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同}}}한가지 동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ド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おな-じ{{{#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tóng, tò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가지 동(同). 한가지, 무리, 함께, 같다 등을 뜻하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한가지, 같다 || || {{{-1 '''음'''}}} ||동 || ||<-3> || ||<|10>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tóng, tòng || || {{{-1 '''[[광동어]]'''}}} ||tung^^4^^ || || {{{-1 '''감어'''}}} ||tung2 || || {{{-1 '''[[객가어]]'''}}} ||thùng || || {{{-1 '''진어'''}}} ||tung1 || || {{{-1 '''[[민북어]]'''}}} ||dǒ̤ng|| || {{{-1 '''[[민동어]]'''}}} ||dùng || || {{{-1 '''[[민남어]]'''}}} ||tông[*文 [[문독]]] / tâng[*白 [[백독]]] || || {{{-1 '''[[오어]]'''}}} ||don (T3) || || {{{-1 '''상어'''}}} ||dong2 || ||<-3> || ||<|2> '''[[일본어]]''' || {{{-1 '''음독'''}}} ||ドウ || || {{{-1 '''훈독'''}}} ||おな-じ, {{{#c88 おな-じい}}} || ||<-3> || ||<-2> '''[[베트남어]]''' ||đồng || [[유니코드]]는 540C에 배당되었다. [[갑골문]]상으로는 위쪽에 [[凡]](무릇 범) 자가 있고 아래쪽에 [[口]](입 구) 자가 있는 [[회의자]]로 그려진다.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로는 [[々]]의 유래이기도 한 '''仝'''이 있다. 거리 동([[衕]])의 간체자이기도 하다. == 용례 == === [[단어]] === * 공동([[共]]同) * [[공동사회]]([[共]]同[[社]][[會]]) * 공동생활([[共]]同[[生]][[活]]) * 공동선언([[共]]同[[宣]][[言]]) * 공동성명([[共]]同[[聲]][[明]]) * [[공동시장]]([[共]]同[[市]][[場]]) * [[공동주택]]([[共]]同[[住]][[宅]]) * [[공동체]]([[共]]同[[體]]) * [[대동]]([[大]]同) * [[대동법]]([[大]]同[[法]]) * 동가(同[[價]]) * [[동갑]](同[[甲]]) * [[동감]](同[[感]]) * [[동거]](同[[居]]) * 동급(同[[級]]) * [[동급생]](同[[級]][[生]]) * [[동기]](同[[期]]) * [[동년배]](同[[年]][[輩]]) * 동등(同[[等]]) * [[동료]](同[[僚]]) * [[동류항]](同[[類]][[項]]) * [[동맹]](同[[盟]]) * [[건국동맹]]([[建]][[國]]同[[盟]]) * 단식동맹([[斷]][[食]]同[[盟]] * [[동맹국]](同[[盟]][[國]]) * [[동맹군]](同[[盟]][[軍]]) * 동명(同[[名]]) * [[동문]](同[[門]]) * [[동반#s-1]](同[[伴]]) * [[동반자#s-1|동반자]](同[[伴]][[者]]) * 동반죄수(同[[伴]][[罪]][[囚]]) * 동반죄인(同[[伴]][[罪]][[人]]) * [[동생]](同[[生]]) * [[동석]](同[[席]]) * [[동성]](同[[姓]]/同[[聲]]/同[[性]]) * [[동성애]](同[[性]][[愛]]) * 동시(同[[時]]) * [[동심]](同[[心]]) * 동업(同[[業]]) * 동업자(同[[業]][[者]]) * 동의(同[[意]] * 동의(同[[義]]) * [[동의어]](同[[義]][[語]]) * [[동인(문화)|동인]](同[[人]]) * 동일(同[[一]]) * [[동정]](同[[情]]) * [[동조]](同[[調]]) * [[동조자]](同[[調]][[者]]) * [[동족]](同[[族]]) * [[동지]](同[[志]]) * 동질(同[[質]]) * 동질감(同[[質]][[感]]) * 동질적(同[[質]][[的]]) * [[동질혼]](同[[質]][[婚]]) * [[동창]](同[[窓]]) * [[동창회]](同[[窓]][[會]]) * [[동치]](同[[値]]) * [[동침]](同[[寢]]) * [[동포]](同[[胞]]) * [[동행]](同[[行]]) * [[동호회]](同[[好]][[會]]) * [[동화]](同[[化]]) * [[상동]]([[上]]同) * 안동([[眼]]同) * 일동([[一]]同) * [[합동]]([[合]]同) * 해동갑(해同[[甲]]) * 협동([[協]]同) * [[협동조합]]([[協]]同[[組]][[合]]) * 혼동([[混]]同) * [[혼동행렬]]([[混]]同[[行]][[列]]) * 회동([[會]]同) === [[고사성어]]/[[숙어]] === * 고금동연([[古]][[今]]同[[然]]) * 공도동망([[共]][[倒]]同[[亡]]) * 대동소이([[大]]同[[小]][[異]]) * 동고동락(同[[苦]]同[[樂]]) * [[동명이인]](同[[名]][[異]][[人]]) * [[동병상련]](同[[病]][[相]][[憐]]) * [[동상이몽]](同[[床]][[異]][[夢]]) * [[동족상잔]](同[[族]][[相]][[殘]]) * 만리동풍([[萬]][[里]]同[[風]]) * [[부화뇌동]]([[附]][[和]][[雷]]同) * 여민동락([[與]][[民]]同[[樂]]) * [[오월동주]]([[吳]][[越]]同[[舟]]) * [[이구동성]]([[異]][[口]]同[[聲]]) * 이로동귀([[異]][[路]]同[[歸]]) * 일심동체([[一]][[心]]同[[體]]) * 초록동색([[草]][[綠]]同[[色]]) === [[인명]] === * [[문동은]]([[文]]同[[珢]]) * [[어우동]]([[於]][[宇]]同) * [[왕동교]]([[王]]同[[皎]]) * [[이동국]]([[李]]同[[國]]) * [[주동(수호전)|주동]]([[朱]]仝) === [[지명#s-2]] === *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初]]同[[面]]) * [[대동강]]([[大]]同[[江]])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三]]同[[面]])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同[[福]][[面]]) * [[충청북도]] [[영동군]]([[永]]同[[郡]]) === [[창작물]] === * [[伍越同舟]] === 기타 === * [[대동법]]([[大]]同[[法]]) *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 [[비동간]]([[非]]同[[姦]]) * [[자음동화]]([[子]][[音]]同[[化]]) * [[하삼동커피]]([[嚇]][[三]]同-) == 유의자 == == 상대자 == * [[別]](다를 별) * [[殊]](다를 수) * [[異]](다를 이) * [[他]](다를 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冏]](빛날 경) * [[固]](굳을 고) * [[冃]](쓰개 모) * [[司]](맡을 사) * [[伺]](엿볼 사) [[분류:7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