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向}}}향할 향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む-く, む-ける, む-かう, む-こう{{{#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à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향할 향(向). '향하다', '나아가다' 등을 뜻하는 [[한자]]이다. == 상세 == [[유니코드]]는 5411에 배당되었다. 본자는 [[嚮]]이다. 접대 향([[曏]])의 간체자이기도 하다. 성으로는 상으로 읽지만, 향으로 잘못 읽는 사례(예: [[미월전]]의 향씨)도 많다. [[류큐 왕국#s-2.5|유구국 제2 상씨왕조]]는 [[국성]]이 [[상(성씨)|상(尙)]]인데 친진(親盡)한 [[종친]]은 [[신적강하]]의 일환으로 상(尙)에서 팔([[八]])을 빼서 상(向)으로 삼는다. 다시 말해 [[류큐왕국]]에서 성씨가 상(向)이면 일본의 [[미나모토]]나 [[타이라]] 같은 사람이라고 봐도 좋다. [[한문]]에서는 "~을 향해", "방금 전", "마침내", "만약" 등의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통가자]]로 [[鄕]], [[嚮]], [[曏]] 등이 있다. == 용례 == === [[단어]] === * 경향([[傾]]向) * 경향성([[傾]]向[[性]]) * 경향적([[傾]]向[[的]]) * 남향([[南]]向) * 내향([[內]]向) * [[내향성]]([[內]]向[[性]]) * [[내향적]]([[內]]向[[的]]) * [[동향]]([[動]]向/[[東]]向) * 방향([[方]]向) * 북향([[北]]向) * 상향([[上]]向) * [[성향]]([[性]]向) * 외향([[外]]向[[的]]) * [[외향성]]([[外]]向[[性]]) * [[외향적]]([[外]]向[[的]]) * 우향우([[右]]向[[右]]) * 의향([[意]]向) * [[이촌향도]]([[離]][[村]]向[[都]]) * [[전향]]([[轉]]向) * [[전향력]]([[轉]]向[[力]]) * 좌향좌([[左]]向[[左]]) * [[지향]]([[指]]向/[[志]]向) * [[취향]]([[趣]]向) * [[편향]]([[偏]]向) * [[확증편향]]([[確]][[證]][[偏]]向) * 풍향([[風]]向) * [[하향]]([[下]]向) * 향상(向[[上]]) * 향후(向[[後]]) * 향일(向[[日]]) === [[고사성어]]/[[숙어]] === * 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 * 배향([[背]]向) * 소향무적([[所]]向[[無]][[敵]]) * 향배(向[[背]]) * 향양화목(向[[陽]][[花]][[木]]) * 향우지탄(向[[隅]][[之]][[歎]]) === [[인명]] === * [[나향욱]]([[羅]]向[[栯]]) * 무카이(向[[井]] / 向, むかい) * [[무카이 이토하]](向[[井]] [[純]][[葉]]) * 무카이다(向[[田]], むかいだ) * [[무카이치 미온]](向[[井]][[地]] [[美]][[音]]) * [[상랑]](向[[朗]]) * [[상수(삼국지)|상수]](向[[秀]]): [[삼국지]]의 인물 * [[상총]](向[[寵]]) * [[타치바나 히나타]]([[橘]] [[日]]向) * [[휴가 하바타키]]([[日]]向 [[破]][[瞬]]) * [[히나타 나츠]]([[日]]向 [[夏]]) - [[하이큐!!]] * [[히나타 쇼요]]([[日]]向 [[翔]][[陽]]) - [[하이큐!!]] === [[지명#s-2]] === * [[코타케무카이하라역]]([[小]][[竹]]向[[原]][[驛|駅]]) * [[휴가오츠카역]]([[日]]向[[大]][[束]][[駅]]) === [[창작물]] === * [[화염의 해바라기|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業火の向日葵) * [[前しか向かねえ]]([[앞밖에 보지 않아]]) === 기타 === * [[向井地美音ソロコンサート ~大声でいま伝えたいことがある~]]: [[무카이치 미온]]의 솔로 콘서트명 == 유의자 == * [[背]](등 배)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尙]](오히려 상) * [[何]](어찌 하) [[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