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季}}}계절 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子|{{{#000,#fff 子}}}]],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すえ}}}}}}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季는 ''''계절 계''''라는 [[한자]]로, '[[계절]](季節)', '끝', '막내'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끝 || || {{{-1 '''음'''}}} ||계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jì || || {{{-1 '''[[광동어]]'''}}} ||gwai^^3^^ || || {{{-1 '''[[객가어]]'''}}} ||kui || || {{{-1 '''[[민북어]]'''}}} ||gṳ̿ || || {{{-1 '''[[민동어]]'''}}} ||gié || || {{{-1 '''[[민남어]]'''}}} ||kùi || || {{{-1 '''[[오어]]'''}}} ||ji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キ || || {{{-1 '''훈독'''}}} ||{{{#c88 すえ}}} || ||<-3> || ||<-2> '''[[베트남어]]''' ||quý || [[유니코드]]에는 U+5B6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DND(竹木弓木)로 입력한다. [[禾]](벼 화)와 [[子]](아들 자)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원래는 형제 중에서 막내를 나타내는 글자였는데, 이후 '끝', '계절의 끝', '계절' 등의 파생된 뜻도 가지게 되었다. [[돌아온 럭키짱/등장인물]] 중 계말년(季末年)은 [[이말년]](李末年)의 李(오얏나무 이)에서 한 획을 추가한 것과 같다. == 용례 == === [[단어]] === * [[계간]](季[[刊]]) * 계덕(季[[德]]) * 계방(季[[方]]) * 계보(季[[報]]) * 계수(季[[嫂]]) * [[계씨]](季[[氏]]) * 계월(季[[月]]) * 계자(季[[子]]) * [[계절]](季[[節]]) * [[계절풍]](季[[節]][[風]]) * 계절풍대(季[[節]][[風]][[帶]]) * 계절풍저기압(季[[節]][[風]][[低]][[氣]][[壓]]) * [[사계절]]([[四]]季[[節]]) * 계추(季[[秋]]) * 계춘(季[[春]]) * 계흥(季[[興]]) * [[동계(동음이의어)|동계]]([[冬]]季) * 맹중계([[孟]][[仲]]季) * 반계([[半]]季) * [[사계]]([[四]]季) * 사계삭([[四]]季[[朔]]) * 월계([[月]]季) * 월계화([[月]]季[[花]]) * 하계([[夏]]季) === [[고사성어]]/[[숙어]] === * 계맹지간(季[[孟]][[之]][[間]]) * 계찰계검(季[[札]][[繫]][[劍]]) * 계찰괘검(季[[札]][[掛]][[劍]]) * [[계포일낙]](季[[布]][[一]][[諾]]) * [[백중숙계]]([[伯]][[仲]][[叔]]季) === [[인명]] === * [[시라이시 사키]]([[白]][[石]] [[沙]]季) * [[시키자키 키키]]([[四]]季[[崎]] [[記]][[紀]]) * [[카지야마 토시유키]]([[梶]][[山]] 季[[之]]) * [[타니구치 아이리]]([[谷]][[口]] [[愛]]季) * [[히라야마 유키]]([[平]][[山]] [[遊]]季) === [[지명#s-2]] === === [[창작물]] === * [[芽吹の季]] * [[絆、知りそめし季節]] == 유의자 == * [[末]](끝 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禿]](대머리 독) * [[李]](오얏, 성 리) * [[黍]](기장 서) * [[秀]](빼어날 수) * [[委]](맡길 위) * [[香]](향기 향) [[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