]]出) * [[신불출]]([[申]][[不]]出) * [[완안마근출]]([[完]][[顏]][[麻]][[斤]]出) * [[유키이데 카오루]]([[雪]][[井]]出 [[薫]]) * [[이즈모 사키]](出[[雲]] [[咲]][[姫]]) * [[이즈부치 유타카]](出[[渕]] [[裕]]) * [[임진출]]([[林]][[鎭]]出) * [[최외출]]([[崔]][[外]]出) * [[후키다시 만가]]([[吹]]出 [[漫]][[我]]) === [[지명#s-2]] === * [[이즈모시]](出[[雲]][[市]]) * [[이즈모시역]](出[[雲]][[市]][[駅]]) * [[하나텐역]]([[放]]出[[駅]]) === [[창작물]] === * [[出逢いの続き]]([[만남의 연속]]) * ダンジョンに出会いを求めるのは間違っているだろうか([[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 기타 === * [[기출변형]]([[旣]]出[[變]][[形]]) * [[말출]]([[末]]出) * [[저출생]]([[低]]出[[生]]) * [[지옥탈출]]([[地]][[獄]][[脫]]出) * [[출애굽기]](出[[埃]][[及]][[記]]) * [[탈출기]]([[脫]]出[[記]]) == 상대자 == * [[入]](들 입) [[분류: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