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刀}}}칼 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刀,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ト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たな{{{#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ā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刀-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칼 도(刀).''' [[도검|칼]], [[칼날]], [[날붙이]]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한자/BMP/통합 한자 5XXX#s-2|U+5200]]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SH(尸竹)로 입력한다. [[상형자]]로, [[도검|칼]]의 모습을 본뜬 한자이다. 칼을 뜻하는 한자에는 刀 말고도 劍(칼 검)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외날 칼을 刀, 양날 칼을 劍이라고 한다고 알려져 있다. 1813년에 박종경이 편찬하여 간행한 "융원필비"에 잘 나와 있다. 원래는 '''칼집이 있는 칼을 "검"'''이라고 부르고 '''칼집이 없는 칼을 "도"'''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다가 차츰 칼집이 있는 칼인 "검"을 "도"라고도 부르기 시작하여 후대에 와서 이 책(융원필비)이 간행된 때에는 칼집이 있는 칼인 "검"을 "도"라고도 널리 불렀다. 이 차이에 대해서는 [[도(무기)]] 문서 참조. [[力]]([[힘 력]])과 헷갈리지 말자. 읽는 건 문제 없지만 쓸 때 위로 튀어나오게 쓰면 힘 력이 되므로 주의. 마법천자문에서도 이걸 이용한 에피소드가 있었다.[* 8권에서 손오공이 돈킹한테 잡혔을때 힘 력자를 쓸려고하는데 돈킹이 위에를 지워서 刀자가 됐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刂-order.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 '방' '''이나 ''' '발' '''에 위치해서 한자를 만든다. '''방'''에 위치해서 쓰일 땐 刂의 형태로 쓰인다. 刀의 모양을 유지하는 한자로는 [[切]](끊을 절)과 [[初]]([[처음 초]]) 밖에 없다. 刀가 부수인 한자는 주로 [[도검|칼]], [[칼날]], 베다 등의 뜻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한자로 割(벨 할), 刃(칼날 인), 削(깎을 삭), 劍(칼 검), 刺(찌를 자) 등이 있고, 이 외에도 刹(절 찰), 創(비롯할 창), 則(법칙 칙), 剩(남을 잉), 副(버금 부) 등이 있다. == 용례 == === [[단어]] === * '''[[도#s-3]]'''(刀) * [[고등어|고도어]]([[高]]刀[[魚]]) * [[과도]]([[果]]刀) * [[단도]]([[單]]刀/[[短]]刀) * [[대도(무기)|대도]]([[大]]刀/[[帶]]刀) * 도인(刀[[刃]]) * [[면도]]([[面]]刀) * [[면도기]]([[面]]刀[[器]]) * 보도([[寶]]刀) * [[장도]]([[粧]]刀/[[長]]刀) * [[은장도]]([[銀]][[粧]]刀) * 집도([[執]]刀) * [[이도류]]([[二]]刀[[流]]) === [[고사성어]]/[[숙어]] === * [[쾌도난마]]([[快]]刀[[亂]][[麻]]) * [[소리장도]]([[笑]][[裏]][[藏]]刀) * 단도직입([[單]]刀[[直]][[入]]) * 일도양단([[一]]刀[[兩]][[斷]]) * 삼도지몽([[三]]刀[[之]][[夢]]) === [[인명]] === * [[대주도금]]([[大]][[主]]刀[[金]]) * [[미도 칸자시]]([[微]]刀 [[釵]]) * [[야토가미 토카]]([[夜]]刀[[神]] [[十]][[香]]) * [[조토구 마유미]]([[杖]]刀[[偶]] [[磨]][[弓]]) * [[쿠노 코다치]]([[九]][[能]] [[小]][[太]]刀) * [[쿠노 타테와키]]([[九]][[能]] [[帯]]刀) * [[타치바나 유키노조]]([[太]]刀[[花]] ユキノジョウ) * [[타치아라이 키루코]]([[大]]刀[[洗]] [[斬]][[子]]) === [[지명#s-2]] === === [[창작물]] === * [[도검난무-ONLINE-]](刀[[剣]][[乱]][[舞]]-ONLINE-) * [[도사의 무녀]](刀[[使]]ノ[[巫]][[女]]) === 기타 === * [[섬도희]]([[閃]]刀[[姫]]) * [[참백도]]([[斬]][[魄]]刀) * [[태도충]]([[太]]刀[[蟲]]) * [[丕刀卜乙卜人丨凹卜乙卜口卜]] === [[중국어]] === * 刀[dāo] * 명) 외날칼, 날붙이, 칼 형태를 가진 것 * 예시 * 刀尖 [dāojiān] : 칼끝 * 刻刀 [kèdāo] : 조각칼 * 长刀 [chángdāo] : 장도 * 枪刀 [qiāngdāo] : 총검 * 刀把子 [dāobàzi] : 칼자루 * 偃月刀 [yǎnyuèdāo] : 언월도 * 球刀 [qiúdāo] : 스케이트날 * 秋刀鱼 [qiūdāoyú] : 꽁치 * 钱刀 [qiándāo] : 전도([[춘추전국시대]]에 사용된 도검 형태의 화폐) === [[일본어]] === ==== [[훈독]] ==== * 秋刀魚(さんま): [[꽁치]] 가을에 살이 찌고 칼처럼 길쭉하게 생긴 물고기라는 뜻으로, 훈독하는 법이 특이한 [[숙자훈]]으로 유명하다. 한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표현이지만, '추도어'가 꽁치의 다른 표현으로 사전에 기재되어 있다. == 유의자 == * [[枷]](칼 가, 도리깨 가) * [[劍]](칼 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九]](아홉 구) * [[力]](힘 력) == 여담 == * 刀를 세 개 합치면 [[刕]](벨 리)가 된다.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3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