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哥}}}성 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カ}}}}}}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た, うた-う}}}}}}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ē{{{#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哥는 '''성 가'''라는 [[한자]]로, '성씨', '노래하다' 등을 뜻한다. 다만 중국에서는 '형'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성 || || {{{-1 '''음'''}}} ||가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gē || || {{{-1 '''[[광동어]]'''}}} ||go^^1^^ || || {{{-1 '''[[객가어]]'''}}} ||kô || || {{{-1 '''[[민북어]]'''}}} ||gó̤ || || {{{-1 '''[[민동어]]'''}}} ||gŏ̤ || || {{{-1 '''[[민남어]]'''}}} ||ko || || {{{-1 '''[[오어]]'''}}} ||ku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カ}}} || || {{{-1 '''훈독'''}}} ||- || ||<-3> || ||<-2> '''[[베트남어]]''' ||ca, kha || [[유니코드]]에는 U+54E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RNR(一口弓口)로 입력한다. 소리를 나타내는 [[可]](옳을 가) 자 두 개를 합친 글자이다. 원래 이 글자는 [[歌]]/[[謌]](노래 가)의 본자로, '노래하다', '목소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선비(민족)#s-4.3|선비어]]로 아버지나 형을 뜻하는 *aka를 중국어에서 음차한 아가(阿哥)로 받아들여, 당(唐)대 이후로는 이 글자가 [[兄]](형 형) 자를 대체하여 '형'이라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지금도 '형'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ex:[[따거]] 의 “거”) 이외에도 여러 외국어의 음차에 쓰였는데, 그 중에서는 투르크계 성씨인 가서(哥舒)도 있어 고유명사로서의 성씨로도 활용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가(哥) : 성씨 뒤에 붙여서 어떠한 성씨를 가짐 또는 그 [[가문]](家門)에 속해 있음을 뜻한다. 이 때문에 가([[家]])와 혼용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哥가 옳다. 예를 들어 '김가네'가 '김씨네 가문'을 뜻하는 게 아니라면, 한자로 쓸 때에는 '金家네'가 아니라 '金哥네'로 써야 옳다. 해당 표현에서 파생된 속어가 바로 [[~가놈]]이다.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가서한]](哥[[舒]][[翰]]) * 동맹가첩목아([[童]][[猛]]哥[[帖]][[木]][[兒]]) * [[야율상가]]([[耶]][[律]][[常]]哥) * [[야율유가]]([[耶]][[律]][[留]]哥) * [[야율팔가]]([[耶]][[律]][[八]]哥) * [[야율화가]]([[耶]][[律]][[化]]哥) * [[야율휴가]]([[耶]][[律]][[休]]哥) * [[전서소가]]([[滇]][[西]][[小]]哥) * [[우왁굳]]([[嗚]][[哇]]哥)[* 중국어 현지화 명칭이다.] === [[지명#s-2]] === * 추가령([[楸]]哥[[嶺]]) * [[추가령구조곡]]([[楸]]哥[[嶺]][[構]][[造]][[谷]]) == 유의자 == [[분류:1급 한자]][[분류:같은 한자를 두 개 합친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